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국어과
,
국어교육과
교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교육부 소속 국가공무원인 교사 | |||||
유치원 | 유아교사 | |||||
초등학교 | 초등교사 | |||||
중등학교 | 국어교사 | 영어교사 | 프랑스어교사 | 스페인어교사 | 독일어교사 | |
일본어교사 | 중국어교사 | 한문교사 | 윤리교사 | 종교교사 | ||
지리교사 | 역사교사 | 일반사회교사 | 과학교사 | 환경교사 | ||
물리교사 | 화학교사 | 생물교사 | 지구과학교사 | 수학교사 | ||
기술교사 | 가정교사 | 음악교사 | 미술교사 | 체육교사 | ||
전문교과교사 | ||||||
특수학교 | 유아특수교사 | 초등특수교사 | 중등특수교사 | |||
비교과 | 보건교사 | 사서교사 | 영양교사 | 전문상담교사 | ||
교사로 오해할 수 있는 직업 | ||||||
한국어교원 | 보육교사 | 원어민 강사 | 돌봄전담사 | 영어회화전문강사 |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
1. 개요
중 · 고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의 총칭.2. 상세
영어교사처럼 문과에 어문계열이라 그런지 여교사가 많다.[1] 사범대학 문서에서 볼 수 있듯이 대부분의 국어교육과는 여학생들이 대다수를 차지한다.국어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국어교육과 혹은 국어국문학과에서의 교직이수 또는 교육대학원을 거친 뒤[2] 국어교사 임용시험에 응시해 합격해야 한다.
"국어"라는 과목의 특성상 잘 가르치기는 힘든데, 보통은 제시된 지문을 읽히고 참고서에 정리된 요점을 필기하게 하면 끝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건 실정 모르는 소리고, 문학의 경우 어려운 개념을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고 지루하지 않게 가르치기가 핵심이니 만큼 그런 실력을 갖추는 것은 어렵다.[3] 국어교사들은 암울한 분위기의 교사들이 많아 수업이 쳐지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4] 이는 크게 두 가지 이유로 추측할 수 있다. 첫째, 국어 교과의 특성상 한국학적 특성을 띤다. 아직까지도 '우리 것'이라고 하면 '점잖음'이나 '침착함', '수수함', '온화함' 등의 이미지가 강한, 좋게 말하면 얌전하고 나쁘게 말하면 회색 빛깔에 노잼이라는 이미지를 떠올리기 쉬운데, 국어 교과목의 내용 또한 이 점이 고스란히 적용된다. 그 영향인지 대학교의 국어국문학과 학생들이 타과 학생들에 비해 유순하고 비교적 소극적이라는 이미지가 퍼져 있다. 둘째, 국어 교사라는 지위의 특성상 각종 은어나 비속어 등의 비격식 언어를 함부로 쓰기 어렵다. 이 때문에 강의에서 말 한마디를 하더라도 표준어와 표준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필터링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수업 방식이 나온다. 물론 그런거 신경쓰지 않고 마음 내키는대로 재미와 재치를 위해 육두문자를 버젓이 사용하는 교사도 있다.
교사의 성향에 따라 '문제의 개념 자체는 어렵지 않은데 꼬임과 말장난 때문에 정신을 똑바로 차리고 풀어야 하는 시험'이 되어 학생들의 짜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시인이나 소설가나 작가를 지망했던 사람들이 많이 선택하는 직업이다. 아예 작가와 교사 혹은 교수로 투잡을 뛰는 경우도 있으며, 댄 브라운은 국어(영어)교사였다가 소설가가 되었고, 인현동 호프 화재사고 추모시를 쓴 조우성 시인은 광성고등학교 국어교사였다.
다른 과목과는 다르게 국가에 따라서 가르치는 내용이 달라진다는 특이점도 가지고 있다. 국어과의 학습 내용인 '말'과 '글'이 국가와 민족, 지역 및 시대 특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다. 현실 생활의 말과 글에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다 보니 그 '현실'에서 사람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이 교과에 반영된다는 이야기. 그래서 국어 교과는 도덕, 윤리 교과와 같이 교과의 설계와 운영, 평가 과정에 가치 판단이 반영되는 과목이다. 그 예로 들 수 있는 사건이 현재 국회의원인 시인의 작품을 교과서에 수록하는 것이 적절한 지에 대한 논란. 마지막 수업도 모국어 교사의 고뇌와 비애를 담고 있다.
한국에서는 중학교의 국어와 고등학교의 국어과 수업을 담당한다. 고등학교의 경우 학교에 따라 인문사회계 논술이나 자기소개서 첨삭지도를 하기도 한다.
