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03:08:23

FIBA 아시아컵

FIBA 아시아 컵에서 넘어옴
파일:FIBA 아시아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네팔 국기.svg
<colbgcolor=#dcdcdc,#383b40> 네팔
파일:대만 국기.svg
<colbgcolor=#dcdcdc,#383b40>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olbgcolor=#dcdcdc,#383b40> 대한민국
파일:라오스 국기.svg
<colbgcolor=#dcdcdc,#383b40>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 ||

FIBA 아시아컵
파일:FIBA 아시아 컵 로고.svg
정식 명칭 FIBA 아시아컵
(FIBA Asia Cup)
창설 1960년
참가 자격 FIBA 아시아에 등록한 국가대표팀 중
개최국 및 권역별 예선[1]을 통과한 총 16개국
최근 우승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2022)
최다 우승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6회)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역대 대회 개최국 및 대회 결과4. 역대 MVP5. 역대 대회별 대한민국 대표팀 성적 및 선수 명단
5.1. 1960~70년대5.2. 1980~90년대5.3. 2000년 이후 ~ 현재

[clearfix]

1. 개요

FIBA 아시아가 주관하는 국가 대항 농구 대회. 아시안 게임 농구 경기와 더불어 아시아 최강의 농구 국가대표팀을 가리는 대회.

2. 역사

1960년 마닐라에서 열린 1회 대회를 제외하곤 매 홀수해에 2년마다 개최되었으며, 2015년 창사 대회까지 총 28회의 대회를 치렀다. 대회 명칭은 1회부터 22회(2003 하얼빈시 대회) 때까지는 "Asia Basketball Conference (ABC) Championship(아시아농구연맹 선수권 대회)"이라 국내 언론에서도 "ABC 대회"라고 불렀었고, FIBA에서 각 대륙별 대회들을 총괄하기 시작한 2005년 도하 대회 때부터 "FIBA Asia Championship(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로 명칭이 변경되어 2015년 창사 대회 때까지 사용되었다. 2017년 29회 대회부터는 공식명칭이 '"FIBA Asia Cup(FIBA 아시아 컵)"으로 변경되고 대회도 4년마다 개최된다.

1975년 8회 방콕 대회 때부터 처음 참가한 중국이 총 16회 우승컵을 가져가면서 아시아 최강 자리를 유지하고 있고, 대회 초창기 우승컵을 석권했던 필리핀이 5회 우승으로 그 뒤를 잇고 있지만 1985년 13회 콸라룸푸르 대회 이후엔 우승이 없다. 21세기 들어 중동팀들이 강세를 보이기 시작했으나, 신흥 강호 이란이 3차례(2007, 2009, 2013) 우승컵을 들었을 뿐 레바논, 요르단 등은 각각 준우승만 2회, 1회 하는데 그쳤다.

3회 대회인 1965 콸라룸푸르 대회 때부터 각 대회별 최종성적 순으로 올림픽, 세계선수권 대회 출전권을 부여해왔으나, 이는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지역예선이었던 2015년 창사 대회가 마지막이었다. 2019 중국 농구 월드컵 때부터는 축구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홈 앤드 어웨이 형식의 지역예선전을 치를 예정이라, 향후 FIBA 아시아컵은 축구의 AFC 아시안컵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아시아 권역별 대회의 의미만 갖게 된다.[2]

2017년 대회부터 오세아니아 챔피언십이 아시아 챔피언십에 통합되면서 호주와 뉴질랜드가 참가하게 되었다. 이로써 그동안 중국이 상당수 우승을 독점하다시피 했던 이 대회 판도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호주는 여러 번 올림픽 4강까지 진출하고 2016 리우 올림픽에선 농구 강호 리투아니아를 90-64로 크게 이긴 만큼 농구로는 세계적 강호다. 2014년에는 남자 농구 랭킹 세계 2위까지 오를 정도다. 처음으로 참가한 2017 대회에서 호주는 아시아 최강급인 중국을 8강에서 97-71, 결승에서 이란도 79-56으로 이기면서 전승 우승을 차지했다.

