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김호근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978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 MVP |
1978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s-2|{{{#a78329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MVP |
||||
김경문 ( 공주고등학교) |
→ |
김호근 (부산고등학교) |
→ |
박노준 ( 선린상업고등학교) |
{{{#ed1c24 [[롯데 자이언츠|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0번}}} | ||||
엄태섭 (1982) |
→ |
김호근 (1983) |
→ |
김민호 (1984~1996) |
{{{#b21528 [[삼미 슈퍼스타즈|삼미 슈퍼스타즈]] 등번호 39번}}} | ||||
결번 | → |
김호근 (1984) |
→ |
이우상 (1986~1987) |
{{{#fff [[삼미 슈퍼스타즈|삼미 슈퍼스타즈]] / [[청보 핀토스|청보 핀토스]] 등번호 2번}}} | ||||
백인천 (1983. 6. 30.~1984) |
→ |
김호근 (1985) |
→ |
김무관 (1987~1988) |
{{{#fff [[OB 베어스|OB 베어스]] 등번호 26번}}} | ||||
정선두 (1983~1985) |
→ |
김호근 (1986~1990. 4. 25.) |
→ |
구교록 (1991) |
{{{#000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46번}}} | ||||
팀 창단 | → |
김호근 (1990.4.26.~1990) |
→ |
최한림 (1991~1995. 5. 9.) |
{{{#000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10번}}} | ||||
정윤원 (1990) |
→ |
김호근 (1991~1993) |
→ |
김기태 (1994~1998) |
{{{#fff [[한화 이글스|한화 이글스]] 등번호 89번}}} | ||||
유승안 (1994~2000) |
→ |
김호근 (2006~2009) |
→ |
이영우 (2012~2015) |
}}} ||
김호근 金鎬根 | Kim Ho-Keun |
|
출생 | 1960년 6월 29일 ([age(1960-06-29)]세)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부산대연초 - 부산중 - 부산고 - 고려대 |
포지션 | 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83년 1차 지명 ( 롯데) |
소속팀 |
롯데 자이언츠 (1983)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 (1984~1985) OB 베어스 (1986~1990) 쌍방울 레이더스 (1990~1993) |
지도자 |
고려대학교 야구부 코치 (1994~2000) 춘천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3~2004) 한화 이글스 2군 배터리 코치 (2006~2007)[1] 한화 이글스 1군 배터리코치 (2008) 한화 이글스 2군 배터리코치 (2009)[2] 한화 이글스 1군 배터리 코치 (2009)[3] 충장중학교 야구부 감독 (2011~2012) 고려대학교 야구부 코치 (2013~2016) 고려대학교 야구부 감독대행 (2017) 고려대학교 야구부 감독 (2018~2020) 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22~2023) |
병역 | 예술체육요원[4]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선수이다. 롯데 자이언츠,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 OB 베어스,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뛰었었다. 프로야구 초창기에 4개팀에서 출장하여 이광길과 함계 프로야구 최초의 저니맨으로 불렸다. 은퇴 후 고려대학교 코치와 한화 이글스 배터리 코치를 역임 후 2020년까지 고려대학교 감독으로 재직하였다.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국민학교 4학년부터 포수로 야구를 시작했다. 어릴때부터 에이스 양상문과 호흡을 맞춘 영혼의 배터리로서, 1970년대 후반 부산고등학교의 황금기를 같이 한 선수였다. 부산고등학교의 1978년 청룡기, 대통령배 2연패의 중심에는 양상문과 김호근의 활약이 컸다. 김호근은 두 대회의 최우수선수상을 휩쓸며 당시 고교 최고 포수로 명성을 얻었다. 고려대 진학 이후에도 주전포수 자리를 지켰고(이 때도 양상문과의 배터리를 계속 이루었다) 장타를 터트릴수 있는 공격형 포수로서 고려대 야구부의 한 축을 담당했다.
아마 시절 양상문과의 배터리 호흡을 맞춘 김호근.
