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6:24:41

시외버스 대전복합-창원·김해

파일:창원_대전_시외버스.jpg
창원 출발 차량.
1. 노선 정보2. 개요3. 특징4. 운임표5. 시간표6. 연계 철도역7.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시외버스 대전복합↔창원
기점 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 대전복합터미널) 종점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 창원종합버스터미널)
경상남도 김해시 외동( 김해여객터미널)
종점행 첫차 07:00 기점행 첫차 07:10
막차 20:00 막차 20:00
운수사명 중부고속 배차 일 9~10회
노선 대전복합터미널 - 대전IC - 경부고속도로 - 김천JC - 중부내륙고속도로 - 내서JC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동마산IC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1020번 지방도 - 김해여객터미널)[1]

2. 개요

대전광역시 경상남도 창원시(마산, 창원)를 잇는 시외버스로, 중부고속이 단독운행 중이다.[2]

전회 시외우등으로 운행하며, 1일 4회 창원에서 김해까지 연장 운행한다.

3. 특징

  • 금남-중부의 유일한 영남권 노선이다.[3]
  • 원래는 마산선과 창원선이 분리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코로나19로 인해 통합된 것이다.
  • 김해~마산 구간은 창원을 거치는 관계로 과거 일반 시절부터 구간 승차가 불가능했으며, 김해~창원 구간은 창원터널을 중간에 통과하나, 남산동에는 서지 않으며 구간 승차는 불가능하고, 창원터널의 정체가 심하면 불모산터널로 우회한다. 과거 구간 승차를 허용했을 때에도 남산동에는 하차가 불가능, 이를 이용하여 CECO 등 중부 창원으로 가는 승객들이 이용하기도 했다.
  • 김해발은 원래 창원역도 경유했지만, 코로나19 이후 창원역 무정차로 바뀌었다.
  • 전 차량 SD급 28석 유니버스로 운행되며, 베개시트가 탑재된 차량이 대다수다.

4. 운임표

  • 대전-마산
    성인: 21,900원 / 중고생: 17,500원 / 아동: 11,000원
  • 대전-창원
    성인: 23,100원 / 중고생: 18,500원 / 아동: 11,600원
  • 대전-김해
    성인: 28,200원 / 중고생: 22,600원 / 아동: 14,100원

5. 시간표

대전복합↔창원,마산(김해)
구분 대전복합 출발 김해 출발 창원 출발 마산 출발
1 07:00 07:20 08:10 08:40
2 08:00 09:40 10:10
3 10:00 10:00 10:50 11:20
4 12:10 12:30 13:00
5 14:00 13:20 14:10 14:40
6 15:00 15:10 16:00 16:30
7 17:00 16:50 17:20
8 18:00 18:20 18:50
9 19:00 19:50 20:20
10 20:00
굵은 글씨는 김해까지 운행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대전광역시 시외버스,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대전복합 ]
{{{#!wiki style="margin: -5px 0;"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코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colbgcolor=#00ae4d><colcolor=#fff> 수도권 ↔서울경부 ↔동서울 ↔인천
충남 ↔태안 ↔서산 ↔당진
강원 ↔강릉(고속)
호남 ↔광주 ↔전주(고속)
운휴/폐지 ↔부산 ↔울산 ↔동대구 ↔포항
↔상봉 ↔천안(고속)
시외버스 및 전환고속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수도권 ↔광주,하남 ↔용인,기흥,신갈 ↔인천공항 ↔수원,오산
↔안산 ↔안성 ↔의정부 ↔서울남부
↔성남
영남 ↔함양,거창 ↔진주 ↔창원,마산,김해 ↔사천,삼천포
↔남해 ↔상주,점촌(완행) ↔안동, 영주
충북 ↔청주공항 ↔혁신도시,진천 ↔청주
충남 ↔공주 ↔금산 ↔논산 ↔천안
↔보령
강원 ↔원주,횡성,홍천,춘천 ↔원주,횡성,홍천,인제,속초 ↔태백,고한,영월 ↔강릉(시외),동해,삼척
호남 ↔무주 ↔무주,장수,남원
폐지 ↔연천,문산 ↔김해공항 ↔안동(완행) ↔거창(완행)
}}}}}}}}}
[ 유성(고속)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ae4d><colcolor=#fff><width=5000px><|3> 고속버스 ||<width=25%> ↔서울호남 ||<width=25%> ↔광주 ||<width=25%> ||
[ 유성(시외)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ae4d><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25%> ↔동서울 ||<width=25%> ↔수원,신갈,영통 ||<width=25%> ↔성남 ||
↔용인,기흥,신갈 ↔인천
충청 ↔혁신도시,진천 ↔세종,공주 ↔논산
강원 ↔원주,횡성,홍천,인제,속초 ↔강릉
호남 ↔전주
(청주발)
(속초발) (강릉발)
폐지 ↔동대구
[ 대전서남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ae4d><colcolor=#fff><width=5000px> ||
충남 ↔공주 ↔논산,전주 ↔예산
↔서산 ↔청양,홍성 ↔청양,보령
↔세종
폐지
[ 둔산(고속) ]
||<bgcolor=#00ae4d><color=#ffffff><-5> 대전청사(샘머리) ||
<colbgcolor=#00ae4d><colcolor=#fff> 고속버스 ↔서울경부 ↔광주 ↔전주
[ 둔산(시외) ]
||<bgcolor=#00ae4d><color=#ffffff><-5> 대전청사(선사유적) ||
<colbgcolor=#00ae4d><colcolor=#fff> 시외버스 ↔인천공항
[ 도룡동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ae4d><colcolor=#fff><width=5000px> 고속버스 ||<width=25%> ↔서울경부 ||<colbgcolor=#00ae4d><colcolor=#fff><width=25%> 시외버스 ||<width=25%> ↔인천공항 ||
[ 자운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5000px> ↔동서울 ||
}}} ||


