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캠퍼스
|
||
승학캠퍼스 | 부민캠퍼스 | 구덕캠퍼스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231816>
대학 정보
||역사 | 역대 총장 | 대학원 | |
생활 | 시설 | 사건사고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BFC3C6>
기타 정보
||총동문회 | 출신 인물 | 야구부 / 레오파드 | 스포츠단 |
부속병원
|
|||
동아대학교병원 | 동아대학교대신병원 |
}}}}}}}}} ||
동아대학교 야구부 (Dong-A University) |
|
<colbgcolor=#a2aaad,#51595d> 창단 | 1948년 |
지역 | 부산권 및 전국 |
감독 | 이재헌[1] |
코치 | 권동식[2] |
우승 기록[3] | 16회 |
홈페이지 | 동아대학교 야구부 |
[clearfix]
1. 개요
동아대학교 야구부는 1948년 지방대학 최초로 창단하였다. 1960~80년대까지만 해도 동아대학교 야구부는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들에게 결코 밀리지 않던 탄탄한 전력을 보유했던 야구부로 그동안 수많은 한국프로야구선수를 배출해 왔다.하지만 부산 권역 내에 경성대학교 야구부와 동의대학교 야구부가 창단한 이후, 후발주자인 이들에 밀려 오랜 기간 성적이 저조한 편이었다. 그러나 2010년대 중반에 들어서 전국 대회 우승에 성공하며 잠깐 과거의 위상을 되찾기도 했다. 2024년 U-리그 왕중왕전 우승을 차지했다. 관련기사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야구 일반부 부산광역시대표결정전에선 결승전에서 부산과기대한테 패했다.
역사가 깊고 전통이 있는 야구부임에도 대학 캠퍼스 내에 야구장이 없어서 야구부 선수들은 창원시 진해구까지 가서 훈련을 한다. 그래도 대학 측의 폐지통보로 존폐 위기까지 몰렸던 동아대 축구부에 비하면 사정이 나은 편이라 할 수 있다.[4]
2. 역대 감독
- 배성수 (1958~1960)
- 안영필 (1961~1977)
- 강병철 (1978~1982)
- 어우홍 (1983~1984)
- 이형 (1985~1998)[5]
- 김창복 (1999~2007)
- 김석연 (2007~2012)
- 이재헌 (2012~ )
3. 출신 선수
출신 선수 | |
학번 | 이름 |
1976 | 임호균 |
1977 | 박용성 |
1979 | 박영태, 박정후, 이성수, 한문연 |
1980 | 김상훈, 김재열, 김진욱, 김한조, 류우현, 조성옥 |
1981 | 박동수, 박희찬, 이동완, 전대영 |
1982 | 김현택, 오명록 |
1983 | 김대중, 이정훈, 이현택, 정상진, 황윤태 |
1984 | 곽동열, 류동효, 오효근 |
1985 | 구동우, 김락기, 김선일, 김청수, 김태완, 윤동배, 이종운, 이종호 |
1986 | 김력, 최수원, 최태곤 |
1987 | 김상재, 김석연, 김익재, 양용모 |
1988 | 김상현, 김정민, 김홍집, 지연규 |
1989 | 고기성, 권재광, 김정훈, 지화선[6], 최홍주 |
1990 | 김주성, 류현승[7], 신진수, 정진식 |
1991 | 김옥일, 박현승, 안상준, 안윤호[8], 최남기, 최우혁, 최철민, 하상도 |
1992 | 김대헌, 김효준, 배정훈, 변창섭, 이기수, 이상은, 정수찬, 황준수 |
1993 | 강신창, 김상현, 김영준, 김정훈, 김중돈, 맹일혁[9], 박종윤, 이동욱, 장문석, 장순재, 허기호 |
1994 | 곽창훈, 김현태, 박성용, 전영삼, 최지훈 |
1995 | 김풍철, 민영기, 박병구, 박진희, 송강섭, 이상윤, 이승윤 |
1996 | 김동현, 김용혁, 김호민, 박효순, 오승훈, 유인보, 주정익, 함현용 |
1997 | 박영호, 심제훈[10], 안승훈, 이상현, 임부택, 정의원, 허용석 |
1998 | 권오원. 김경우, 김명진, 노경민, 이영일, 이정민, 홍석용 |
1999 | 권동식, 김원재, 박창렬, 이인구, 이재헌, 조상희, 허연철 |
2000 | 김준휘, 박진환, 오승우, 용덕한, 허재인 |
2001 | 고윤성, 서민욱, 원태광, 이한성, 이호식, 차정민 |
2002 | 구종화, 변정민, 심세준[11], 이윤, 이진혁, 임재청, 전성환 |
2003 | 권민재, 김봉현, 박효준, 이창석, 이태원, 이희승 |
2004 | 이동훈, 장효창, 전종헌, 정태모, 조원고, 한윤섭, 허정필 |
2005 | 김지웅, 민경수, 송행철, 유승룡, 유정학, 이동훈, 최호영 |
2006 | 홍석환 |
2007 | 김성환, 방힘찬, 서신호, 이규택 |
