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Windows 10, Windows 11을 탑재한 노트북, UMPC 등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는 신규 절전모드 시스템.2. 상세
모바일 플랫폼 진출을 위해 MS가 야심차게 공개한 모드. 2010년대 무렵, 애플의 iPhone, iPad, 구글의 안드로이드 기반 저전력 휴대용 기기들이 항상 인터넷에 접속하여 알림이나 전화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게 일상화되자 마이크로소프트가 이에 대응하여 윈도우 노트북에 사용되던 기존의 S3 절전모드를 대체하기 위해 S0 절전모드를 도입한다.Windows XP의 대기 모드(Stand by)와는 관련 없다. " sleep"이 아니라 " standby"이기 때문에 절전량은 레거시 절전 모드보다도 적지만 화면을 껐다 키는 수준으로 복귀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특징이다.
Windows 8에서는 연결된 대기 모드(Connected Standby)가 제공됐다. 이 동안 ROM이나 랜카드 등을 켜놓아서 정말 메모리만 저장하고 아무것도 안 하는 레거시 절전 모드와는 달리 스탠바이 중 업데이트나 메일 수신 등을 이것저것 하기 시작한다.
Windows 10에 와서 최신 대기 모드(Modern Standby)로 개편되어 대기 중에도 정말 할 일이 없어졌거나 배터리 소모량이 너무 많다고 여겨질 경우 인터넷 연결마저 끊어 S3와 비슷한 상태로 돌입하며, 그래도 너무 오래 방치되었거나 배터리 소모량이 여전히 많을 경우 최대 절전 모드로 진입한다.
3. 문제점
이 모드의 단점은 절전 중에 뭔가를 자꾸 한다는 것. 그래서 궁합이 안 맞는 노트북의 경우 배터리가 녹아내리거나 팬이 풀로드로 돌아 뜨겁게 달궈져 있는 걸 볼 수 있다. 인터넷에서 #가방 #노트북 #발열로 검색해보면 공기도 통하지 않는 가방속에서 뜨겁게 달아오른 노트북을 꺼낸 경험담들을 어렵지 않게 읽어볼 수 있다. 이럴 줄 알고 MS는 Windows 8부터 InstantGo 또는 InstantOn 규격을 공개하며 표준을 확립하려 했지만, 이름조차 정립되지 않을 걸 보다시피 제조사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사실 '이상적인' 경우에는 굉장히 편리하다. 업무를 보다가 잠깐 노트북을 가방에 넣고 한겨울에 외출, 돌아와서 그대로 다시 노트북을 꺼내면 켜지는 속도는 사실상 1초 수준, 배터리는 20% 정도 달아 있고 작업 중이던 창이 그대로 다 살아 있어 다시 충전기를 연결하고 작업을 재개하면 된다. 때문에 S0 절전모드가 미래세계다!!라며 너도나도 도입하는 것이 이론상 좋게 들릴지는 모르나, 현실은 시궁창이다. 2024년(현시점) 기준으로 볼 때, ARM 기반의 저전력 모바일 기기에서나 Standby 방식의 절전모드가 실현될 수 있지[2], Windows on ARM이 아닌, 통상의 윈도우가 구동되는 " 전력을 많이 잡아먹고 발열이 심한 대칭형 X86(x64)"기반의 인텔, AMD 탑재 노트북의 경우 CPU가 구동되는 순간 전기를 퍼먹기 때문에 절전 없는 절전모드가 되어버린다. 당장 위에 적어놓은 '이상적인' 경우도 아래의 문제 상황이 모두 해결내지 경감되는 적절한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다. 집에서 외출했기 때문에 배터리는 완충 상태, 뜨거운 노트북을 식혀주는 적절한 계절, 그로 인해 맞춰진 배터리에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온도에, 운 좋게 피한 윈도우 업데이트 등... 반대로 말해서 저 상황이 갖춰져 있지 않으면 아래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심지어 ARM 기반의 맥북도 절전 상태에서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게 해두면 배터리가 닳는다고 한다. 그래서 기본 설정이 절전 상태에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
- 바닥난 배터리 - 절전모드에서 노트북이 전기절약상태로 있지 않고 계속 백그라운드에서 무엇인가 돌아가는 상태로 몇 시간 지속되면 배터리가 방전되어, 노트북를 사용하려고 뚜껑을 열자마자 장비를 정지합니다라며 최대절전모드로 들어가는 노트북을 바라보는 경우가 종종 일어난다.
- 뜨거운 가방 - 노트북을 사용하려고 가방을 열면 열기가 훅 올라오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노트북이 가방 안에서 이메일을 동기화 한다고 CPU가 구동되면 열심히 일한만큼 발열이 생기며, 가방이 스폰지나 라텍스로 충격방지가 잘 갖춰지면 갖춰질수록 열기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노트북과 함께 가방속에 잘 가두어진다. 방열을 위해 금속제로 마감된 노트북의 경우 표면이 저온화상을 입을 정도로 뜨겁게 달아오를 수도 있다.
