室 집 실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宀,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ツ
|
||||||
일본어 훈독
|
むろ, いえ, つま, へや
|
||||||
-
|
|||||||
표준 중국어
|
sh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室의 획순
[clearfix]
1. 개요
室은 '집 실'이라는 한자로, ' 집', ' 건물', ' 방' 등을 뜻한다. 또한 아내라는 의미도 있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집 |
음 | 실 | |
중국어 | 표준어 | shì |
광동어 | sat1 | |
객가어 | sṳt | |
민북어 | sĭ | |
민동어 | sék | |
민남어 | sek | |
오어 | seq (T4) | |
일본어 | 음독 | シツ |
훈독 | むろ, いえ, つま, へや | |
베트남어 | thất |
유니코드에는 U+5BA4에 배정되어 있으며, 十一戈土(JMIG)로 입력한다.
갑골문 때부터 등장하며, 宀(집 면) 자와 至(이를 지) 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설문해자에서는 이 글자를 '从宀从至。至,所止也。'라고 풀이했다. 즉 室 자를 회의자로 보아 '사람이 이르러(至) 사는 집(宀)'이라고 풀이한 것이다. 그러나 段玉裁의 《說文解字注》에서는 至와 室이 같은 운부에 속하며 室 자는 뜻을 나타내는 宀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至 자가 합쳐진 형성자라고 풀이했다. Zhengzhang Shangfang과 Baxter-Sagart가 재구한 室과 至의 상고음에는 이런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
室은 바깥채인 堂(집 당)에 대하여 안쪽 방을 일컫는다.
3. 용례
3.1. 단어
- 강의실( 講 義室)
- 거실( 居室)
- 과학실( 科 學室)
- 교실( 敎室)
- 교무실( 敎 務室)
- 기관실( 機 關室)
- 내무실( 內 務室)
- 녹음실( 錄 音室)
- 대기실( 待 機室)
- 대통령실( 大 統 領室)
- 대합실( 待 合室)
- 도서실( 圖 書室)
- 미술실( 美 術室)
- 미용실( 美 容室)
- 밀실( 密室)
- 병실( 病室)
- 분장실( 扮 裝室)
- 비서실( 秘 書室)
- 사무실( 事 務室)
- 실내(室 內)
- 실장(室 長)
- 실험실( 實 驗室)
- 연구실( 硏 究室)
- 연습실( 練 習室)
- 영안실( 靈 安室)
- 오락실( 娛 樂室)
- 온실( 溫室)
- 왕실( 王室)
- 욕실( 浴室)
- 음악실( 音 樂室)
- 응급실( 應 急室)
- 작업실( 作 業室)
- 중환자실( 重 患 者室)
- 탈의실( 脫 衣室)
- 화장실( 化 粧室)
- 회의실( 會 議室)
- 휴게실( 休 憩室)
3.1.1. 아내를 의미하는 室
- 가실(家室)[A]
- 계실(繼室)[B]
- 고실(故室)[C]
- 규실(閨室)[A]
- 내실(內室)[A]
- 망실(亡室)[C]
- 별실(別室)[D]
- 본실(本室)[E]
- 부실(副室)[D]
- 소실(小室)[D]
- 실규(室閨): 안주인이 거처하는 방.
- 영실(令室): 남의 아내를 높여 부르는 말.
- 재실(再室)[B]
- 정실(正室)[E]
- 적실(嫡室)[E]
- 처실(妻室)[A]
- 첩실(妾室)[D]
- 초실(初室): 처음 맞이한 아내.
- 추실(簉室)[D]
- 측실(側室)[D]
- 현실(顯室)[C]
- 후실(後室)[B]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귀실집사( 鬼室 集 斯)
- 귀실집신( 鬼室 集 信)
- 무로가 효마(室 賀 豹 馬)
- 무로카사 아카네(室 笠 アカネ)
- 무로후시 리사(室 伏 理 沙)
- 무츠무로 아키라( 六室 慧)
- 아무로 나미에( 安室 奈 美 恵)
- 야율실로( 耶 律室 魯)
- 오무로 쓰토무( 大室 孟)
- 추골실( 雛 鶻室)
- 코무로 마코( 小室 眞 子)
- 코무로 케이( 小室 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