2008 | 공민호, 김광용, 김성호, 나규호, 문준용, 신본기, 정규창, 조성진, 최정민 |
2009 | 김재민, 김진솔, 이병철, 이찬원 |
2010 | 김광영, 안승한, 이동걸, 이은총, 이인승, 최영웅, 최영환 |
2011 | 권현규, 김대륙, 박세민, 윤세곤, 전병우, 정호진, 주현상, 황태호 |
2012 | 김도영, 김도현, 임세훈, 최대한 |
2013 | 김중철, 김호민, 이선호, 이은형, 장동영, 홍성일 |
2014 | 강선우, 김경년, 오동준, 이현태, 이형규, 장현덕, 전진우, 황인준 |
2015 | 강동수, 김민석, 김선창, 김승환, 김준연, 박주찬, 이정용 |
2016 | 김광명, 김상우, 송민수, 안정민, 양선률, 차홍민, 최우경 |
2017 | 김승민, 박경필, 채승민, 최민석, 홍성준 |
2018 | 김재혁, 김지헌, 민승호, 오승택, 이도영, 이세호, 최민석 |
2019 | 강민성, 김훈재, 박준완[A], 박태준, 백승우, 성지훈, 여성민, 유도훈, 임태우[13], 최원영[A] |
2020 | 구자훈, 김기연, 김태호, 박범진[B], 배세종[B], 손주환[C], 이재호, 주지완, 최명경[A] |
2021 | 고승환[D], 나성원, 방성학, 손힘찬[A], 엄준성[D], 이대승, 장재원[C], 정선우, 정재혁, 정지승[C] |
중퇴 | 김성근(1960), 한용덕(1984) |
4. 역대 전적
역대 전적 |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24] |
대통령기 | 2회(1983, 1991) | 2회(1981, 1984) | - |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 5회(1960, 1979, 1981, 1988, 2011) | 2회(1962, 2002) | - |
협회장배 / 주말리그 왕중왕전 | 2회(2016, 2024) | - | 1회(2023) |
대학야구 춘계 / 하계 / 추계리그 |
3회(1963, 1982, 2002) [춘계] 5회(1961, 1962, 1981, 1982, 1988) [하·추계] |
6회(1962, 1972, 1975, 1983, 1989, 1994) [춘계] | - |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 - | - | - |
5. 여담
- 이인구하면 잘 알려진 일화인 바나나우유 사건은 동아대 시절의 일화다. 잘 알고 싶으면 이인구 문서를 참조해보자.
- 야구부 숙소가 대학캠퍼스가 아닌 창원시 진해구 안에 위치해 있다. 이 숙소시설은 선수들이 지내기에 상당히 열악한 편이다.[28]
- 안승한이 2013년 인터뷰에 말한 동아대 야구부원들의 일과는 06:30 기상, 07:00 체조 및 아침식사, 09:00 버스를 타고 의령 야구장으로 이동, 오전 훈련, 점심은 도시락으로 해결, 오후 훈련, 16:00 숙소 복귀, 저녁 식사, 21:00까지 야간 운동이다. 학교 안에 야구장이 없어서 매번 버스를 타고 이동해야 하는 피곤함을 이야기한 바 있다.
6. 관련 문서
[1]
경북고-동아대(99학번). 프로 경력은 없으며 부산공고, 부산중 코치를 거쳐 2010년 모교인 동아대 야구부 코치에 선임되었다. 이후 능력을 인정받아 2012년 12월 33세의 나이에 감독으로 취임하며 최연소 대학 야구 감독이 되었다.
[2]
마산고-동아대(99학번). 이재헌 감독과는 같은 학번 동기로 2003년 삼성에 신고선수로 입단했다. 1군 기록은 없으며 2013년 코치로 부임하였다.
[3]
대통령배+전국대학야구선수권+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춘계리그+추계/하계리그+전국종합야구선수권
[4]
동아대 축구부는 예전에 비해 성적이 좋지 않아 현재 대학 2부 리그인 U리그2에 참가 중이다.
[5]
모교인 부산상고에서는 1974~75, 1981~84년 두 차례 감독을 맡았다. 김응룡의 부산상고 동기생이다.
[6]
지화동의 동생.
[7]
KBO에서는 유현승으로 검색해야 나온다.
[8]
은퇴 후 다시 경주시로 돌아와 모교인 경주고 야구부 코치로 활약했다.
[9]
고양시 백마초등학교 감독
[10]
심재원(야구선수)의 조카
[11]
안선영이 사촌 누나이기도 하다
[A]
동강대에서 편입
[13]
한려대에서 편입
[A]
[B]
강릉영동대에서 편입
[B]
[C]
수성대에서 편입
[A]
[D]
동의과학대에서 편입
[A]
[D]
[C]
[C]
[24]
4강 진출의 경우는 최근의 기록만 남아 있다.
[춘계]
[하·추계]
[춘계]
[28]
부산권 내의 타 대학들이 대학캠퍼스 내 야구장과 숙소 등의 훈련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