2021년 대회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원래 8월 17일부터 29일까지 열릴 예정이었으나, 인도네시아 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2022년 7월로 1년 연기되었다. 이번 대회에서는 전통 강호였던 중국이 조별리그에서는 한국에게 패배하고 레바논에 8강 탈락, 이란이 요르단에게 8강 탈락하며 이제 더 이상 과거의 위용을 보이지 못하게 되었다. 그리고 호주와 뉴질랜드가 두 대회 연속으로 4강에 들었다.

3. 역대 대회 개최국 및 대회 결과

연도 개최지 참가국 수 대회 결과 세계대회 진출권 비고
우승 준우승 3위 4위 올림픽 FIBA
농구 월드컵
1960 파일:필리핀 국기.svg 마닐라 7[3] 필리핀 대만 일본 대한민국
1963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타이베이시 8 필리핀 대만 대한민국 태국 대한민국 [4]
1965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10 일본 필리핀 대한민국 태국 일본
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10 필리핀 대한민국 일본 인도네시아 필리핀
대한민국
1969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9 대한민국 일본 필리핀 대만 대한민국
1971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9 일본 필리핀 대한민국 대만 일본
필리핀
1973 파일:필리핀 국기.svg 마닐라 12 필리핀 대한민국 대만 일본 필리핀
1975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13 중국 일본 대한민국 인도 일본 [5]
1977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14 중국 대한민국 일본 말레이시아 중국
대한민국
1979 파일:일본 국기.svg 나고야 13 중국 일본 대한민국 필리핀 인도(5위) [6]
1981 파일:인도 국기.svg 콜카타 12 중국 대한민국 일본 필리핀 중국
1983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홍콩 15 중국 일본 대한민국 쿠웨이트 중국
1985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15 필리핀 대한민국 중국 말레이시아 대한민국
중국
말레이시아
[7]
1987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15 중국 대한민국 일본 필리핀 중국 [8]
1989 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시 15 중국 대한민국 대만 일본 중국
대한민국
1991 파일:일본 국기.svg 고베시 18 중국 대한민국 일본 대만 중국
1993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자카르타 18 중국 북한 대한민국 이란 중국
대한민국
[9]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19 중국 대한민국 일본 대만 중국
대한민국
1997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15[10] 대한민국 일본 중국 사우디
아라비아
대한민국
일본
1999 파일:일본 국기.svg 후쿠오카 15 중국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대만 중국
2001 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시 14 중국 레바논 대한민국 시리아 중국
레바논
2003 파일:중국 국기.svg 하얼빈시 16 중국 대한민국 카타르 레바논 중국
2005 파일:카타르 국기.svg 도하 16 중국 레바논 카타르 대한민국 중국
레바논
카타르
2007 파일:일본 국기.svg 도쿠시마현 16 이란 레바논 대한민국 카자흐스탄 이란 [11]
2009 파일:중국 국기.svg 톈진시 16 이란 중국 요르단 레바논 이란
중국
요르단
2011 파일:중국 국기.svg 우한시 16 중국 요르단 대한민국 필리핀 중국 [12]
2013 파일:필리핀 국기.svg 마닐라 15 이란 필리핀 대한민국 대만 이란
필리핀
대한민국
2015 파일:중국 국기.svg 창사시 16 중국 필리핀 이란 일본 중국 [13]
2017 파일:레바논 국기.svg 베이루트 16 호주 이란 대한민국 뉴질랜드 폐지 [14]
2021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자카르타 16 호주 레바논 뉴질랜드 요르단
순위 국가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6 1 2
2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5 4 1
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3 1 1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 11 12
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 5 7
6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 0 0
7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0 4 0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0 2 2
9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0 1 1
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0 1 0
11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0 0 2
1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0 0 1
12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0 0 1

