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
캐스터 | 최두영 | 조주영 | 이승현 | 손상혁 |
변효성 | 김민준 | 백승협 | 김영찬 | ||
해설자 | 이민재 | 추승균 | 신기성 | 이상윤 | |
이규섭 | 김태술 | 정영삼 |
이규섭의 수상 및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반지 | |
2001 | 2006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
1997-98 시즌 | 1998-99 시즌 | 1999-2000 시즌 | 2000-01 시즌 | 2001-02 시즌 |
현주엽 고려대 / SK / 포워드 |
조상현 연세대 / 나산 / 포워드 |
이규섭 고려대 / 삼성 / 포워드 |
송영진 중앙대 / LG / 포워드 |
김주성 중앙대 / TG / 포워드 |
|
2002-03 시즌 | 2003-04 시즌 | 2004-05 시즌 | 2005-06 시즌 | 2007-08 시즌 | |
김동우 연세대 / 모비스 / 포워드 |
양동근 한양대 / KCC / 가드 |
방성윤 연세대 / KTF / 포워드 |
전정규 연세대 / 전자랜드 / 가드 |
김태술 연세대 / SK / 가드 |
|
2008-09 시즌 | 2009-10 시즌 | 2010-11 시즌 | 2011-12 시즌 | 2012-13 시즌 | |
하승진 연세대 / KCC / 센터 |
박성진 중앙대 / 전자랜드 / 가드 |
박찬희 경희대 / KT&G / 가드 |
오세근 중앙대 / 인삼공사 / 센터 |
김시래 명지대 / 모비스 / 가드 |
|
2013 시즌 | 2013-14 시즌 | 2014-15 시즌 | 2015-16 시즌 | 2016-17 시즌 | |
장재석 중앙대 / SK / 센터 |
김종규 경희대 / LG / 센터 |
이승현 고려대 / 오리온스 / 포워드 |
문성곤 고려대 / KGC / 포워드 |
이종현 고려대 / 모비스 / 센터 |
|
2017-18 시즌 | 2018-19 시즌 | 2019-20 시즌 | 2020-21 시즌 | 2021-22 시즌 | |
허훈 연세대 / kt / 가드 |
박준영 고려대 / kt / 포워드 |
박정현 고려대 / LG / 센터 |
차민석 제물포고 / 삼성 / 포워드 |
이원석 연세대 / 삼성 / 센터 |
|
2022-23 시즌 | 2023-24 시즌 | 2024-25 시즌 | 2025-26 시즌 | 2026-27 시즌 | |
양준석 연세대 / LG / 가드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
1997 시즌 | 1997-98 시즌 | 1998-99 시즌 | 1999-2000 시즌 | 2000-01 시즌 |
없음 |
주희정 고려대 나래 / 가드 |
신기성 고려대 나래 / 가드 |
김성철 경희대 SBS / 포워드 |
이규섭 고려대 삼성 / 포워드 |
|
2001-02 시즌 | 2002-03 시즌 | 2003-04 시즌 | 2004-05 시즌 | 2005-06 시즌 | |
김승현 동국대 동양 / 가드 |
김주성 중앙대 TG / 포워드 |
이현호 고려대 삼성 / 포워드 |
양동근 한양대 모비스 / 가드 |
방성윤 연세대 SK / 포워드 |
|
2006-07 시즌 | 2007-08 시즌 | 2008-09 시즌 | 2009-10 시즌 | 2010-11 시즌 | |
이현민 경희대 LG / 가드 |
김태술 연세대 SK / 가드 |
하승진 연세대 KCC / 센터 |
박성진 중앙대 전자랜드 / 가드 |
박찬희 경희대 인삼공사 / 가드 |
|
2011-12 시즌 | 2012-13 시즌 | 2013-14 시즌 | 2014-15 시즌 | 2015-16 시즌 | |
오세근 중앙대 KGC / 센터 |
최부경 건국대 SK / 포워드 |
김종규 경희대 LG / 센터 |
이승현 고려대 오리온스 / 포워드 |
정성우 상명대 LG / 가드 |
|
2016-17 시즌 | 2017-18 시즌 | 2018-19 시즌 | 2019-20 시즌 | 2020-21 시즌 | |
강상재 고려대 전자랜드 / 포워드 |
안영준 연세대 SK / 포워드 |
변준형 동국대 KGC / 가드 |
김훈 연세대 DB / 포워드 |
오재현 한양대 SK / 가드 |
|
2021-22 시즌 | 2022-23 시즌 | 2023-24 시즌 | 2024-25 시즌 | 2025-26 시즌 | |
이우석 고려대 현대모비스 / 가드 |
대 / |
대 / |
대 / |
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주희정 KT&G |
이규섭 삼성 |
추승균 KCC |
서장훈 전자랜드 |
하승진 KCC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74ca1>
|
서울 삼성 썬더스 역대 주장 (수원 시절 포함) |
{{{#!wiki style="margin: 0 -10px" {{{#074ca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
1997~2003 | 2003~2007 | 2007~2010 | 2010~2013 | 2013~2014 |
