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생의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김무생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 |||||
제11회 ( 1975년) |
→ |
제12회 ( 1976년) |
→ |
제13회 ( 1977년) |
|
문오장 (조총련) |
→ |
김무생 ( 집념) 신구 ( 타향) |
→ |
김진해 (처용무) 한진희 (맏며느리) |
|
한국방송대상 | ||||
탤런트상 | ||||
고두심 (1985년) |
→ |
<colbgcolor=#FFFFA1,#5D5E00> 김무생 (1986년) |
→ |
유인촌 한혜숙 (1987년) |
{{{#!wiki style="margin: -6px -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282b9> |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2282b9><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 성우 | ||||
특기 (1948) |
남 |
|
||||
여 |
|
|||||
제1기 (1954) |
남 |
김수일, |
||||
여 |
고은정,
김소원, |
|||||
1955 | 남 |
|
||||
여 |
|
|||||
제2기 (1956) |
남 |
|
||||
여 |
|
|||||
1957 | 남 |
|
||||
여 |
|
|||||
제3기 (1958) |
남 |
|
||||
여 |
|
|||||
1960 | 남 |
|
||||
여 |
|
|||||
제4기 (1961) |
남 |
|
||||
여 |
|
|||||
제5기 (1961) |
남 |
|
||||
제6기 (1962) |
여 |
|
||||
1963 | 남 |
|
||||
여 |
|
|||||
제7기 (1964) |
남 |
김종성, |
||||
여 |
|
|||||
제8기 (1965) |
남 |
|
||||
여 | 정민희 | |||||
1966 | 남 |
|
||||
여 |
박영남, |
|||||
제9기 (1967) |
남 |
|
||||
여 |
김순환, |
|||||
제10기 (1968) |
남 |
|
||||
여 |
|
|||||
제11기 (1969) |
남 |
|
||||
여 |
|
|||||
제12기 (1970) |
남 |
김규식,
김세한, |
||||
여 | 김정미, 손정아 | |||||
제13기 (1971) |
남 |
김도현, |
||||
여 |
강연숙, |
|||||
제14기 (1972) |
남 |
|
||||
여 |
|
|||||
1973 | 남 |
|
||||
여 |
김민,
박은숙, |
|||||
1975 | 남 |
|
||||
여 |
|
|||||
1976 | 남 |
설영범, |
||||
여 |
|
|||||
제15기 (1977) |
남 |
|
||||
여 |
강미형,
고선형, |
|||||
1978 | 남 |
|
||||
여 |
|
|||||
1979 | 남 |
|
||||
여 |
강희선, |
|||||
제16기 (1980) |
남 | 김창주, 신흥철, 유제상, 이호인 | ||||
여 |
서미옥,
이연희, |
|||||
제17기 (1982) |
남 |
|
||||
여 |
|
|||||
제18기 (1983) |
남 |
강구한, |
||||
여 |
|
|||||
제19기 (1984) |
남 |
김태웅, |
||||
여 |
|
|||||
제20기 (1986) |
남 |
박규웅, |
||||
여 |
|
|||||
제21기 (1988) |
남 |
강수진, |
||||
여 |
문일옥,
송덕희, |
|||||
제22기 (1990) |
남 |
|
||||
여 |
김순영, |
|||||
제23기 (1992) |
남 |
구자형, |
||||
여 |
권성은,
김지민,
김희선, |
|||||
제24기 (1994) |
남 | 김영진, 박정민, 성수경, 이주원 | ||||
여 |
김수진,
김진주, |
|||||
제25기 (1995) |
남 |
|
||||