4. 역대 MVP

대회 MVP 소속팀 성적 대회 베스트 5
1960
마닐라
카를로스 바디온 필리핀 우승 G: 후앙쿤킁(타이완) 알폰소 마르케스(필리핀)
F: 김영기(대한민국) 카를로스 바디온(필리핀)
C: 카를로스 로이사가(필리핀)
1983
홍콩
궈융린 중국 우승 F: 이충희(대한민국) 궈융린(중국)
1985
콸라룸푸르
알란 카이딕 필리핀 우승 G: 쑨펑우(중국) 아벨리노 림(필리핀)
F: 이충희(대한민국) 알란 카이딕(필리핀) 장빈(중국)
1987
방콕
이충희 대한민국 준우승 G: 쑨펑우(중국) 허재(대한민국)
F: 이충희(대한민국) 알빈 파트로모니오(필리핀) 장빈(중국)
1989
베이징
1991
고베
1993
자카르타
1995
서울
허재 대한민국 준우승
1997
리야드
전희철 대한민국 우승
1999
후쿠오카
후웨이둥 중국 우승
2001
상하이
야오밍 중국 우승 G: 왈리드 엘도미아티(레바논)
F: 파히드 엘카티프(레바논)
C: 야오밍(중국) 왕즈즈(중국) 서장훈(대한민국)
2003
하얼빈
야오밍 중국 우승
2005
도하
야오밍 중국 우승
2007
도쿠시마
하메드 하다디 이란 우승
2009
톈진
하메드 하다디 이란 우승
2011
우한
이젠롄 중국 우승 PG: 샘 더글러스(요르단) SG: 가와무라 다쿠야(일본)
SF: 사마드 니카 바라미(이란) PF: 이젠롄(중국)
C: 하메드 하다디(이란)
2013
마닐라
하메드 하다디 이란 우승 PG: 제이슨 윌리엄(필리핀) SG: 김민구(대한민국)
SF: 린즈제(타이완) PF: 오신 사하키안(이란)
C: 하메드 하다디(이란)
2015
창사
이젠롄 중국 우승 PG: 제이슨 윌리엄(필리핀) SG: 궈아이룬(중국)
SF: 사마드 니카 바라미(이란) PF: 이젠롄(중국)
C: 저우치(중국)
2017
베이루트
하메드 하다디 이란 준우승 PG: 셰이 일리(뉴질랜드) SG: 모함마드 잠시디(이란)
SF: 파디 엘카티브(레바논) PF: 오세근(대한민국)
C: 하메드 하다디(이란)
2022
자카르타
와엘 아라지 레바논 준우승 PG: 와엘 아라지(레바논) SG: 미치 매캐런(호주)
SF: 토히 스미스밀러(뉴질랜드) PF: 손 메이커(호주)
C: 저우치(중국)

5. 역대 대회별 대한민국 대표팀 성적 및 선수 명단

5.1. 1960~70년대

대회 대표팀 성적 선수 명단
순위 전적 가드 포워드 센터
1960
마닐라
4위 3 - 6 강태하 강현성 김동하 김영기 김진호 백남정 백영기 안영식 이종환 임영보 장기춘 천상희
1963
타이페이
3위 7 - 3 김인건(연세대) 김영기(농협)
김무현(공군) 이규창(기업은)
신동파(연세대) 정진봉(해병대)
문현장(한국은) 이인표(산업은)
하의건(연세대) 방열(연세대)
김영일(연세대)
이경우[15](기업은)
1965
콸라룸푸르
3위 6 - 3 김인건(연세대) 김영기(기업은)
김무현(고려대) 서충원(연세대)
신동파(연세대) 정진봉(해병대)
이인표(해병대) 문현장(한국은)
김영일(공군) 김영훈(한국은)
김종선(산업은) 김영기(해병대)
1967
서울
준우승 8 - 1 김인건(해병대) 김무현(기업은)
신현수(고려대) 김철갑(한국은)
신동파(육군) 이인표(산업은)
곽현채(연세대) 하의건(육군)
이병국(육군)
김영일(한국은) 박한(고려대)
최종규(해병대)
1969
방콕
우승 8 - 0 김인건(해병대) 유희형(전매청)
신현수(산업은) 조승연(기업은)
신동파(육군) 이인표(산업은)
곽현채(연세대) 최종규(해병대)
서상철(고려대)
김영일(한국은) 박한(산업은)
이자영(경희대)
1971
도쿄
3위 6 - 2 김인건(한국은) 유희형(전매청)
신현수(산업은) 최경덕(연세대)
신동파(기업은) 이인표(산업은)
곽현채(육군) 최종규(해병대)
강호석(한양대)
이자영(한국은) 박한(산업은)
차성환(기업은)
1973
마닐라
준우승 9 - 1 김동광(고려대) 유희형(전매청)
최경덕(육군)
신동파(기업은) 최종규(한국은)
곽현채(기업은) 강호석(해병대)
이보선(연세대) 박형철(고려대)
이자영(한국은) 박한(산업은)
이광준(산업은)
1975
방콕
3위 6 - 2 김동광(기업은) 유희형(전매청)
곽현채(기업은) 김팽년(고려대)
강호석(기업은) 박형철(해군)
황재환(한국은) 이보선(육군)
신선우(연세대)
이자영(한국은) 이광준(산업은)
김인진(산업은)
1977
콸라룸푸르
준우승 7 - 1 김동광(기업은) 유희형(전매청)
박수교(연세대) 김팽년(고려대)
강호석(기업은) 박형철(산업은)
박인규(연세대) 진효준(고려대)
박상웅(해군)
이광준(산업은) 정영수(한국은)
김인진(산업은)
1979
나고야
3위 6 - 1 김동광(기업은) 박수교(현대)
박인규(삼성) 이민현(고려대)
이충희(현대) 진효준(삼성)
황유하(현대) 박상웅(기업은)
이영근(한양대)
임정명(고려대) 신선우(현대)
조동우(연세대)

