町 밭두둑 정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田,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チョウ, テイ
|
||||||
일본어 훈독
|
まち, あぜみち
|
||||||
-
|
|||||||
표준 중국어
|
dīng, tǐ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町은 '밭두둑 정'이라는 한자로, '밭두둑'[1], '빈 터'를 나타낸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53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田一弓(WMN)으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田(밭 전)과 음을 나타내는 丁(고무래/장정 정)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한국에서의 사용례는 극히 드물지만, 일본에서는 매우 흔하게 사용되며[2][3], 중국에서는 간간히 사용례가 보인다.3.1. 단어
- 시정촌( 市町 村): 일본의 행정구역 단위 중 기초자치단체에 해당하는 단계를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한국으로 치면 시읍면.
- 정당(町 當): 수량이 1정보에 다다름을 이르는 말이다.
- 정보(町 步): 1정보는 3000평(약 9,917.4㎡)을 말한다.
3.2. 인명
- 고반초 무츠쥬( 五 番町 睦 十)
- 고반초 키리코( 五 番町 霧 子)
- 마치다 우시오(町 田 右 潮)
- 마치다 케이타(町 田 啓 太)
- 마치야마 도모히로(町 山 智 浩)
- 소가 마치코( 曽 我 町 子)
- 소리마치 다카시( 反町 隆 史)
- 에즈마치 후데( 画 図町 筆)
- 쥬니초 야부미( 十 二町 矢 文)
- 코마치( 小町)
- 카치마치 코스즈( 徒町 小 鈴)
- 키타마치 아가사( 北町 亜 傘)
- 토노마치 히로토( 殿町 宏 人)
- 햐쿠초 하마야( 百町 破 魔 矢)
- 히키가야 코마치( 比 企 谷 小町)
3.3. 지명
- 일본의 町급 행정구역 전체
- 완딩 통상구(畹町口岸) - 미얀마와 접한 중국의 국경검문소 명칭
- 싼후딩(三湖町) - 윈난성 헝양시 헝양현의 향급행정구인 싼후진(三湖镇)의 별명
- 시먼딩(西門町) - 타이베이 내에 위치한 지명
3.4. 창작물
3.5. 기타
3.6. 일본어
- 고마치잔( 小町 算): 숫자 놀이의 일종
- 마치(町, まち): 집이나 상점이 많이 모여있는 곳이라는 뜻으로, 동네, 마을, 길거리, 시가지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똑같이 まち라고 읽으며 街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점들이 늘어선 거리'의 뉘앙스가 크다. 한편 음독으로 チョウ라고 읽는 경우도 뜻은 같은데, 보통 합성어에서 쓰인다.
일본에서는 이 한자로 표기되는 단어가 '동네'라는 의미로 쓰여 일상에서도 많이 쓰이고 지명에 많이 들어가며, 행정구역 단위 중의 하나로까지 사용된다. 학년별한자배당표에 1학년 한자로 배당되어 있을 정도.[4]
3.7. 중국어
중국에서도 지명으로 사용한다. 지명으로 사용할 때에 쓰이는 독음은 dīng으로, 주로 윈난성의 지명에서 자주 발견된다. 다만 일본처럼 이게 공식 행정구역이거나 하지는 않아서 자주 보이지는 않는다. tǐng으로 읽을 때에는 전답으로 사용할 때에 쓰는 독음이다.4. 유의자
- 𤱳(밭두둑 광)
- 㽛(밭두둑 구)
- 𡊻(밭두둑 렬)
- 壟(밭두둑 롱)
- 䅹(밭두둑 루)
- 疄(밭두둑 린)
- 佰(밭두둑 맥)
- 畔(밭두둑 반)
- 塄(밭두둑 방)
- 塍(밭두둑 승)
- 埸(밭두둑 역)
- 𤱩(밭두둑 조)
- 仟(밭두둑 천)
- 畦(밭두둑 휴)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𠄖(칠 령)
- 䟓(가는모양 정)
- 糽(곧을 정)
- 耵(귀지 정)
- 帄(기울 정)
- 矴(닻 정)[5]
- 𧰩(돼지모양 정)
- 靪(등자 정)
- 灯(등잔 정, 등 등)
- 盯(똑바로볼 정)
- 釘(못 정)
- 汀/ 𠀩/ 𢆊(물가 정)
- 䰳(물고기이름 정)
- 訂(바로잡을 정)
- 𢬫(받들 정)
- 圢(밭고랑 정)
- 𦨍(배이름 정)
- 耓(보습 정)
- 𧹙(붉을 정)
- 𤿆(살갗땅길 정)
- 𨊡(수레멈출 정)
- 酊(술취할 정)
- 叮(신신당부할 정)
- 𥸧(쌀로만든음식 정)
- 䦺(언덕이름 정)
- 奵(얼굴좋을 정)
- 㓅(얼음언모양 정)
- 玎(옥소리 정)
- 㣔/ 仃(외로울 정)
- 忊(원망할 정)
- 飣/ 𦘭(음식괼 정)
- 𠄚(의논할 정)
- 虰(잠자리 정)
- 𧯫(천막칠 정)
- 朾(칠 정)
- 𢗈(서로등질 조/초)
- 𤘖(관청 청)[6]
- 𩨑(정강이뼈 청)
- 打(칠 타)
- 𧢴(쇠뿔곧을 형)
- 𩡯(정)
- 𠁂
- 𡴵
- 𫞻
- 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