여 | 구민선, 은영선, 임미진 | |||||
제26기 (1997) |
남 | 류다무현, 변영희, 원호섭, 유동균, 이장원, 임진응 | ||||
여 |
김상현,
오길경,
은미,
이명원, |
|||||
제27기 (1999) |
남 | 사성웅, 안용욱, 양석정, 윤세웅, 이규석 | ||||
여 | 김지혜, 민지, 소연, 신소윤, 이현주 | |||||
제28기 (2000) |
남 | 고재균, 김래환, 변현우, 임채헌, 위훈, 최정호 | ||||
여 |
|
|||||
제29기 (2002) |
남 | 박찬희, 신찬혁, 유호한, 윤동기, 이재웅, 홍진욱 | ||||
여 | 김희영, 나지형, 송정희, 이미향, 임주현, 전숙경 | |||||
제30기 (2003) |
남 | 곽윤상, 김대중, 손정성, 이광수, 진웅, 최창석 | ||||
여 | 권연희, 서지연, 안영아, 유지원, 은정, 최하나 | |||||
제31기 (2005) |
남 | 박영재, 방우호, 심승한, 이지환, 주재규, 차진욱 | ||||
여 |
박지윤, |
|||||
제32기 (2006) |
남 |
|
||||
여 | 강유경, 김희진, 박희은, 안소이, 전지원, 전진아 | |||||
제33기 (2008) |
남 | 김목용, 김태영, 이문희, 전승화, 정성훈, 조규준 | ||||
여 | 강보라, 배진홍, 안찬이, 양유진, 조세령, 최정현 | |||||
제34기 (2009) |
남 | 김두용, 김상백, 배영규, 윤호, 이찬우, 임정길 | ||||
여 | 신송이, 우현주, 이미연, 이미형, 이제인, 홍수정 | |||||
제35기 (2010) |
남 | 백선우, 이희탁, 조연우, 최현철, 한복현 | ||||
여 | 권문정, 공경은, 김태리, 김소희, 지화정 | |||||
제36기 (2011) |
남 | 권도일, 권창욱, 김도담, 김동하, 박상훈, 탁원정 | ||||
여 | 강규리, 김민신, 박상경, 사문영, 선은혜, 이영미 | |||||
제37기 (2012) |
남 | 김인, 박노식, 백성식, 전상조, 조민수, 채안석 | ||||
여 | 금령, 김두리, 김자연, 윤정화, 조경아, 최윤정 | |||||
제38기 (2013) |
남 | 김현수, 박진우, 신범식, 심인종, 윤용식, 전종구 | ||||
여 | 길라영, 김사라, 우성은, 이아름, 전영수, 한혜정 | |||||
제39기 (2014) |
남 | 공준호, 서승휘, 송대선, 이상운, 임호기, 장병관 | ||||
여 |
김경진,
김한나,
문지영,
변혜숙, |
|||||
제40기 (2015) |
남 | 김진수, 석승훈, 이규창, 이정민, 장희문, 허성재 | ||||
여 | 민아, 남유정, 서다혜, 오주희, 이명호, 이자영 | |||||
제41기 (2016) |
남 | 구지원, 선우현수, 이진무, 정의진, 최결, 홍후백 | ||||
여 | 김성화, 리우, 송하랑, 이다슬, 이현애, 채지희 | |||||
제42기 (2017) |
남 | 김용, 김인형, 박주광, 임주완, 하지형 | ||||
여 | 신온유, 이지선, 임희진, 최하리, 허예은 | |||||
제43기 (2018) |
남 | 김용석, 나은혁, 서정익, 오해성, 이명상 | ||||
여 | 김나혜, 나인애, 박하진, 방시우, 혜원 | |||||
제44기 (2019) |
남 | 김희승, 송백경, 장지민, 지병문, 황원종 | ||||
여 | 김다운, 김봄, 김이안, 김성희, 유인선 | |||||
제45기 (2020) |
남 | 송기원, 유선일, 이수안, 최현식 | ||||
여 | 박의주, 정해은, 천송이, 한이정 | |||||
제46기 (2021) |
남 | 박기욱, 박성광, 윤세하, 이창현 | ||||
여 | 김순미, 배하경, 수현, 이눈솔 | |||||
제47기 (2022) |
남 | 이주봉, 이현준, 임의주, 전병하 | ||||
여 | 강한별, 권선영, 오은수, 최현지 | |||||
제48기 (2023) |
남 | 박준모, 이도하, 전종건, 최우성 | ||||
여 | 박송, 엄지은, 임지현, 주예진 | |||||
제49기 (2024) |
남 | 김시우, 김용효, 정상일, 최인일 | ||||