5.2. 1980~90년대

대회 대표팀 성적 선수 명단
순위 전적 가드 포워드 센터
1981
콜카타
준우승 6 - 1 김동광(기업은) 이민현(고려대)
김현준(연세대)
이충희(현대) 임정명(삼성)
오동근(한국은) 이영근(삼성)
장봉학(삼성)
조동우(삼성) 박종천(현대)
안종관(기업은) 이장수(현대)
1983
홍콩
3위 5 - 2 박수교(현대) 신동찬(삼성)
이문규(현대) 김현준(삼성)
이충희(현대) 임정명(삼성)
박인규(삼성) 이민현(기업은)
조명수(현대) 박종천(현대)
김유택(중앙대) 한기범(중앙대)
1985
콸라룸푸르
준우승 5 - 1 허재(중앙대) 김현준(삼성)
이문규(현대) 유재학(연세대)
이충희(현대) 박인규(삼성)
오세웅(삼성)
김유택(중앙대) 조동우(삼성)
이장수(현대) 한기범(기아)
김성욱(국민대)
1987
방콕
준우승 7 - 1 허재(중앙대) 김현준(삼성)
유재학(기아) 윤병식(산업은)
이원우(현대)
이충희(현대) 이문규(현대)
오세웅(삼성)
김유택(기아) 한기범(기아)
김윤호(삼성) 이장수(현대)
1989
베이징
준우승 7 - 1 허재(기아) 김현준(삼성)
강동희(중앙대) 이원우(현대)
김진(삼성)
이충희(현대)
김영철(삼성) 이민형(기업은)
김유택(기아) 한기범(기아)
최병식(현대) 김윤호(삼성)
1991
고베
준우승 8 - 1 허재(기아) 김현준(삼성)
강동희(기아) 이영주(현대)
강정수(기아)
문경은(연세대) 정재근(상무)
손영기(삼성)
김유택(기아) 최병식(상무)
표필상(중앙대) 이호근(현대)
1993
자카르타
3위 5 - 1 강동희(기아) 오성식(상무)
이상민(연세대) 김상식(상무)
김지홍(현대)
문경은(연세대) 정재근(상무)
김영만(중앙대)
김유택(기아) 서장훈(연세대)
한기범(기아) 전희철(고려대)
1995
서울
준우승 6 - 2 강동희(기아) 허재(기아)
이상민(상무) 오성식(SBS)
문경은(삼성) 현주엽(고려대)
김영만(기아) 정재근(SBS)
우지원(연세대)
전희철(동양)
정경호(현대) 조동기(기아)
1997
리야드
우승 7 - 1 강동희(기아) 이상민(현대)
김승기(삼성) 김병철(동양)
문경은(삼성) 정재근(SBS)
우지원(대우) 양희승(LG)
양경민(상무) 현주엽(고려대)
전희철(동양)
서장훈(연세대)
1999
후쿠오카
준우승 6 - 2 강동희(기아) 허재(삼보)
이상민(현대) 조성원(LG)
김영만(기아) 현주엽(SK)
추승균(현대) 조상현(SK)
서장훈(SK)
박재헌(LG) 이은호(대우)
정경호(삼보)

