飯 밥 반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食,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중학교
|
|||||||
飯[1]
|
|||||||
일본어 음독
|
ハン
|
||||||
일본어 훈독
|
めし, いい, まま
|
||||||
饭
|
|||||||
표준 중국어
|
fà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飯은 '밥 반'이라는 한자로, ' 밥', '밥을 먹다'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는 U+98EF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人戈竹水(OIHE)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食(밥/먹을 식)과 음을 나타내는 反(돌이킬/돌아올 반)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중화권 중 번체자 사용국에서는 ' 팬(fan)'을 뜻하는 가차자로 쓰이기도 한다.
3. 용례
3.1. 단어
- 골동반( 骨 董飯): 비빔밥
- 교반( 攪飯): 비빔밥
- 맥반석( 麥飯 石)
- 반상(飯 床)
- 반점(飯 店)
- 반찬(飯 饌)
- 반합(飯 盒)
- 반후농다(飯 後 濃 茶)
- 백반( 白飯)
- 석반( 夕飯): 저녁밥
- 소반( 蔬飯)
- 약반( 藥飯)
- 온반( 溫飯)
- 제반( 祭飯)
- 조반( 朝飯): 아침밥
- 중반( 中飯): 점심밥
- 탕반( 湯飯): 국밥
3.2. 고사성어/ 숙어
- 구반상실( 狗飯 橡 實)
- 구선손반( 具 膳 飱飯)
- 다반사( 茶飯 事)
- 반래개구(飯 來 開 口)
- 반서갱동(飯 西 羹 東)
- 반소사(飯 疏 食)
- 열반연( 熱飯 宴)
- 온의미반( 溫 衣 美飯)
- 의가반낭( 衣 架飯 囊)
- 일반삼토포( 一飯 三 吐 哺)
- 일반지은( 一飯 之 恩)
- 일반천금( 一飯 千 金)
- 조반석죽( 朝飯 夕 粥)
- 주대반낭( 酒 袋飯 囊)
- 주주객반( 主 酒 客飯)
- 진반도갱( 塵飯 塗 羹)
- 채반( 菜飯)
3.3. 인명
- 김국반( 金 國飯)
- 김백반( 金 伯飯)
- 메시아이 호타루(飯 合 蛍)
- 사바 토리이( 生飯 鳥 衣)
- 손오반( 孫 悟飯)
- 오부 마사카게(飯 富 昌 景)
- 우라메시 아츠코( 浦飯 温 子)
- 우라메시 유스케( 浦飯 幽 助)
- 이부시 긴(飯 伏 銀)
- 이이노(飯 野): 일본의 성씨
- 이이누마 미나미(飯 沼 南 実)
- 이이다(飯 田): 일본의 성씨
- 이이자사 이에나오(飯 篠 家 直)
- 이이즈카(飯 塚): 일본의 성씨
- 이이지마(飯 島): 일본의 성씨
- 이이토요 사쿠타로(飯 豊 朔 太 郎)
- 이즈나마루 메구무(飯 綱 丸 龍)
- 이카이 카즈유키(飯 飼 一 幸)
- 이이무라 유나(飯 村 柚 那)
- 정반왕( 淨飯 王)
- 쿠구이 마치( 供 御飯 万 智)
3.4. 지명
- 나나에역( 七飯 駅), 나나에초( 七飯 町)
- 나카이부리역( 中飯 降 駅)
- 신이즈카역( 新飯 塚 駅)
- 아키이무로역( 安 芸飯 室 駅)
- 에비노이노역(えびの飯 野 驛)
- 오이군( 大飯 郡), 오이초( 大飯 町)
- 우고이즈카역( 羽 後飯 塚 驛)
- 이구라역(飯 倉 驛)
- 이노우라역(飯 浦 驛)
- 이누마역(飯 沼 驛)
- 이다역(飯 田 駅)
- 이다바시역(飯 田 橋 驛)
- 이다오카역(飯 田 岡 駅)
- 이바마역(飯 羽 間 駅)
- 이야마역(飯 山 駅)
- 이오카역(飯 岡 驛)
- 이이역(飯 井 驛)
- 이이모리역(飯 森 駅)
- 이자카온센역(飯 坂 温 泉 駅)
- 이즈메역(飯 詰 駅)
- 이즈카역(飯 塚 駅), 이즈카시(飯 塚 市)
- 이지마역(飯 島 駅)
- 하사마역(飯 山 満 驛)
- 한노역(飯 能 駅)
- 히가시한노역( 東飯 能 駅)
- 히젠이이다역( 肥 前飯 田 駅)
3.5. 창작물
- 손오반( 孫 悟飯)
- 천진반( 天 津飯)
- 대왕반( 大 王飯)
- 선반가( 宣飯 歌)
- 성황반( 城 隍飯)
- 일상다반사( 日 常 茶飯 事): 한국의 음반
- 잔혹반점( 殘 酷飯 店)
- おはよう!! 朝ご飯( 안녕!! 아침밥)
- 聖女じゃなかったので、王宮でのんびりご飯を作ることにしました( 성녀가 아니어서 왕궁에서 느긋하게 밥을 짓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