여 | 김정운, 배주원, 유승희, 정수현 | |||||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PBC | ||||||
※ 송백경 성우를 포함 회색은 문서가 없는 성우이고, 최연소 성우는 아랫줄로, 최고령 성우는 볼드체로 은퇴한 성우나 제명되거나 사망한 성우는 가운뎃줄로 한다. | }}}}}}}}} |
}}} ||
<colbgcolor=#5d0000><colcolor=#ffffff> 김무생 金茂生|Kim Mu-saeng |
|
|
|
출생 | 1940년 3월 16일[1][2] |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면 독곳리[3][4][5] | |
사망 | 2005년 4월 16일 (향년 65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 |
묘소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대로리 815-8[6]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본관 | 경주 김씨[7][8] |
가족 |
할아버지 김동구[9], 할머니 박천대[10] 아버지 김장환, 어머니 장옥순 외삼촌 장경수[11], 2남 중 차남 |
배우자 김의숙(1947~2015)[12] 장남 김주현(1970년생), 차남 김주혁(1972~2017)[13] |
|
학력 |
대산국민학교[14] (전학) 인천송현국민학교 (졸업) 동산중학교 (졸업) 동산고등학교 (졸업) 동국대학교 문리과대학[15] (연극영화학 / 학사) |
데뷔 |
前
1963년
동아방송 1기 성우 1963년 KBS 6기 성우 前 1964년 TBC 공채 1기 성우 1969년 MBC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배우.2. 배우 활동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 태생으로[16]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졸업이후인 1963년 동아방송 1기, 1964년 동양방송 성우 공채 1기로 데뷔하였으나[17] 1969년에 MBC가 개국한 후 특채 탤런트로 텔레비전으로 정식 데뷔했다.주로 박근형과 비슷하게 냉철한 재벌 총수 등을 많이 맡았는데 사랑과 진실, 청춘의 덫이 대표적이다. 단 박근형이 보통 피도 눈물도 없는 냉혈한으로 나오는데 반해 김무생은 같은 높으신 분이어도 좀 더 감정이 있는 연기를 했다는 게 차이점. 또한 박근형의 경우는 1980년대 초까지 멜로 드라마에서 주인공, 즉 청년 역을 주로 맡은 반면 김무생은 실제 연령이 박근형과 같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노안 덕에 꽤 젊은 나이인 1970년대부터 중년이나 노역을 맡았다는 것도 차이점이다.[18]
하지만 높으신 분만 맡은 것도 아니라 서민적인 아버지 역도 많이 맡았으며 경찰특공대에서는 테러 조직 두목 역을 맡아서 간지폭풍을 보여주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사극에도 많이 출연했으며 허준, 송시열, 임해군 등 다양한 인물들을 연기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역할은 단연 용의 눈물의 이성계와 조선왕조 오백년의 이순신이다. 가히 레전설급 연기로, '용의 눈물'에서는 태종 이방원역을 맡은 유동근과 막상막하의 연기대결을 벌였다. 그리고 제2공화국, 제3공화국에서는 장면 국무총리 역을 맡기도 하였다. 용의 눈물보다 앞서 조선왕조 오백년에서도 이성계를 연기했으며, 그 영향 탓인지 그 이후 김무생은 이성계 전문배우가 되었다. 어떤 사극을 찍든 이성계역에는 거의 무조건 김무생이 배역을 맡다시피했다.[19] 용의 눈물이 한창 진행되던 때 내가 사는 이유에서는 찌질하고 몰염치한 아버지역을 맡아 연기했는데, 근엄하고 엄격한 태조 이성계와 너무나도 명백히 대비되었으며, 이 극과 극의 연기를 동시에 둘 다 잘했다는 것이 김무생의 역량을 보여준다.