|
2.2. 롯데 자이언츠 시절
고려대학교 를 졸업하고 1983년 롯데 자이언츠 에 입단했다. 부산고 시절 명성을 기대하고 김호근을 영입한 롯데였지만 83 시즌 롯데 포수진은 포화상태였다. 국가대표 포수로 활약한 심재원, 최동원과의 배터리 호흡을 맞춘 한문연, 시즌 중 MBC 청룡으로 이적하는 차동열이 버티고 있는 롯데 포수진은 경쟁하기 쉬운 환경이 아니었다. 결국 83 시즌 39경기만을 출장한 김호근은 시즌 후 삼미 슈퍼스타즈의 이광길을 상대로 김덕열과 같이 트레이드 되어 저니맨 생활의 시작을 알렸다.2.3. 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 시절
1984년 삼미로 트레이드 된 김호근은 롯데보다는 나은 환경에서 포지션 경쟁을 할 수 있었다. 당시 삼미는 원년 주전 포수였던 금광옥이 김진우에 밀려 1루수로 전향할 정도로 김진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에 좋은 활약을 보였다면 주전 포수가 될 기회를 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김호근은 84 시즌 삼미에서 41경기 94타석 87타수 18안타 타율 .207을 기록하며 나아진 모습을 보이지 못했고, 1985년에는 시즌 초반 김진우와 금광옥의 부상으로 1984년보다는 출장이 많아졌고 잠시 주전 포수로 활약하였으나, 60경기 149타수 33안타 .221의 타율로 아주 뛰어난 성적을 기록하지는 못하였다.2.4. OB 베어스 시절
85 시즌 이후 투수가 부족했던 청보 핀토스의 주도로 OB 베어스의 강철원, 정선두 투수를 상대로 정문섭과 함께 트레이드 되었다. 결과적으로 청보로 이적한 강철원은 8게임, 정선두는 17게임만을 등판하고 은퇴하였지만, OB로 이적한 김호근은 당시에도 김경문, 조범현 등이 버티고 있는 포수왕국이었던 OB에서 김경문을 받쳐주는 제2포수 자리를 꿰차며 분발하였다. 86 시즌 82게임 10홈런[5], 87시즌 72게임 타율 .267을 기록하며 타격면에서도 기량을 되찾았으며, 타격이 약했던 김경문을 대신하는 공격형 포수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88시즌 이후 다시 기량이 하락하였으며, 주로 대타 요원으로 모습을 드러냈다.2.5. 쌍방울 레이더스 시절
90 시즌 김태형이 데뷔하고 김경문이 태평양 돌핀스로 트레이드 되면서 김호근의 입지도 급격히 좁아졌다. 90 시즌 단 2경기만을 출장한 김호근은 시즌 중 신생팀 쌍방울 레이더스으로 1500만원에 현금트레이드 되었다. 90 시즌 쌍방울의 1군 미참가로 나머지 시즌을 2군에서 보낸 김호근은 91 시즌 쌍방울의 초창기 주전 선수로 자리매김하였다. 1991년 4월 5일 빙그레 이글스와의 원정 개막전에서 4번 포수로 선발출장하여 5회 3점 홈런 포함 5타점을 쓸어담으며 쌍방울의 11-0 대승을 견인하였다. 포수 포지션의 경쟁자인 전종화는 공격면에서 아쉬움을 보였고, 박경완, 최해식 등의 신예는 기량이 확고하지 않았기에 91 시즌 김호근은 117게임에 출장하여 83안타 44타점 6홈런 타율 .241로 86시즌과 함께 높은 커리어 시즌을 보냈다. 그러나 이미 서른줄을 넘긴 김호근은 노쇠화가 진행되었고, 포수를 풀시즌으로 소화하기 어려워졌다. 결국 93 시즌 이후 쌍방울에서 은퇴하였고, 이후 쌍방울의 주전 포수는 박경완이 확고히 가져가게 된다.[6]3. 플레이 스타일
아마 시절 꾸준히 중심타선에 배치될 정도로 공격력이 좋았던 포수였다. 프로에 입문하여 장타력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고 여타 수비형 포수들에 밀려 대타나 지명타자에 배치될 정도로 당대에 수비력으로 인정받는 선수는 아니었다. 그러나 타격이 되는 포수라는 이점 때문에 방출 당하지 않고 4개팀으로 트레이드 되어 이광길과 함께 프로야구 최초의 저니맨으로 불리게 되는 커리어를 갖게 되었다.4. 지도자 경력
쌍방울에서 은퇴한 이후 고려대 코치, 춘천고 감독[7]을 거쳐 2006년 5월 한화 이글스 2군 배터리 코치로 임명되었다. 이후 2009년 시즌 중반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1군 배터리 코치로 승격되었다. 당시 한화는 포수 유망주 수집에 열을 올리던 상태였는데[8]... 포수 육성 능력은 좋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한화 배터리가 초토화 된 데에는 이 분의 탓이 크지만 당시 2군 포수 팜을 책임졌던 김호근의 능력 부족도 무시 할 수 없는 듯.2009년 한화에서 퇴단한 후 잠시 충장중학교 감독을 맡다가 2013년부터 고려대학교 코치로 복귀하였다. 이후 전임 감독이던 우경하[9]의 비리 혐의로 인한 사퇴로 2017년 감독대행을 거쳐 2018년부터 2년동안 고려대학교 감독직을 수행하였다.
2022년부터 2023년 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구. 군산상고) 코치를 맡아 2023년 군산상일고의 대통령배 우승에 기여 했다.
