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16 14:01:25

고종(무인시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배역의 실존인물에 대한 내용은 고종(고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c1c12 40%, #000000 100%); color:#ffffff; margin: -5px -10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줄거리 · 평가 · 유튜브 스트리밍
황제는 폐위되셨소이다
등장인물
주인공

파일:무인시대 이의방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정중부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경대승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이의민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최충헌 아이콘.png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핵심인물 이고 · 채원 · 두경승 · 문극겸 · 조원정 · 허승 · 두두을 · 박진재
이의방 측근 무비 · 조씨 · 사평왕후
이준의 · 이린 · 이춘부 · 오랑
정중부 측근 정균 · 송유인 · 종참 · 순주
경대승 측근 김자격 · 경진 · 손석 · 김광립
이의민 측근 최씨 · 부용 · 아란 · 이지순 · 이지영 · 이지광
박존위 · 부루 · 최부 · 자선
최충헌 측근 송씨 · 최우 · 최향 · 최충수 · 홍련화 · 자운선
노석숭 · 김약진 · 정숙첨 · 노인우 · 만적
황실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공예태후 · 선평왕후 · 대령후 · 임씨 · 수안궁주 · 성평왕후
신료 김돈중 · 한뢰 · 윤인첨 · 한문준 · 조영인 · 유응규 · 이규보
이소응 · 기탁성 · 진준 · 이광정 · 이영진 · 석린
왕광취 · 최전첨 · 조 환관 · 최 상궁 · 최세보
기타 수혜 · 현소 · 김보당 · 조위총 · 망이 · 망소이 · 김사미
외국인 금 세종 · 야율규 · 완안정 · 걸노 · 합진 · 완안자연 · 포리대완
}}}}}}}}}}}} ||
파일:고종(무인시대).png
< 무인시대>의 고종
1. 개요2. 배우3. 극중 행적

[clearfix]

1. 개요

KBS 대하드라마 < 무인시대>의 등장인물. 배우 오현철이 맡았다.

2. 배우

배우 오현철은 2000년 KBS 드라마 < 태조 왕건>에서는 어린 시절의 왕건 역을 맡았다.

이 드라마에서 최충헌 역을 맡은 배우 김갑수는 <태조 왕건>에서 궁예의 최측근인 종간을 맡았다. 그러니까 종간은 궁예와 자기를 죽인 왕건에게 복수하려고 최충헌으로 환생해서 왕건의 후손들을 허수아비로 만들었다. 그 외에도 종간 관련 배우 개그는 최충헌의 동생인 최충수를 김형일, 희종을 정태우가 맡다보니 왕건을 도운 능산( 신숭겸)과 최응에 대한 복수로도 가능.

3. 극중 행적

고려의 제23대 황제. 강종과 원덕왕후 사이의 자녀.

어린 황제로 희종과는 다르게 최충헌에게 순종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애초에 태자 시절부터 최충헌의 위세에 압도당하면서 스스로 황실의 권위를 세울 수가 없다는 사실을 우려하기도 했지만서도, 결국 최충헌의 뜻을 거스를 수 없음을 알고 저항하는 걸 포기한다. 그러다 보니 비중은 역시 공기.

나레이션에 의하면 희종의 경우 황제의 장자라는 정통성, 젊은 나이, 그리고 궁에서 자라났기에 자기 세력이 있었기에 최충헌을 도모하려 할 수 있었으나, 고종의 경우 아버지 강종과 더불어 쫓겨 났다가 최충헌에 의해 태자가 되고 황제에 올랐기 때문에 희종과는 달리 궁 안에 자기 세력이 없었기에 최충헌에게 순종적일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최충헌과는 아버지의 예를 맺고 그 아들 최우와는 형제의 연을 맺는다.

노쇠한 최충헌의 후계 자리를 두고 다툼을 벌이던 두 아들 중 장남 최우의 손을 들어주어 그로부터 충성 맹세를 받아낸다. 최씨 정권을 몰아낼 힘이 없음을 인정하고 대신 차기 후계자에게 집권 명분을 더해줌으로서 왕실을 뒤흔드는 사태를 방지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3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3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