3. 출연 작품
3.1. 영화
<rowcolor=#ffffff>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1985년 | 깊고 깊은 그 곳에 | ||
2000년 | 시월애 | 한석진 | |
2004년 | 고독이 몸부림 칠 때[20] | 조진봉 | |
어깨동무 | 태식 부 |
3.2. 드라마
<rowcolor=#ffffff>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1967년 | 이성계 | [21] | ||
1975년 | 집념 | 허준 | ||
1976년 | 사미인곡 | 송시열 | ||
1978년 | 청춘의 덫 | 노 회장 | [22] | |
1979년 | 산이 되고 강이 되고 | |||
1980년 | 변명 | |||
백년손님 | ||||
아베의 가족 | ||||
의친왕 | 흥선대원군 | |||
1981년 | 안녕하세요 | |||
제1공화국 | 조병옥 | |||
아빠의 수염 | ||||
1982년 | 남강 이승훈 | 이승훈 | ||
시장 사람들 | ||||
한 | 신규식 | |||
서궁마마 | 임해군 | |||
1983년 | 한국인의 재발견 시리즈 - 광대가 | 신재효 | ||
조선왕조 오백년 추동궁마마 | 이성계 | |||
1984년 | 조선총독부 | 데라우치 마사타케 | ||
추사 김정희 | ||||
사랑과 진실 | 김회장 | |||
1985년 | 남자의 계절 | 송필달 | ||
조선왕조 오백년 임진왜란 | 이순신 | |||
1986년 | 사이공 억류기 | |||
풀잎마다 이슬 | 양석찬 | |||
1987년 | 도시의 얼굴 | 이도진 | ||
천둥소리 | ||||
산하 | 조병옥 | |||
1988년 | 푸른계절 | 한 교수 | ||
1989년 | 유산 | 박비서 | ||
제2공화국 | 장면 | |||
당신의 축배 | 김채봉 | |||
1990년 | 춤추는 가얏고 | 유당 | ||
아직은 마흔 아홉 | 서 교수 | |||
1991년 | 무동이네 집 | 무동이 아빠 | ||
1992년 | 궁합이 맞습니다 | 진욱 부 | ||
1993년 | 열정시대 | |||
제3공화국 | 장면 | |||
당신 없는 행복이란 | 박상도 | |||
합이 셋이오 | ||||
당신이 그리워질 때 | 이완호 | |||
1995년 | 바람은 불어도 | 황정운 | ||
1995년 | 장희빈 | 조사석 | ||
1996년 | 부자유친 | 송진남(송사장) | ||
화려한 휴가 | ||||
용의 눈물 | 이성계 | |||
1997년 | 내가 사는 이유 | 박성달 | ||
웨딩드레스 | 김택두 | [23] | ||
1998년 | 맨발의 청춘 | 정명석 | ||
서울 탱고 | 조평달 | |||
마음이 고와야지 | 김필호 |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2기 | 양덕삼 | |||
1999년 | 청춘의 덫 | 노태섭 | ||
누룽지 선생님과 감자 일곱 개 | 마을 이장 | [24] | ||
맛을 보여 드립니다 | 종갑 | |||
만남 | ||||
2000년 | 경찰특공대 | 김용태 | ||
RNA | 무라야마 박사 | |||
2001년 | 인생은 아름다워 | 유상철 | ||
여자는 왜 | 김무생 | |||
2002년 | 제국의 아침 | 왕규 | ||
태양인 이제마 | 충원공 | |||
2003년 | 옥탑방 고양이 | 이필득 | ||
2004년 | 폭풍 속으로 | 유병석 | ||
2004~2005년 |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 | 강 회장 | 유작 |
4. 수상
<rowcolor=#ffffff> 연도 | 수상 | 작품 | 비고 |
1969년 | 제5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신인상 | ||
1986년 | 제13회 한국방송대상 TV 남자연기상 | ||
1976년 | 제12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집념 | |
MBC 연기상[25] 탤런트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1984년 | 제23회 대종상 남우조연상 | 깊고 깊은 그 곳에 | |
1997년 | KBS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연기상 | 용의 눈물 | 서인석과 공동 수상 |
2005년 | SBS 연기대상 공로상[26] | 김주혁이 대리수상[27] |
5. 사망
2005년 4월 16일 오전 3시 30분,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에서 폐렴 악화로 인해 향년 65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워낙 노역을 많이 맡았던 배우라 사망 당시 굉장히 나이가 많은 것처럼 느껴졌으나, 동년배의 배우들이 여전히 현직에서 활약하고 있다는 것을 볼 때 참 안타까운 죽음이었다.[28] 김무생 사후 10년 뒤인 2015년 7월 4일 아내가 뒤이어 세상을 떠났고, 2017년 10월 30일 작은 아들 김주혁까지 교통사고로 사망하였다.서울시립승화원에서 화장되어 청아공원에 안치되어 있었지만 2006년 충남 서산에 가족묘가 조성되면서 이장하였고, 2015년 부인이 사망하면서 가족묘에 합장했다. 현재 가족묘에는 김무생의 조부모,부모님,본인 부부와 차남 김주혁의 유골함이 안치되어 있다.
