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09:12:10

대니쉬 갬빗

데이니시 갬빗에서 넘어옴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f4dfc1,#986b52><tablebgcolor=#fff,#444><tablecolor=#373a3c,#fff><#f4dfc1,#986b52><-2> 체스의 오프닝 ||
[ 1...e5 오픈 게임 펼치기 · 접기 ]
오픈 게임
[ 세미 오픈 게임 펼치기 · 접기 ]
* ⚫ 1...c5 시실리안 디펜스
[ 1...d5 클로즈드 게임 펼치기 · 접기 ]
클로즈드 게임
[ 세미 클로즈드 게임 펼치기 · 접기 ]
* ⚫ 1...Nf6 인디언 디펜스
* ⚪ 2.Bf4 런던 시스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그 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fff> 플랭크 오프닝 이레귤러 오프닝
}}}}}}}}}
⚪, ⚫는 각각 백, 흑의 수순으로 정렬 순서는 Lichess 오프닝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마스터 사용 빈도를 따름.
센터 게임
대니쉬 갬빗
Danish Gambit
[include(틀:체스게임, info=none,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Pb, e4=Pw, f4=, g4=, h4=,
a3=, b3=, c3=Pw, d3=, e3=, f3=, g3=, h3=,
a2=Pw, b2=Pw, c2=,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none)]
<colbgcolor=#f4dfc1> 수순 1.e4 e5 2.d4 exd4 3.c3
상위 오프닝 센터 게임
ECO 코드 C21

1. 개요2. 이론3. 파생형
3.1. 알레킨 베리에이션3.2. 대니시 갬빗 수락
3.2.1. 클래시컬 디펜스3.2.2. 코펜하겐 디펜스3.2.3. 슐레흐터 디펜스
3.3. 쇠렌센 디펜스

[clearfix]

1. 개요

체스 오프닝으로, 센터 게임의 2...exd4 후 퀸으로 회수하지 않고 c폰과 교환하려는 수이다. 명칭은 덴마크의 체스 선수 마르틴 세버린 프롬(Martin Severin From)의 이름을 딴 것이다[1]. 아마추어 체스에서는 많이 쓰이는 라인이며 상대가 제대로 대처를 하기 힘들어하지만, 최상위권에서는 거의 안 쓰이고 그나마 쓰였던 얼마 안 되는 경기도 백 승률이 많이 낮다.

2. 이론

센터 게임의 메인 라인은 퀸을 중앙에 내보내어 기물은 동등해지지만 이후 퀸이 쫓겨나면서 템포 손해를 보는데, 데이니시 갬빗은 반대로 기물을 손해보는 대신 전개 이득을 보아 강력한 공격을 하겠다는 것이다. 괴링 갬빗과 유사하여 전환도 자주 되기 때문에 오프닝을 공부할 때 같이 다루는 것이 보통이다.

흑이 이론을 잘 모른다면 백의 날카로운 공격을 피하기 쉽지 않은 게임이 되지만, 대응법 연구가 끝난 상태라 흑이 이론을 안다면 동등하거나 흑이 유리한 포지션으로 들어갈 수 있다.

3. 파생형

  • 3...dxc3
    • 4.Nxc3: 알레킨 베리에이션. 괴링 갬빗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 4.Bc4: 린덴스 컨티뉴에이션
      • 4...cxb2 5.Bxb2: 데이니시 갬빗 수락
        • 5...d5: 슐레흐터 디펜스
        • 5...Bb4+: 코펜하겐 디펜스
        • 5...Nf6: 클래시컬 디펜스
  • 3...d6
  • 3...Qe7
  • 3...d5: 카파블랑카 디펜스. 쇠렌센 디펜스라고도 한다.

3.1. 알레킨 베리에이션

[include(틀:체스게임, info=Alekhine Variation,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Nw, d3=, e3=, f3=, g3=, h3=,
a2=Pw, b2=Pw, c2=, d2=, e2=, f2=Pw, g2=Pw, h2=Pw,
a1=Rw, b1=,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dxc3 4.Nxc3)]
백이 폰 하나를 잃은 대신 중앙에 영향력을 끼치는 형태로 전개 우위가 있으며 흑은 전혀 전개가 되어있지 않다.

3.2. 대니시 갬빗 수락

[include(틀:체스게임, info=Danish Gambit Accepted,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Bw,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Bw, c2=,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 d1=Qw, e1=Kw, f1=, g1=Nw, h1=Rw,
caption=3...dxc3 4.Bc4 cxb2 5.Bxb2)]
백이 두 개의 폰을 희생한 대가로, 전개 우위를 크게 가져가고 있으며 특히 비숍쌍이 강력한 대각선을 잡고 있어 이론을 모르면 흑이 대처하기 상당히 어렵다.

3.2.1. 클래시컬 디펜스

[include(틀:체스게임, info=Classical Defense,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 h8=Rb,
a7=Pb, b7=Pb, c7=Pb, d7=Pb, e7=,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Nb,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Bw,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Bw, c2=,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 d1=Qw, e1=Kw, f1=, g1=Nw, h1=Rw,
caption=5.Nf6)]

체스 엔진이 평가하는 최선수. 백의 전개 이점이 폰 2개를 희생한 정도는 아니라고 보아 폰 우위를 유지하면서 전개를 이어나가는 것이다.