파일:창원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창원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창원종합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35e19><colcolor=#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 서울경부 ↔ 동서울 ↔ 성남
↔ 용인 ↔ 광주 ↔ 나주
↔ 세종
시외버스
부산/울산/경남 ↔ 부산(서부) ↔ 해운대 ↔ 부산(동부)
↔ 울산 ↔ 거제(고현) ↔ 진주
↔ 곤양, 진교, 남해 ↔ 양산,언양
수도권 ↔ 인천,부천 ↔ 안산,수원,오산
대구/경북 ↔ 대구서부 ↔ 경주,포항 ↔ 안동
↔ 구미
대전/충청 ↔ 대전복합 ↔ 청주
강원 ↔ 원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마산시외 ]
{{{#!wiki style="margin: -5px 0;"
<colbgcolor=#2976c3><colcolor=#fff> 수도권 ↔ 인천,부천 ↔ 안산,수원,오산
부산/울산/경남 ↔ 부산(서부) ↔ 동래,부산(노포) ↔ 울산
↔ 양산 ↔ 진주 ↔ 군북
↔ 곤양, 진교, 남해
대구/경북 ↔ 대구서부 ↔ 포항 ↔ 안동
↔ 밀양 ↔ 구미
대전/충청 ↔ 대전복합 ↔ 청주
강원 ↔ 동해,강릉 ↔ 원주
호남 ↔ 전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마산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colbgcolor=#2976c3><colcolor=#fff> 고속버스 ↔서울경부 ↔동서울
(마산발)
(진해발)
↔성남
(진해발)
(창원발)
↔용인 ↔세종
전환시외 ↔동대구 ↔나주 ↔광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내서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colbgcolor=#2976c3><colcolor=#fff> 고속버스 ↔서울경부 ↔동서울
전환시외 동대구 ↔ 진해 ↔나주 ↔광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마산남부 ]
{{{#!wiki style="margin: -5px 0;"
<colbgcolor=#2976c3><colcolor=#fff> 부산/울산/경남 ↔ 부산 ↔ 부산서부 ↔ 해운대
↔ 고성,통영 ↔ 진주(완행) ↔ 장승포(직행)
수도권 ↔ 서울남부
대구/경북 ↔ 대구서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진해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18ac5e><colcolor=#fff> 수도권 ↔ 동서울 ↔ 성남 ↔ 서울남부
부산/울산/경남 ↔ 부산서부(완행) ↔ 부산(동부) ↔ 울산
↔ 거제(고현) ↔ 마산고속, 내서
대구/경북 ↔ 서대구, 동대구
호남 ↔ 광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용원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18ac5e><colcolor=#fff> 수도권 ↔ 서울남부
부산/경남 ↔ 부산서부 ↔ 김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남산동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영남 ↔ 부산(서부) ↔ 동래, 해운대 ↔ 해운대(직통)
↔ 부산(동부) ↔ 울산 ↔ 거제(고현)
↔ 양산, 언양 ↔ 경주, 포항 }}}}}}}}}


파일:김해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김해시 시외버스,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고속버스 ]
{{{#!wiki style="margin: -3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569f><colcolor=#fff> 김해 ↔서울경부 ↔인천공항
장유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시외버스 ]
{{{#!wiki style="margin: -3px 0;"
<colbgcolor=#00569f><colcolor=#fff>
김해
수도권 ↔성남
대전/충청 ↔대전복합
부산/울산 ↔해운대 ↔울산
경남 ↔고성,통영 ↔밀양 ↔창녕 ↔용원
대구/경북 ↔대구서부 ↔경주,포항
호남 ↔광주,나주 ↔전주,익산,군산
장유
부산/울산 ↔부산서부 ↔해운대
진영
터미널 ↔밀양 ↔부산서부
공설운동장 ↔밀양,마산 }}}}}}}}}}}}




[1] 일 4회 김해여객터미널 시종착 [2] 과거에는 금호고속, 삼화고속과 공동 배차했지만 일반요금에 우등차량을 넣는 방식으로 경쟁에서 승리했다. [3] 예전에 금남고속에서 동대구 - 서산, 동대구 - 유성, 포항 - 경주 - 안산 - 인천, 포항 - 경주 - 세종 - 천안을 운행한 적이 있다가 코로나19의 여파로 철수했다. 중부고속에서는 천안 ↔︎ 마산, 창원 노선을 굴린 적이 있다가 철수했다. [4] 출퇴근 시간에는 2시간을 잡는 것이 좋다. 동래에서 출발한다면 만덕2터널 정체로 인해 여기서 20분 정도 더 잡아서 1시간 40분 ~ 2시간 20분 전에는 출발해야 한다. [5] 부산서부에서 대저안동네로 바로 가는 버스가 없다. [6] 김해 연장 노선을 통해 부산으로 가는 것에 대한 유용성은 부산교도소, 대저안동네 즈음까지가 한계다. 물론 시간이 맞지 않으면 부산서부로 간 뒤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 건 똑같다. [7] 1호선을 이용해도 되나, 금천구청역 환승 문제도 있고 배차도 적어서 3번이나 12번을 타는게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