5.3. 2000년 이후 ~ 현재

대회 대표팀 성적 선수 명단
순위 전적 가드 포워드 센터
2001
상하이
3위 7 - 1 주희정(삼성) 김병철(동양)
황성인(상무) 조성원(LG)
양경민(TG) 추승균(현대)
조상현(SK) 이규섭(삼성)
김동우(연세대)
서장훈(SK) 김주성(중앙대)
김태완(한양대)
2003
하얼빈
준우승 7 - 1 이상민(KCC) 김병철(동양)
김승현(동양) 조우현(LG)
문경은(빅스) 이규섭(상무)
방성윤(연세대) 추승균(KCC)
양희승(SBS)
김주성(TG) 이창수(모비스)
하승진(삼일상고)
2005
도하
4위 5 - 3 이상민(KCC) 김승현(동양)
신기성(KTF)
문경은(전자랜드) 현주엽(LG)
방성윤(로어노크) 추승균(KCC)
양희승(SBS) 정훈(상무)
김주성(TG) 서장훈(삼성)
하승진( 포틀랜드)
2007
도쿠시마
3위 6 - 2 김승현(오리온스) 양동근(상무)
신기성(KTF) 강병현(중앙대)
김동우(모비스) 양희종(KT&G)
윤호영(중앙대) 김민수(경희대)
차재영(고려대)
김주성(동부) 하승진(애너하임)
이동준(오리온스)
2009
톈진
7위[16] 6 - 3 주희정(SK) 양동근(모비스)
이정석(삼성) 강병현(KCC)
양희종(상무) 김민수(SK)
방성윤(SK) 이규섭(삼성)
김주성(동부) 오세근(중앙대)
하승진(KCC) 이동준(오리온스)
2011
우한
3위 7 - 2 양동근(모비스) 강병현(상무)
박찬희(KGC) 조성민(KT)
이정석(삼성)
문태종(전자랜드) 양희종(KGC)
김영환(KT)
김주성(동부) 오세근(KGC)
하승진(KCC) 김종규(경희대)
2013
마닐라
3위 7 - 2 양동근(모비스) 조성민(KT)
김태술(KGC) 김선형(SK)
김민구(경희대)
윤호영(동부)
최준용(연세대) 문성곤(고려대)
김주성(동부) 김종규(경희대)
이승준(동부) 이종현(고려대)
2015
창사
6위[17] 5 - 4 양동근(모비스) 조성민(KT)
김태술(KCC) 박찬희(KGC)
문태영(삼성) 이승현(오리온)
이정현(KGC) 최준용(연세대)
강상재(고려대) 문성곤(고려대)
김종규(LG)
이종현(고려대)
2017
베이루트
3위 5 - 2 박찬희(전자랜드) 이정현(KCC)
김선형(SK) 허웅(상무)
최준용(SK)
임동섭(상무) 전준범(모비스)
양홍석(중앙대)
오세근(KGC) 김종규(LG)
이승현(상무) 이종현(모비스)
2021[18]
자카르타
6위 3 - 1 허훈(상무) 허웅(KCC)
이대성(가스공사)
이우석 (현대모비스) 최준용(SK)
양홍석(kt) 강상재(DB)
송교창(상무)
라건아(KCC) 이대헌(가스공사)
장재석(현대모비스) 김종규(DB)