- 배터리 스웰링 - 과한 발열은 노트북 내부 부품들을 빨리 노화시키게 되며, 특히 열에 취약한 배터리가 하루하루 부풀어 오를 수 있다.
- 날아간 작업물 - 절전모드 중에 윈도우 업데이트를 진행하여 재부팅이 된다. 무엇인가 작성중인 문서가 있다면 자동저장 없이는 깨끗이 날라갔을 것이다. 컴퓨터 사용 시간을 측정해 하루 중 컴퓨터를 안쓰는 시간대에 진행한다고는 하지만, 노트북을 하루 이상 덮어두는 날에는...
Microsoft도 설계 초기부터 이 문제를 염두에 뒀는지, 배터리 소모량이 시간당 5% 이상으로 너무 많거나, 모던 스탠바이가 장시간 실행되면 네트워크 연결 등을 하나씩 끊다가 나중에는 최대 절전 모드로 전환되도록 세팅해놓았는데, 문제는 그 '장시간'이 12시간(...) 무엇보다 온도는 측정하지 않는다. 그러니까 MS 말대로라면, 평상시 노트북 배터리를 절반 이상 유지해야 사망하는 걸 방지할 수 있다.[3] 아니 사망하지 않고 버텨도 노트북을 꺼냈을 때쯤이면 이미 배터리가 10%... 심지어 시중에 팔리는 노트북 대부분의 '카탈로그' 스펙이 많아봤자 20시간, 게이밍 노트북은 반의 반토막이다. 그 전에 배터리가 바닥난다.
사실 대기시간 13일이라는 MS의 터무니 없는 주장을 ' Windows on ARM'에 대입해보면 그제서야 얼추 들어맞기 시작한다. 같은 ARM64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이 정말 아무것도 안 하고 냅두면 배터리 타임이 며칠은 간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즉, MS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Modern Standby는 특정 하드웨어에서야 온전히 발휘할 수 있는 반쪽짜리 기능인데, 이런 불완전한 기술을 모든 PC에, 그것도 궁합이 안 맞는 하드웨어에도 풀어버리니 문제가 된다.
과거에는 S0 절전모드가 어디까지나 옵션이었고 기존에 있던 정상 작동하는 S3 절전모드를 쓸 수 있었는데 2020년부터 해당 옵션이 사라져서 Windows 노트북 사용자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S0 슬립을 사용해야만 한다.[4]
심지어 이 모던 스탠바이는 레거시 절전 모드 설정과는 별개로 작동하기 때문에, 화면 꺼짐 시간을 조절한다던가 해도 모던 스탠바이에 돌입하는 걸 막을 수 없다. 이 때문에 화면 꺼짐 시간을 최대한으로 늘려놨는데도 잠금화면으로 들어간다는 사용자들의 원성이 자자하다.
그나마 해결책으로는 덮개를 닫을 때 절전모드 대신 Hibernate인 최대 절전 모드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저장공간을 잡아먹고 재시동도 상당히 느려져서 불편하다. 또한 SSD 수명이 빨리 닳게 된다는 것도 단점. 그래도 CPU나 교체가 어려운 배터리에 문제가 생기는 것보다 비교적 쉽게 교체할 수 있는 SSD를 희생하는 쪽이 더 낫다.
4. 기타
- 해외에 비해 데스크탑 점유율이 높은 한국에서는 아직까지는 이슈화되지 않은 듯하다.
- Mac의 경우 평상시에는 S3 절전모드(레거시 절전)가 적용되고 전원에 연결되어 있을 때만 S0 절전모드(모던 스탠바이)가 적용되기 때문에 상기한 단점이 없고, 뿐만 아니라 설정에서 사용자의 입맛에 맞춰 변경 가능하다. 해외에서는 Mac의 잠자기 기능 때문에 Windows 노트북 사용자들이 MacBook으로 갈아타는 경우도 종종 있다.
- Steam Deck이 월등한 절전모드 덕분에 Windows를 탑재한 타 핸드헬드 게이밍 PC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다.
5. 관련 문서
[1]
Windows 10부터는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해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 근데 자동 업데이트 중단 기능이
삭제됐다
[2]
실제로 ARM은
ARM big.LITTLE 솔루션으로 이런 작업을 리틀코어로 돌려서 전력량 감소를 꾀하는 것이 기본이다. 인텔도 12세대 코어 i 시리즈부터 비슷한 구조를 취한 이유 중 하나가 이것.
[3]
절전이라는 게 남은 배터리를 아끼기 위해, 즉슨 배터리 소모 중에 이루어지는 게 보통인데, 5~10분씩 깔짝대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상황에서 배터리가 완충 상태일 수가 없다.
[4]
이 강제 사항을 우회하는 'CsEnable' 레지스트리 수정이 있었는데, 그것조차도 막아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