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6:56:33

고속버스 인천공항-김해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인천광역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5eb8><colcolor=#fff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강원도 ↔양양, 속초
대전/충남 ↔대전복합 ↔천안, 아산 ↔태안 ↔서산
광주/전남 ↔광주 ↔목포, 진도 ↔순천 ↔여수
전북 ↔전주 ↔익산 ↔남원
부산/경남 ↔부산 ↔부산사상 ↔진주 ↔김해
대구/경북 ↔서대구, 동대구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수도권 ↔안산, 수원, 오산 ↔안양, 용인 ↔평택 ↔수원, 용인
↔성남 ↔고양, 파주 ↔이천 ↔안성
↔동서울 ↔가평
강원 ↔춘천 ↔원주 ↔강릉 ↔홍천
↔태백
대전/충청 ↔서산(한서대, 해미 경유) ↔청주 ↔음성 ↔증평
↔진천 ↔세종 ↔유성 ↔공주, 부여
↔충주 ↔제천 ↔청양, 부여 ↔청주대
↔당진 ↔보령
대구/경북 ↔구미, 대구서부 ↔문경, 상주 ↔영주, 안동 ↔경주, 포항, 울진
부산/울산/경남 ↔원지, 진주, 사천, 삼천포 ↔함양, 거창 ↔통영, 고현 ↔울산
↔마산, 창원
호남 ↔군산 ↔부안 ↔영광, 함평, 무안 ↔광양
↔완도
인천국제공항 지방버스
}}}}}}}}} ||



파일:인천국제공항공사 영문 로고_상하.svg 문서가 존재하는 인천국제공항 비수도권행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aab4><colcolor=#ffffff> 고속버스 ↔김해
시외버스
대전/충청 ↔청주 ↔대전복합 ↔당진,서산,태안
대구/경북 ↔동대구 ↔김천,상주,대구북부 ↔경산
↔안동
부산/울산/경남 ↔부산·해운대 ↔울산 ↔마산,창원
호남 ↔광주 ↔순천,여수 ↔영광,목포
↔광양,동광양
강원 ↔원주 ↔춘천 ↔강릉,동해,삼척
↔양양,속초
인천광역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 ||


파일:김해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김해시 시외버스,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고속버스 ]
{{{#!wiki style="margin: -3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569f><colcolor=#fff> 김해 ↔서울경부 ↔인천공항
장유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시외버스 ]
{{{#!wiki style="margin: -3px 0;"
<colbgcolor=#00569f><colcolor=#fff>
김해
수도권 ↔성남
대전/충청 ↔대전복합
부산/울산 ↔해운대 ↔울산
경남 ↔고성,통영 ↔밀양 ↔창녕 ↔용원
대구/경북 ↔대구서부 ↔경주,포항
호남 ↔광주,나주 ↔전주,익산,군산
장유
부산/울산 ↔부산서부 ↔해운대
진영
터미널 ↔밀양 ↔부산서부
공설운동장 ↔밀양,마산 }}}}}}}}}}}}


파일:김해인천프리.png
파일:icngheb-unn.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운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고속버스 인천공항 ↔ 김해
기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인천공항터미널) 종점 경상남도 김해시 외동( 김해여객터미널)
김해행 첫차 08:20 인천공항행 첫차 09:00
막차 17:55 막차 00:20
배차간격 1일 4회
소요시간 5시간 55분[1]
운수사명 동양고속, 삼화고속
경유 인천국제공항T2(하차: 3층/승차: 1층 1~4번홈) ↔ 인천국제공항T1(하차: 3층/승차: 지하1층 10C)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공항신도시JC ↔ 제2경인고속도로 ↔ 인천대교 ↔ 연수JC ↔ 학익JC ↔ 남동IC ↔ 인천종합터미널 ↔ 남동IC ↔ 제2경인고속도로 ↔ 서창JC ↔ 군자TG ↔ 영동고속도로 ↔ 여주JC ↔ 중부내륙고속도로 ↔ 선산휴게소 ↔ 칠원JC ↔ 남해고속도로 ↔ 냉정JC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장유IC ↔ 장유고속버스터미널 ↔ 58번 국도 ↔ 김해여객터미널

2. 개요

인천광역시 인천국제공항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여객터미널을 잇는 고속버스 노선. 동양고속, 삼화고속에서 운행하고 있다.