[1] 동아시아(EABA), 동남아시아(SEABA), 중앙아시아(CABA), 남아시아(SABA), 걸프(GBA), 서아시아(WABA)로 구분해 각 지역별 대회를 연다. 각 권역별 대표팀의 전력 차가 크기 때문에, 권역별로 출전권이 다르게 부여한다. 또한 권역별 대회에서 탈락한 국가에 대해서도 FIBA 랭킹 및 전 대회 성적을 기준으로 추가 출전권을 부여, 총 16개국을 선정한다. [2] 단순히 아시아 권역별 대회의 의미만 갖는 남자 대회와는 달리 여자 대회는 여전히 농구 월드컵 본선 티켓이 걸려있다. [3] 1960년 1회 마닐라 대회부터 1983년 12회 홍콩 대회까지는 별도의 지역별 예선 없이 아시아농구연맹(ABC)에 소속된 모든 회원국이 참가할 수 있었다. (회원국 자체가 적어서) [4] 대회 3위 자격으로 비유럽 최종예선에 진출한 대한민국이 풀리그에서 4위를 기록하면서 올림픽에 출전하였다. 아시아 국가들 중 최종예선을 통해서 본선에 진출한 사례는 이것이 유일하다. [5] 우승팀 중국이 올림픽 출전을 거부하면서 출전권은 준우승팀 일본에게 넘어갔다. [6] 1위부터 4위까지 전부 기권을 때리는 바람에 5위 인도에게까지 출전권이 넘어갔다. 대회에서 4강에 들지 못하고도 출전권을 획득한 유일무이한 사례이다. [7] 우승팀 필리핀은 정치적인 사유로 기권하면서 4위를 기록한 말레이시아가 대신 출전하게 되었다. [8] 대한민국은 1988 서울 올림픽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권이 있었다. [9] 준우승팀 북한이 조별예선에서의 승부조작 혐의로 인해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박탈당해, 3위였던 대한민국이 어부지리로 세계선수권에 나가게 되었다. 북한은 결선 토너먼트 대진표상 4강에서 만나게될 중국을 피하기 위해 조별예선 마지막 경기 대만전을 고의로 몰수패당하는 추태를 저질렀다. 대한민국은 4강에서 중국을 만나 패했었다. [10] 참가신청국이 많아지면서 이때부터 권역별 예선전을 치르기 시작했다. 동남아시아는 1996년부터, 동아시아는 2009년부터 권역별 예선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동아시아 4강 중국/대한민국/일본/대만 중 한팀이 예선에서 탈락하는 경우는 단 한 번도 없었다.) [11] 중국은 2008 베이징 올림픽 개최국 자동 출전권이 있었다. 대회 최종순위 2, 3위였던 레바논과 대한민국은 2008 베이징 올림픽 세계 예선전 출전권을 얻었지만 둘 다 예선 탈락했다. [12] 대회 최종순위 2, 3위였던 요르단과 대한민국은 2012 런던 올림픽 세계예선전 출전권을 얻었지만, 결과는 모두 탈락. [13] 대회 최종순위 2위 필리핀이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세계예선전을 개최하면서 3, 4위였던 이란과 일본까지 세계예선전 출전권을 얻었다. 필리핀이 꽤나 선전했지만 결국엔 모두 탈락했고 아시아컵 우승국인 중국만 올림픽 본선에 출전했다. [14] 오세아니아 챔피언십이 아시아 챔피언십에 통합. 이로써 기존 오세아니아 챔피언십은 없어졌다. [15] 전 광주나산 플라망스 선수이자 전 고려대 감독인 이민형의 부친이다. [16] 전임감독이던 김남기 감독이 생계 문제로 인해 고양 오리온스의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국가대표 감독직을 그만두고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허재 감독이 임시 감독으로 국가대표를 맡았던 시절. 대한민국은 당시 8강에서 레바논에게 65-68로 패하며 아시아선수권 사상 최초로 4강에 들지 못했다. 그 뒤 대만에게 순위 결정전에서 패했고, 7-8위 결정전에서 겨우 승리를 거두고 7위로 대회를 마감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농구 팬들에겐 톈진 참사로 알려져 있는 그 대회가 맞다. [17] 김동광 감독이 이끌던 대한민국 대표팀은 최종 순위 6위라는 실망스러운 성적을 거두었다. 애초에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때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지원으로 말이 많았고 (세탁비가 없어 최준용, 강상재 등 막내 선수들이 호텔에서 유니폼을 빨았다.) 농구협회가 방문한 회식에선 계란말이를 먹이는등.. 열악한 환경에서도 최선을 다한 선수들에게는 비판보다는 이해의 목소리가 컸다. 하지만 방열 대한민국농구협회장은 다시 한번 모든 농구팬들의 공적이 되었다. [18] 2021년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로 1년 연기되어 2022년에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