6. 여담
- 슬하에 아들만 둘을 뒀는데, 작은 아들이 배우 김주혁이다. 김주혁은 아버지가 반대를 하는 바람에 몰래 배우를 지망했다고 하며 김주혁 본인도 배우로서 성공했다. 김무생이 사망하기 두 달 전에 김주혁은 아버지와 대한화재 하우머치 광고에 출연했는데, 이 작품은 부자가 공동 출연한 유일한 사례였다.
- 이후 김주혁은 1박 2일 시간여행 특집에서 김무생에 대해 외로움을 보이실 때쯤 돌아가셨다고 회고하면서 아버지와 무언가를 많이 해보지 못한 게 매우 후회돼서 꼭 결혼을 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남기기도 했고 젊은 시절의 김무생과 자신이 합성된 사진을 받고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다만, 그마저도 미혼인채 사망함으로서 많은 이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 1박 2일 절친노트 특집에 의하면 김무생은 김주혁의 소속사 나무엑터스 김종도 대표에게 김주혁을 친동생처럼 대해달라는 부탁을 했다고 한다. 그래서 김주혁과 김종도는 정말 형동생 같은 사이라고 한다.
- 생전에 수석을 좋아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의 아들인 김주혁이 1박 2일에서 회고하길, 맨날 아버지를 따라서 가족여행으로 놀러가면 강에 돌을 주우러 갔었고, 어렸을 때 돌을 줍는 것이 놀이였다고 말했으며 트렁크에 돌이 가득 채우고 올 정도였다고 밝혔다. 후에 1박 2일팀이 김주혁의 집에 갔을 때에도 어마어마한 양의 돌을 보관 중인 것을 볼 수 있다.
- 사망 1년 전 2004년 이산가족 상봉 때 북한에 있는 외삼촌을 만났다.
- 1976년 < 집념>이라는 작품으로 백상예술대상에서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을 받았다. 여담으로 아들인 김주혁도 30년 후인 2006년, 백상예술대상에서 프라하의 연인으로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을 받았으며, 세상을 떠난 1주기를 앞둔, 2018년 제55회 대종상 시상식에서 그의 유작인 독전으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30] 이로써, 두 부자가 대종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는 기록을 남겼다.
- 생전에 가정에서는 상당히 엄한 성격이었는데, 이는 김무생의 아버지가 한자를 가르치는 훈장님이었기 때문에, 예절 교육 등을 어릴 적부터 엄하게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같은 배우들 사이에서는 농담도 잘하는 분위기 메이커였다고 한다.
- 60년대 이전 출생자 치고는 장신이었다. 그 유전자를 물려받아서인지 아들인 김주혁도 키가 180으로 큰 편에 속하는데, 같이 찍은 투샷들을 보면 아들보단 작지만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다.
[1]
그동안 알려진 네이버 프로필상의
1943년
3월 16일생은 주민등록(호적)상의 생년월일인데 실제로는
1940년
3월 16일생이다. 배우
김용림이 배우 김무생과 동갑이라고 언급했다.
[2]
묘에는 1943년 3월 16일 출생으로 기재되어있다.
[3]
現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
[4]
#에 따르면, 독곶리에서 태어나 대로리에서 살기도 했다고 한다. 대로리는
경주 김씨 집성촌이며, 인근의 대산리, 오지리, 대죽리, 화곡리 등에도
경주 김씨가 많이 산다.
[5]
출신학교에서 알 수 있듯이 성장한 곳은
인천광역시
동구.