흑이 나이트를 전개하면서 무방비 상태인 e4폰을 공격한다. 백이 e5로 폰을 밀어 나이트를 공격했을 때 흑이 나이트를 e4칸으로 피한다면 백의 7.Bxf7+!! 희생 이후에 8.Qd5+!로 희생한 기물을 돌려 받으면서 게임을 유리하게 진행 할 수 있다. 때문에 해당 포지션에선 나이트를 피하는 것이 아닌, 6...Bb4+로 체크를 걸면서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 최선이라 평가된다.

3.2.2. 코펜하겐 디펜스

[include(틀:체스게임, info=Copenhagen Defense,
a8=Rb, b8=Nb, c8=Bb, d8=Qb, e8=Kb, f8=,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Bb, c4=Bw,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Bw, c2=,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 d1=Qw, e1=Kw, f1=, g1=Nw, h1=Rw,
caption=5...Bb4+)]
아마추어 레벨에서 가장 흔한 진행이다. 백이 비숍으로 체크를 막으면 기껏 폰을 희생해가면서까지 잘 전개된 비숍을 허무하게 교환해주는 꼴이기 때문에 나이트로 막아야 하며, 핀으로 인해 백의 전개가 살짝 꼬인 틈을 타 흑도 전개할 시간을 벌 수 있다.

3.2.3. 슐레흐터 디펜스

[include(틀:체스게임, info=Schlechter Defense,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 e7=,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Bw,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Bw, c2=,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 d1=Qw, e1=Kw, f1=, g1=Nw, h1=Rw,
caption=5...d5)]
리체스 유저 통계 기준 흑의 승률이 가장 좋은 대응으로, 폰을 돌려주는 대신 전개할 시간을 벌겠다는 의도이다. 폰으로 잡으면 밝은 비숍의 길이 막힌 것을 이용하여 전개하고, 비숍으로 잡으면 Nf6으로 비숍을 공격하면서 전개하면서 전개할 시간을 계속 확보한다. 이후 흑이 다루기 쉬운 형태로 동등하거나 흑이 유리한 포지션으로 진행된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전형적 진행 이후,
a8=Rb, b8=Nb, c8=Bb, d8=, e8=, f8=, g8=, h8=Rb,
a7=Pb, b7=Pb, c7=Pb, d7=, e7=, f7=Kb, g7=Pb, h7=Pb,
a6=, b6=, c6=, d6=, e6=, f6=Nb,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Bw, c2=, d2=Nw, e2=, f2=Pw, g2=Pw, h2=Pw,
a1=Rw, b1=, c1=, d1=, e1=Kw, f1=, g1=Nw, h1=Rw,
caption=6.Bxd5 Nf6 7.Bxf7+ Kxf7 8.Qxd8 Bb4+ 9.Qd2 Bxd2+ 10.Nxd2)]

6.Bxd5 Nf6 이후 백은 7.Bxf7+ Kxf7 8.Qxd8으로 킹을 과부하시켜 퀸을 딸 수 있다. 잉글런드 갬빗의 트랩 라인과 비슷한 진행이지만, 여기서 흑은 8...Bb4+로 체크와 퀸에 대한 디스커버드 어택을 동시에 넣어 회수가 가능하다. 비숍이라도 돌려받으려면 백은 퀸으로 체크를 막을 수밖에 없고, 교환이 끝나면 최종적으로 흑이 d5폰에 더해 f7폰까지 추가로 잃었으므로 기물은 동등해지지만, 퀸과 밝은 비숍이 사라지며 백은 강력한 공격 수단을 잃게 된다.

흑이 폰 우위를 유지할 수 없기에 체스 엔진의 평가치상 최선의 대응은 아니지만, 백이 날카로운 공격을 할 여지를 빠르게 없애버리고 엔드게임으로 직행해버린다는 점에서 사람이 운영하기 편하고 백이 의도한 게임 양상대로 진행해주지 않는다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3.3. 쇠렌센 디펜스

[include(틀:체스게임, info=Sörensen Defense,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 e7=,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b, e4=Pw, f4=, g4=, h4=,
a3=, b3=, c3=Pw, d3=, e3=, f3=, g3=, h3=,
a2=Pw, b2=Pw, c2=,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d5)]
카파블랑카 디펜스라고도 한다. 갬빗을 거절하고 중앙을 카운터한다. 백이 기물을 전개할 마땅한 곳이 없어지므로 4.exd5가 최선이 되며[2] 일반적으로 4...Qxd5 5.cxd4로 이어진다. 중앙의 흑 퀸을 쫓아내기 어렵고 전개 속도도 흑이 빠른 등 백이 선호할만한 포지션이 아니다.


[1] 버드 오프닝의 프롬 갬빗 또한 이 사람의 이름을 땄다. [2] 엔진 평가로는 4.Qxd4도 가능하나 4...Be6 이후 흑이 평범하게 전개하면 흑이 오히려 전개가 빠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