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4 20:57:25

김자격(무인시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배역의 실존인물에 대한 내용은 김자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c1c12 40%, #000000 100%); color:#ffffff; margin: -5px -10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줄거리 · 평가 · 유튜브 스트리밍
황제는 폐위되셨소이다
등장인물
주인공

파일:무인시대 이의방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정중부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경대승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이의민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최충헌 아이콘.png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핵심인물 이고 · 채원 · 두경승 · 문극겸 · 조원정 · 허승 · 두두을 · 박진재
이의방 측근 무비 · 조씨 · 사평왕후
이준의 · 이린 · 이춘부 · 오랑
정중부 측근 정균 · 송유인 · 종참 · 순주
경대승 측근 김자격 · 경진 · 손석 · 김광립
이의민 측근 최씨 · 부용 · 아란 · 이지순 · 이지영 · 이지광
박존위 · 부루 · 최부 · 자선
최충헌 측근 송씨 · 최우 · 최향 · 최충수 · 홍련화 · 자운선
노석숭 · 김약진 · 정숙첨 · 노인우 · 만적
황실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공예태후 · 선평왕후 · 대령후 · 임씨 · 수안궁주 · 성평왕후
신료 김돈중 · 한뢰 · 윤인첨 · 한문준 · 조영인 · 유응규 · 이규보
이소응 · 기탁성 · 진준 · 이광정 · 이영진 · 석린
왕광취 · 최전첨 · 조 환관 · 최 상궁 · 최세보
기타 수혜 · 현소 · 김보당 · 조위총 · 망이 · 망소이 · 김사미
외국인 금 세종 · 야율규 · 완안정 · 걸노 · 합진 · 완안자연 · 포리대완
}}}}}}}}}}}} ||
파일:골때리.png
< 무인시대>의 김자격
1. 개요2. 배우3. 극중 행적4. 여담

[clearfix]

1. 개요

KBS 대하드라마 < 무인시대>의 등장인물. 실존인물 김자격을 바탕으로 한 배역이다. 배우 김시원이 맡았다.

2. 배우

배우 김시원은 < 태조 왕건>에서는 견훤의 심복 능창(수달) 역할을 맡았다.

3. 극중 행적

경대승의 심복으로, 오래전부터 청주 가문을 지켜온 호위 무사이다. 경대승의 아버지 경진 대부터 청주 가문을 지켜왔으며, 어린 경대승에게 무술을 가르쳤다고 한다. 벼슬이 교위라서 '김 교위\'로 많이 불린다. 경대승에게는 단순한 부하가 아닌 반쯤 아버지 같은 존재이며, 김자격 역시 경대승에게 절대적인 충성을 바쳤다. 하지만 작중 등장하는, 다른 충성과 의리로 똘똘 뭉친 캐릭터( 이의방 정권 때 ' 이의민', 이의민 정권 때 '최부, 부루, 박존위', 최충헌 정권 때 '김약진' 등)들과 달리, 이 김자격이라는 인물은 과잉 충성이 어떻게 자신과 주군을 몰락시키는지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작중 두두을도 김자격에게 과잉 충성을 경계하라는 뉘앙스로 조언을 한 적도 있다.

경대승 정권 이전에는 전형적인 충성스럽고 믿음직한 부관 역할을 하지만, 정권을 잡은 뒤에는 도방의 해산 여부를 놓고 경대승과 대립하면서 엇나가기 시작한다. 제작진의 설명에 따르면 " 예수를 팔아 넘긴 유다처럼" 도방으로 백성들을 구제하고자 하는 자신의 신념을 위해 경대승의 탕약에 기력이 쇠약해지는 독약을 타 무력화시키고 그의 뜻을 조작하며 자기 마음대로 도방을 다루었으며, 나중엔 경대승을 황제로 즉위시키고자 역성 혁명까지 모의한다. 자기딴에는 다 경대승을 위해서 이러한 행동을 한다고 하지만, 이미 몸이 쇠약해져 있던 경대승은 김자격의 독 때문에 진짜로 죽어가고 있었는 데다가, 실패한다면 멸문지화를 피할 수 없는 반역 행위를 주군 몰래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 정신은 아닌 인물이다. 심지어 도방을 일시적 장악하면서 권력에 미쳐 폭주하는 추악한 모습으로 변질되면서,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한다는 명제의 대표적 예시가 되어버리며, 경대승이 그토록 경계하던 이의방과 정중부보다 더한 인물로 변해버린다.[1]

