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0 20:45:55

지리교사

교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교육부 소속 국가공무원인 교사
유치원 유아교사
초등학교 초등교사
중등학교 국어교사 영어교사 프랑스어교사 스페인어교사 독일어교사
일본어교사 중국어교사 한문교사 윤리교사 종교교사
지리교사 역사교사 일반사회교사 과학교사 환경교사
물리교사 화학교사 생물교사 지구과학교사 수학교사
기술교사 가정교사 음악교사 미술교사 체육교사
전문교과교사
특수학교 유아특수교사 초등특수교사 중등특수교사
비교과 보건교사 사서교사 영양교사 전문상담교사
교사로 오해할 수 있는 직업
한국어교원 보육교사 원어민 강사 돌봄전담사 영어회화전문강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 ||

1. 개요2. 되는 방법
2.1. 지리학과 졸업자의 경우2.2. 지리교육과 졸업자의 경우
3. 담당 과목 ( 지리)4. 오해
4.1. 지리 교사는 지도를 잘 그린다?4.2. 지리 교사는 지구과학 교사와 사이가 나쁘다?
5. 관련 인물
5.1. 실제5.2. 가상
6. 커뮤니티

1. 개요

중고등학교에서 사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등의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이다. 중등교육과정에서의 지리과는 어떤 과목에서든지 크게 자연지리와 인문지리의 두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자연과학에 밀접한 자연지리가 거의 절반에 가까운 내용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문과에 속한다. 이는 자연지리가 자연과학(특히 지구과학)과는 차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 지형학이든 기후학이든 자연현상 자체에 대해서 학습하기는 하지만, 그것 보다는 자연현상의 결과로 나타난 인간생활이 어떠한지에 대해 학습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지형과 기후는 문화경관의 분포 패턴을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 이는 분명 지구과학과는 차별적인 특성이다. 한편 여타 사회과 교사들에 비해 교수 내용에 있어 가치 분석이 적은 축에 속한다. 자연과학과 밀접한 자연지리는 물론, 인문지리에서도 비교적 계량적인 분야에 속하는 경제지리와 도시지리가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1]

지리과의 경우 자연과학과 밀접한 지형학, 기후학, 사회과학에 가까운 경제지리, 도시지리, 정치지리, 인문학에 가까운 역사지리, 문화지리, 그 밖에도 지도학이 IT와 결합하여 나타난 GIS 등으로 스펙트럼이 넓다.

답사를 해야 하는 관계상 체력을 요하는 과목이기 때문에 남교사들이 꽤 있다. 2020년대 이후로는 전국지리올림피아드 입상자 출신 지리교사도 생기고 있다.

체코 야구 국가대표팀 중견수 아르노슈트 두보비가 지리교사이다.

2. 되는 방법

대학교에서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거나 '지리' 과목 교직이수과정이 설치된 학과에서 교직이수를 거쳐야 한다. 지리과목 학과에서 교직이수과정을 거치지 않았다면, 지리학과 졸업 후 교육대학원 과정을 이수한다.
두 학과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고한다.

2.1. 지리학과 졸업자의 경우

지리학과에서 교직이수를 하여 정교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한다. 그 후 마찬가지로 지리교육과 졸업자처럼 임용고시 등에 응시하여 합격하면 지리교과 교사로 임용된다.만약 지리학과에서 교직과목을 이수를 하지 않았다면 교육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면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임용고시를 응시하여 합격되면 지리교과 교사로 임용될 수 있다. 정교사 2급을 취득한 후 임용 후 3년이 경과하고 1급 정교사 자격 연수를 이수하면 1급 정교사로 승급될 수 있다.

2.2. 지리교육과 졸업자의 경우

졸업 후 2급 정교사 자격증이 부여되고, 임용고시 등에 응시하여 합격되면 지리교과 교사로 임용된다. 임용 후 3년이 경과되면 1급 정교사 연수과정을 이수 후 1급으로 승급된다.

3. 담당 과목 ( 지리)

중학교의 경우에는 사회(교과),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통합사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등의 과목을 담당하게 된다. 일부 특수목적고등학교에서는 지역이해, 세계문제와 미래사회, 인간사회와 환경, 세계지역연구, 공간정보와 공간분석, 지정학 등을 가르친다.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에서는 AP 인문지리학을 가르치기도 한다.

지리교사에 대한 TO가 많은 편이 아니다. 연도마다 차이가 있지만 사회과 교사들 중에서 제일 적은 편이다.

지리과목을 완벽하게 가르쳐야 한다는 책임감이 있다.

과학 사회가 통합된 ' 지리'과목을 가르치고,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 대한 지식을 심어준다는 점에서 자부심을 느끼기도 한다.

4. 오해

4.1. 지리 교사는 지도를 잘 그린다?

물론 그런 교사도 있으나, 아닌 경우도 있다. 지도를 잘 그린다고 오해하지 말자. 유튜브에 '생활의 달인 지도'라고 검색하면 엄청난 지도 그림 실력을 자랑하시는 모 학교의 선생님이 나오신다. 현재는 정년퇴임.

4.2. 지리 교사는 지구과학 교사와 사이가 나쁘다?

당연히 No. 과목 내용에서 겹치는 부분이 있어도 (개인적으로 원수진 경우가 아니면) 사이가 나쁘지는 않다. 오히려 수능 지리에서 다루지 않는 자연현상의 과학적 원리는 지구과학 과목 교사가, 지구과학에서 다루지 않는 인간의 자연환경 이용은 지리교사가 다루기 때문에 서로 이야기를 자주 하는 경우가 있다.

5. 관련 인물

5.1. 실제

5.2. 가상

6. 커뮤니티


[1] 지리학의 분과 학문 중 문화지리는 문화경관의 분포패턴 분석을 넘어 경관에 작용하는 권력 관계에 대한 해석 등이 주된 연구 흐름을 이루고 있어 가치분석적인 경향이 뚜렷하다. 그러나 중등교육과정에서 문화지리는 그 비중이 낮으며, 그나마 교육과정에 반영된 내용은 주로 세계지리에서 지역별 문화 경관의 특성 등으로 구성되어 가치 판단이 개입할 여지가 없다. [2] 쓰쿠바대학. [3] 국립공주대학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