- 중학교: 국어
- 고등학교
- 2012학년도 개정 교육과정(2014~2017년 입학생에게 적용): 국어 I · II, 화법과 작문, 독서와 문법, 문학, 고전
- 2015학년도 개정 교육과정(2018년 이후 입학생에게 적용):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실용 국어, 심화 국어, 고전 읽기
3. 관련 단체
4. 비판
임용시험과 학과 커리큘럼에 있어서 독서(비문학)교육이 매우 미흡하다. 학과 수업도 문법과 문학, 교육학 쪽에 편중되어 있으며 임용 시험에서는 독해력을 검증하지 않는다. 시험 과목을 보다시피 문법과 문학에 비해 독서의 비중이 미미한 수준이다. 그마저도 독해력 검증을 하지 않으며 단편적인 독서 이론을 물어보는 데에 그친다. 수능 비문학 지문을 읽고 반타작을 할 수준의 독해력을 지니고 있다고 해도 임용 강의를 듣고 이론만 달달 외우면 시험에 합격할 수 있다.
학교 수업에서 교사들이 주구장창 문학만 가르치려 드는지 그 이유를 생각해보자. 국어교육과 수업에서는 독해력을 향상시킬 기회가 없고 임용조차 독해력과는 상관없는 과목만 공부하고 왔으니 자연스레 가르칠 수 있는 과목도 문학과 문법 이론에 국한되는 것이다.
대학을 가건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인이 되건 말과 글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어떠한 전공을 선택하건 간에 논설문과 설명문을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대학에 가지 않는 사람들도 생산력을 갖춘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텍스트를 읽음으로써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더 나아가 민주 시민, 유권자로서 정책이나 정치 의제에 대해 명징한 상황판단을 하기 위해서 역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일선의 국어교사들은 독해에 대한 역량과 독서 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현저히 부족하다. 인생에 정말 중요한 독해에 대한 수업은 뒤로 한 채 일상생활에서의 효용가치가 현저히 떨어지는 중세국어의 문법이나 고전시가의 관습적 표현들을 가르치는 데에 급급하다.
독해력이 참담한 국어교사들이 비문학 수업을 줄이기 위해 쓰는 꼼수는 EBS 연계를 핑계삼는 것이다. 무능한 국어 교사들은 문학, 언어와매체, 화법과작문을 최대한 고2 수업으로 몰아넣어서 교과서로 가르치고 고3 수업에 독서를 배정한다. 하지만 교과목 이름이 독서라 해도 EBS 연계교재를 학습한다는 핑계로 수업 절반 이상을 문학과 선택과목으로 넘겨버리는 옹졸함을 보여준다. 물론 연계교재에 실린 독서 지문도 수업을 하지만, 상위권 학생들은 교사가 지문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수능특강 사용설명서에 나온 내용을 읊는 수준의 수업을 하는 걸 간파할 수 있다.
5. 커뮤니티
- 참사랑국어 - 주로 임용시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 북소년국영수전용카페 - 주로 임용시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6. 나무위키에 등재된 실제 전/현직 국어교사
- 강용철: 미상
- 고성만: 조선대학교 국어교육과
- 고현철: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곽동훈: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교직과정]
- 김규환: 공주사범대학[6] 국어교육과
- 김기훈: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 김남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 김민정: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 김병우: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
- 김연동: 관동대학교 국어교육과
- 김요아킴 :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 김은양 :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 김수학: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 김재홍: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 김정덕: 공주사범대학[7] 국어교육과
- 김철회: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교직과정]
- 김흥기: [9]
- 남궁민: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교직과정]
- 도성훈: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교직과정]
- 도종환: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
- 명지희: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국어국문학과(복수전공)[교직과정]
- 문병란: 조선대학교 문학과
- 박광일: 동국대학교 국어교육과
- 박경수: 동의대학교 국어국문학과[교직과정]
- 박성환: 미상
- 박승흡: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 박영관: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교직과정]
- 백승탁: 공주사범대학[15] 국어교육과
- 복효근: 전북대학교 국어교육과
- 서정윤: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서한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 서해원: 공주사범대학[16] 국어교육과
- 성광진: 한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성기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 신동철: 인하대학교 국어교육과
- 안도현: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오승걸: 공주사범대학[17] 국어교육과
- 오창렬: 전북대학교 국문학과
- 오효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유두선: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유안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유치환: 연희전문학교[18] 문과