결국 이 일이 밝혀지고 경대승에게 파문당한 뒤 낙향하게 되나, 경대승을 노리고 있었던 조원정을 위시한 군부에게 붙잡혀 거짓 역모를 토설하라며 고문을 당한다. 이 과정에서 조원정의 회유를 단호하게 거부하나, 결국 옥중에서 독에 의해서 경대승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참고로 조원정이 이 사실을 알려줄 때 경대승이 죽었을 리 없다며 자신에게 토설을 받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거라며 부정하자, 그 조원정조차 이건 아니라고 생각했는지 조원정의 반응은 "네가 독으로 경대승을 죽여놓고 이제와서 충신 코스프레 하냐며 어이없어 했다. 그리고 얼마 안 가 도방이 몰락했다는 소식을 듣고 허탈감에 빠지며, 중방과 군부를 완전히 장악하여 권력의 실세로 거듭나기 위해 하급 관원들의 절대적 지지를 받는 김자격을 끌어들이려 했던 조원정은 자신의 부하가 될 것을 요구했고 그 제안을 수락하는 대가로 도방군사들을 풀어주고 경대승에게 역모죄를 적용하지 말라고 요구한다. 조원정이 이를 받아들여 경대승의 역모는 사실 무근이고[2] 남은 도방 군사는 재물 약탈 정도로 처벌하여 마무리를 지었지만 정작 김자격은 조원정에게 충성 맹세를 하는 대신 자살로 생을 마감하여 조원정의 뒤통수를 치고, 졸지에 얻은 것도 없이 황실과 척을 지게 되어 버려 극대노한 조원정은 김자격의 수급을 베어버리고 몸뚱아리는 개에게 던져주라고 불같이 화를 내고 이미 엎질러진 물을 어찌할 수는 없으니 뇌물과 기생을 제공하여 하급 군관들의 지지를 이끌어 낸다.

사료를 살펴보면 김자격은 박존위와 더불어 무인시대에서 꽤 많은 버프를 받은 인물로, 실제 김자격은 견룡 출신으로 경대승의 신임을 받은 부하인 것은 맞으나, 경대승 사후 도방 장사들이 그의 장사를 지내고 모여서 술을 마시는 것을 두고 조정에 도방이 반란을 도모한다고 무고해 도방이 숙청당하는 계기를 만든 인물이다. 무인시대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도방을 무고한 후 자살한다라는 초기 설정이 있었지만 각색된 것.

4. 여담

  • 극중 정균으로부터 "김자격! 끓는 가마솥에 던져 삶아버릴 것이야~"라는 모욕을 들은 적이 있는데, 이건 아무리 봐도 담당 배우의 전작 배역을 연상시키는 대사이다.


[1] 정중부는 왕실을 허수아비로 만들어 놓고 자신과 자신의 가문이 실권을 장악하는 정도로 만족하는 입장이었고, 이의방은 의종과 무비의 아들을 황제로 옹립할 작정이었지 역성혁명을 하겠다는 것은 아니었다. 그나마 자신이 아니라 경대승을 황제로 올린다고 하지만, 경대승이 애초 그런 것을 바랄 리가 없다는 것은 김자격부터가 잘 알았으니 경대승을 황제에 앉혀도 계속 독을 먹이며 허수아비 얼굴마담으로 내세웠을 가능성이 높다. [2] 사실 경대승이 역모를 꾀한 적은 없다. 그러나 번번이 명종의 심기를 거스르는 데다 그의 수하인 도방이 저지른 횡포 때문에 그와 도방은 온 조정의 적이 되어있었고 그 때문에 명종은 경대승에게 반역의 죄를 물으려 하고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0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0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