3. 역사

  • 2016년 12월 16일에 신설되었다.
  • 2017년 6월 30일부터 프리미엄 등급 차량을 운행한다.
  • 2024년 6월 1일부터 삼화고속 시간대가 1회 증회되었다. 동시에 한동안 임시 배차였던 동양고속 시간대도 정규 배차로 바뀌었다. [2]

4. 특징

  • 노선을 보면 인천광역시 경유지가 3개 정류장이 존재해도 고속버스로 운행하고 있는데, 인천국제공항의 경우 승차장 두 곳을 하나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환시외가 아니다.
  • 공항행 심야프리미엄은 고속버스 한정으로 한국에서 제일 요금이 높다. 이는 국내 고속버스 노선들 중 최장거리이고, 프리미엄 등급인데다가 심야할증까지 적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간에 운행하는 김해행 프리미엄은 적용되지 않는다.[3][4][5]
  • 전 구간 소요시간이 5시간 55분이다. 국내 고속버스 중 운행 거리와 소요 시간이 가장 길다.[6] 인천공항 2터미널에서 선산휴게소 가는 데만 3시간 30분이 걸릴 정도니... 그래서 공항에서 탑승한 승객은 인천터미널 정차 시 화장실을 한 번 다녀오곤 한다.[7]
  • 프리미엄 버스만 운행하면서, 선산휴게소 환승이 불가능하다.[8]
  • 동양고속과 삼화고속의 유일한 김해행 노선이자, 자사 최장거리 노선이다.
  • 현재 인천공항을 다니는 노선 중에 유일한 고속버스 노선이다.[9]
  • 인천공항 도착 후 공항 차고지로 가지 않고 인천터미널로 공차회송한다.

4.1. 시간표

모든 차량이 프리미엄 차량으로 운행한다.
2024년 6월 1일 기준
횟수 인천공항T2 인천공항T1 인천 장유 김해
1 08:20 08:45 09:35 00:35(심야) 00:20(심야)
2 13:00 13:25 14:15 09:15 09:00
3 15:20 15:45 16:35 16:35 16:20
4 17:55 18:20 19:10 22:15(심야) 22:00(심야)

4.2. 운임표

  • 인천공항 ↔ 김해
    • 프리미엄 : ₩ 60,800 [A]
    • 심야프리미엄 : ₩ 66,900[A]
  • 인천 ↔ 김해
    • 프리미엄 : ₩ 51,100 [A]
    • 심야프리미엄 : ₩ 56,100 [A]

5. 연계 철도역



[1] 교통상황에 따라 소요시간이 변경 될 수도 있다. [2] 2024년 4월 1일에 인천-부산사상 노선에서 삼화고속이 철수하면서 사실상 대체 노선이 된다. [3] 시외버스까지 포함하면 인천공항-여수 심야프리미엄이 71,600원으로 제일 높다. [4] 2023년 7월 11일 요금인상으로 64,700원이다. 다만, 이는 할인된 것으로, 원래 운임은 70,400원이다. [5] 만약 할인이 없고 할증프리미엄이 있다면 76,800원이라는 엄청난 요금을 받게 된다. [6] 강진광주고속도로가 제주로 연장되어 서울호남-제주 고속버스 노선이 운행하게 된다고 쳐도 소요 시간은 5시간 20분이다. 다만 거리는 500km에 육박하여 인천공항-김해 노선보다도 40km 이상 더 길다. [7] 인천터미널에서 출발시간을 맞추기 위해 보통 화장실 한 번 다녀오라고 기사가 권유한다. 공항행 또한 심야차량 한정으로 화장실 이용을 위해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8] 간혹 임시차로 우등이 운행하는 경우가 있으나 환승은 불가능하다. [9] 인천공항-양양 노선은 처참한 수요로 인해 프리미엄에서 우등으로 변경되다가 폐선되었고, 양산 노선은 코로나까지 더해져서 폐선. [A] 8% 상시할인. [A] [A] [A]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