- 윤혜정: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국어국문학과(복수전공)[교직과정]
- 이남덕: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과
- 이만기: 인하대학교 국어교육과
- 이석록: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교육과
- 이수민: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20]
- 이수호: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이영우: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 이재오: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 이재현: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 이창동: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 이충구: 공주사범대학[21] 국어교육과
- 임창순
- 장동준: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 장재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 장희민: 서원대학교 국어교육과
- 전상국: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전원주: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정미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 정진권: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 정진후: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교직과정]
- 정태진: 연희전문학교[23] 문과
- 조기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조주희: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 최경일: [24]
- 최교진: 공주사범대학[25] 국어교육과
- 최서희: 한양대학교 국어교육과
- 최인호: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교직과정]
- seri: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7. 창작물에서 국어교사인 캐릭터
- 가면라이더 포제 - 소노다 사리나
- 강남엄마 따라잡기 - 서상원( 유준상)
- 너를 너무너무너무너무 좋아하는 100명의 그녀 - 나디 / 야마토 나데시코
- 멜랑꼴리아 - 김진희( 양조아)
- 비밀의 숲 - 노시인
- 아름다운 세상 - 이진우( 윤나무)
- 아이 엠 샘 - 장이산( 양동근)
- 오늘도 사랑스럽개 - 한해나, 윤채아
- 우리들은 푸르다 - 조은비
- 일말의 순정 - 김선미( 전미선)
- 하자있는 인간들 - 김미경
- 사랑은 외나무다리에서 - 변덕수, 장은유
- 사춘기 - 윤선생( 윤순홍)
- 수능, 출제의 비밀 - 맹보람( 이선빈)
- 스위트홈 - 정재헌
- 아름다운 그대에게 - 이소정
- 안녕 절망선생 - 이토시키 노조무
- 어쩌다 마주친, 그대 - 윤해준( 김동욱)
- 여신강림 - 한준우
- 응답하라 1988 - 덕선 담임
- 학교생활! - 사쿠라 메구미
- 고死: 피의 중간고사 - 황창욱( 이범수)
-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 박하선
- 크레용 신짱 - 코야마 마사에
-
키미가시네 -
미시마 카즈미
미술도 함께 담당하고 있다. - 블랙독 - 고하늘, 도연우, 박성순, 지해원, 김이분, 하수현, 송지선, 변성주, 박영석
- Free! - 아마카타 미호
- 언어의 정원 - 유키노 유카리
- 늑대 게임 시리즈 - 나가이 오사무
- 학교 1 - 차현주( 염정아)
- 학교 2 - 나민주( 양정아)
- 학교 2 ~ 학교 3 - 조재현[27]
- 학교 3 - 임성민[28]
- 학교 4 - 윤주혜( 김미희)
- 학교 2013 - 정인재( 장나라), 강세찬( 최다니엘)
- 학교 2017 - 구영구( 이재용)
- 로망스 - 김채원( 김하늘)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34권 리틀 호러즈 - 히다 카즈야, 시미즈 나코(淸水多子)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하세쿠라 이오
[1]
남교사의 비중이 높은
사립학교나
남자중학교/
남자고등학교에서도 국어, 영어만큼은 여교사가 좀 더 수가 많다.
[2]
타 전공 복수전공도 가능
[3]
그래도 일단 유머 감각이 있고 재미있게 잘 가르치기만 하면 학생들에게는 재미있고 호응도가 높은 시간이 된다. 그중에서 특히 문학이 그렇다. 그렇지만 재미없게 수업하면 정말 한없이 재미없어지고 호응도도 저조하다. 정말 엄청나게 재미없을 때는
수학을 싫어하는
문과생조차도 차라리 수학시간이 국어시간보다 더 낫다고 말할 정도다.
[4]
문학의 경우가 특히 이러한 편차가 심하다. 재밌는 선생님이 가르칠 땐 매우 재밌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끝도 한도 없이 지루해진다. 이는 성별 및 나이 편차가 나서 그런 것도 있는데, 실제로 원로교사 중에선 중년 여교사가 동년의 중년 남교사보다 국어 과목, 특히 문학은 더 잘 가르치는 편이다.
[교직과정]
[6]
현
국립공주대학교.
[7]
현
국립공주대학교.
[교직과정]
[9]
서라벌예술대학 연극학과를 졸업하였으나, 연극학과에서는 국어교사
교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없으므로 알려지지 않은 다른 경로를 통해 국어교사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교직과정]
[교직과정]
[교직과정]
[교직과정]
[교직과정]
[15]
현
국립공주대학교.
[16]
현
국립공주대학교.
[17]
현
국립공주대학교.
[18]
현
연세대학교.
[교직과정]
[20]
교직과정을 통해서 교원 자격증을 취득했을 수도 있고 교육대학원에서 취득했을 수도 있다.
[21]
현
국립공주대학교.
[교직과정]
[23]
현재의
연세대학교의 전신.
[24]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나, 석사 학위 취득 이전부터 교사 생활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실제 국어교사
교원 자격증은 학부 시절에 취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25]
현
국립공주대학교.
[교직과정]
[27]
배역이 배우의 실재 이름과 동일하다.
[28]
조재현과 마찬가지로 극중 이름과 실제 이름이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