5.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83 | 롯데 | 39 | 70 | .200 | 14 | 3 | 0 | 0 | 4 | 7 | 1 | 2 | .243 | .222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84 | 삼미 | 41 | 87 | .207 | 18 | 2 | 0 | 1 | 4 | 7 | 0 | 5 | .264 | .242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85 | 삼미 / 청보 | 60 | 149 | .221 | 33 | 2 | 0 | 1 | 9 | 10 | 0 | 5 | .255 | .244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86 | OB | 82 | 155 | .219 | 34 | 4 | 1 | 10 | 28 | 19 | 1 | 22 | .452 | .313 |
1987 | 72 | 146 | .267 | 39 | 6 | 2 | 3 | 22 | 18 | 1 | 18 | .397 | .348 | |
1988 | 70 | 125 | .240 | 30 | 6 | 1 | 0 | 15 | 10 | 1 | 13 | .304 | .304 | |
1989 | 54 | 98 | .245 | 24 | 8 | 1 | 0 | 13 | 3 | 1 | 8 | .347 | .302 | |
1990 | 2 | 2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91 | 쌍방울 | 117 | 345 | .241 | 83 |
25 (3위) |
2 | 6 | 44 | 32 | 2 | 32 | .377 | .300 |
1992 | 74 | 201 | .303 | 61 | 9 | 2 | 3 | 23 | 21 | 1 | 22 | .413 | .371 | |
1993 | 79 | 192 | .203 | 39 | 7 | 1 | 2 | 18 | 13 | 1 | 9 | .281 | .237 | |
KBO 통산 (11시즌) |
690 | 1570 | .239 | 375 | 72 | 10 | 26 | 180 | 140 | 9 | 136 | .347 | .296 |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87ceeb><tablebgcolor=#87ceeb> |
롯데 자이언츠 1983 신인 지명 회의 지명 선수 |
{{{#ed1c24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ffff0><colcolor=#ed1c24> 1차 지명 | |||
지역 연고 1차 지명 |
김석일 ( 중앙대) |
<colbgcolor=#fffff0><colcolor=#ed1c24> 지역 연고 1차 지명 |
김성호 ( 건국대) |
|
지역 연고 1차 지명 |
김종근 ( 중앙대) |
지역 연고 1차 지명 |
김호근 ( 고려대) |
|
지역 연고 1차 지명 |
박영태 ( 동아대) |
지역 연고 1차 지명 |
박정후 ( 동아대) |
|
지역 연고 1차 지명 |
배경환 ( 경리단) |
지역 연고 1차 지명 |
심재원 ( 한국화장품) |
|
지역 연고 1차 지명 |
( 고려대) |
지역 연고 1차 지명 |
우경하 ( 경리단) |
|
지역 연고 1차 지명 |
유두열 ( 한국전력) |
지역 연고 1차 지명 |
( 고려대) |
|
지역 연고 1차 지명 |
최동원 ( 한국전력) |
지역 연고 1차 지명 |
한문연 ( 동아대) |
|
2차 지명 | ||||
1라운드 (전체 1번) |
( 한일은행) |
2라운드 (전체 8번) |
( 한일은행) |
|
(A) 지명 후 미입단. 1985년 재지명. (B) 지명 후 미입단. (C) 지명 후 미입단. 1984년 재지명. |
[1]
5월 3일~
[2]
~6월 21일
[3]
6월 22일~
[4]
1978년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 대회 준우승
#
[5]
1986년 시즌은 최악의 투고타저로 손꼽히는 시즌이었다. 이때의 10홈런은 시즌 공동 9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며, OB에서 가장 많은 홈런을 친 기록이다.
[6]
당시
조범현 배터리코치는 박경완을 집중 육성했고 최해식은 1군 콜업 기회는 얻지 못한채 2군에만 있다가 코치의 폭행으로 인해
장채근(해태)과 맞트레이드됐다. 최해식은
해태 타이거즈로의 트레이드를 매우 반겼으며
정회열을 제치고 주전 마스크를 썼다.
[7]
야탑고에서 당시 대거 선수들이 춘천고로 전학하여 야탑고에는 13명밖에 남지 않았고 그 멤버로 2002년 봉황대기 8강에 진출했으나
김재호의
중앙고에 석패했다. 당시 야탑고의 주장은
오재원이다.
[8]
2004년
박노민(공주고), 2006년
정범모(청주기공고), 2007년 최연오(휘문고-연세대), 2008년
이희근(중앙고-성균관대) 등..그 후 잠시 쉬어가다가 2011년
나성용(광주진흥고-연세대), 2013년
한승택(덕수고), 2014년
김민수(대구상원고-연세대)를 뽑았다.
[9]
공교롭게도 둘은 2009 시즌 한화 2군 감독과 배터리코치로 한솥밥을 먹은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