[6]
돌표지판으로 가는 길 안내판이 있으며, 해당 돌 표지판엔 둘째 아들인
김주혁의 이름도 적혀져 있다.
김주혁도 사망 이후 같은 자리에 안장되었기 때문이다.
[7]
묘에서 "慶州金六十二世" (경주 김씨 62대손)
[8]
계성군파(鷄城君派)이다.
[9]
묘: "慶州金六十世" (경주 김씨 60대손), "慶州金公東九" (경주 김공 동구), 1876년 ~ 1906년.
[10]
묘: "密陽朴氏千代" (밀양 박씨 천대), 1879년 ~ 1966년.
[11]
어머니의 동생이다. 현재 북한에서 거주 중.
[12]
묘: "金海金氏義淑" (김해 김씨 의숙), 1947년 ~ 2015년
[13]
마찬가지로
배우,
2017년
10월 30일에서 향년 45세
교통사고로 별세.
[14]
現 대산초등학교
[15]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1기이며 아들
김주혁과 동문이다.
1박 2일에서
김주혁이 밝히길, 합격자 명단 발표 때 동행했다고 한다.
[16]
태어난 것은 충남이지만 청소년기 학창시절은
인천광역시에서 보냈으며
동산고등학교 출신이다.
[17]
당시 동기로는
유강진.
김종성 등이 있다. 직속 후배였던
배한성의 말로는 라디오 드라마에서 코믹한 조연 연기가 돋보였다고. 성우로서 가장 잘 알려진 배역은 TBC에서 방영한 서부극 외화 <보난자>의 '벤 카틀라이트'가 있다.
[18]
70년대에는 사람들이 30대를 중년 초입으로 여겼다는 점+노인 배우들이 없어 일부 배우들이 젊은 시절부터 노역을 맡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김무생이 다소 노안인 것도 있지만, 40대 들어서까지 미남형의 얼굴로 멜로를 소화하던 박근형이 꽤 특이한 케이스다. 75년 드라마에서 김무생이 허준 역할을 맡을 때 6살 많은 이순재가 스승 유의태 역할을 맡기도 했다.
[19]
조선왕조 오백년보다도 훨씬 이전 드라마인 1967년
TBC에서 방영한 이성계(극본
신봉승)에도 김무생이 출연했지만, 이성계 역은
김성원
이 연기하였다.
[20]
충무로에서 오랜만에 중견~원로배우들이 주축인 영화를 제작해 화제였다.
[21]
물론 여기서
이성계 배역을 맡은 게 아니다. 여기서의 이성계는
김성원이고 사람들은 이방원으로 추측 중이다. 본격적인 이성계는 16년 뒤인 1983년 MBC에서 만든
조선왕조 오백년의 첫 에피소드인 추동궁 마마에서 이성계 역을 맡았고 조선왕조 오백년. 그러나 이후 13년 뒤인 1996년 KBS에서 만든
용의 눈물에서도 같은 배역을 또 연기했다.
[22]
21년 뒤, SBS 리메이크작에도 출연하여 같은 배역을 또 연기했다.
[23]
김하나, 두나 자매의 할아버지. 아들(하나, 두나의 아버지) 역의
김용건보다 불과 6살 많다.
[24]
용의 눈물의 조연출이었던 이교육 PD의 첫 연출작이었으며 이 인연으로
유동근도 함께 출연하였다.
[25]
現 MBC 연기대상.
[26]
유작이 SBS에서 방영된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였기 때문에 이를 기리며 수상.
[27]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이 담긴 수상소감을 전해 시상식장을 잠시 숙연하게 만들었다. 김무생의 생전 활동 영상이 나올 때는 끝내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당해에
프라하의 연인이 흥했던 관계로 김주혁 본인도 최우수연기상을 수상했다.
[28]
사실
용의 눈물 촬영 당시에도 건강 우려로 인해 초반만 나오기로 생각할 정도였다고 한다.
[29]
1984년 제23회
대종상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한 사진이 걸려 있다.
[30]
또한, 김주혁을 추모하는 뜻에서 특별상도 수상하였고, 이후에
청룡영화상과
백상예술대상 시상식에서도 남우조연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