? | 서장훈 | 강혁 | 이규섭 | 김승현 | |
2014~2015 | 2015~2017 | 2017~2019 | 2019~2021 | 2021~2022 | |
이정석 | 문태영 | 김태술 | 김동욱 | 김시래 | |
2022~ | |||||
이정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74ca1>
|
서울 삼성 썬더스 역대 감독 (수원 시절 포함) |
{{{#!wiki style="margin: 0 -10px" {{{#074ca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rowcolor=#ffcc33> 1대 | 2대 | 3대 | 4대 | |
최경덕1
(1997) |
감독대행 김현준 (1997~1998) |
김동광
(1998~2004) ★ |
안준호
(2004~2011) ★ ☆ ☆ |
김상준
(2011~2012) |
|
<rowcolor=#fff> 5대 | 6대 | 7대 | |||
김동광
(2012~2014) |
감독대행 김상식 (2014) |
이상민
(2014~2022) ☆ |
감독대행 이규섭 (2022) |
은희석
(2022~) |
|
윗첨자1 : 오랜 여농빠 중에 이 분을 모르면 간첩이다. 1995년까지 삼성생명 농구단(現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감독을 역임한 후 1995년부터 삼성전자 농구단 감독을 맡았으나, 프로 출범 후 성적 부진으로 1998년에 사퇴하였고 이후 금호생명(現 부산 BNK 썸)의 감독을 역임하기도 했다. 성격이 다혈질이라 경기 중에 한시라도 앉아있지 못하고 펄펄 뛰다보니 한 경기를 뛰면 7kg은 기본으로 빠지기 일쑤였다. |
}}} ||
SPOTV 농구 해설위원
|
||
SPOTV | ||
|
||
이규섭 李圭燮 |
||
<colbgcolor=#000> 출생 | 1977년 11월 13일 ([age(1977-11-13)]세) | |
국적 |
[[대한민국| ]] |
|
본관 | 경주 이씨[1] | |
신체 | 키 198cm| 체중 97kg[2] | |
직업 |
농구선수(
포워드 / 은퇴) 농구코치 해설자 |
|
종교 | 개신교 | |
학력 |
서울동산초등학교 (졸업) 대경중학교 (졸업) 대경상업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졸업) |
|
프로 입단 | 2000년 드래프트 (1라운드 1순위, 수원 삼성) | |
현역시절 등번호 | 13[3], 9[4] | |
병역 |
|
|
소속 | <colbgcolor=#000> 선수 |
|
감독 |
|
|
코치 |
|
|
해설자 |
|
|
가족 | 형 이흥섭 | |
SNS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농구인. 현재 SPOTV의 농구 해설위원이다. 선수 시절 포지션은 포워드.2000년 선수 데뷔부터 단 한 번도 팀을 떠나지 않았던 삼성의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원 클럽 플레이어였다.
2. 선수 경력
대경상고 시절 최고의 고교 선수로서 주목받았고, 고려대에서도 팀의 간판으로 활약했다. 이미 2000년 드래프트를 앞두고, 이 해의 최대어로는 이규섭을 모두 지목하던 상황. 4번이 주 포지션이지만, 대학 최고의 올라운드 플레이어라는 수식어를 달고 있는 그를 모든 팀들이 노리고 있었다. 행운의 1순위를 가져간 것은 삼성이었고, 삼성은 주저없이 이규섭을 데리고 갔다.데뷔 시즌은 2000-01 시즌에 평균 12.7득점 4.7리바운드를 잡으며 4번 자리에서 제 몫을 다 했다. 덕분에 2000-01 시즌 신인상에 여유있게 당첨. 다만 PO에서는 조금 저조하다가 챔피언결정전 2차전에서 무릎 부상을 당해 그대로 아웃되면서 챔프전에서는 이렇다 할 활약은 보여주지 못하고 우승 반지를 차지했었다.
이듬 해인 2001-02 시즌에는 성적이 조금 떨어졌고, 결국 시즌 종료 후에는 군에 입대했다. 그런데 그가 군대를 간 사이에 팀의 변화가 생겼다. 바로 서장훈이 영입된 것. 이규섭의 실력이 나쁘지 않다고 해도, 서장훈은 넘기 힘든 벽이었고, 결국 이규섭의 입지는 애매해 졌다. 일단 식스맨으로 출발했는데, 주전에 준하는 식스맨이라고 하지만, 출전 시간 자체는 신인 시절에 비해 줄어들었다. 결국 이규섭이 생존을 위해 선택한 것은 3번으로의 전향.
이 때부터 이규섭은 신인 시절 골밑과 외곽을 넘나드는 모습에서 온전한 외곽 슈터로 전향하게 된다. 다행히 이 전향은 성공적이었고, 이규섭은 이 때부터 외곽 슈터로서 입지를 잡게 되었다. 식스맨과 주전 자리를 오가면서 평균 두 자리수 득점 이상을 해 준 것. 2005-06 시즌에는 생애 처음으로 챔피언결정전을 온전히 다 뛰면서 평균 14.8점을 기록, 우승의 주역이 되었다.
그 뒤로도 꾸준히 시즌 내내 평균 두 자리수 득점을 이어갔다. 삼성이 그 뒤 두 차례 챔프전에 더 올라가는데 기여한 것. 다만, 다른 두 번의 챔프전에서는 극히 부진하면서 팀 패배의 원흉으로 지목받기도 했다. 정규 시즌에서 큰 키를 이용한 3점슛과 공격력도 점차 나이가 들면서 스피드가 떨어지고, 지나친 외곽 일변도의 공격으로 인해 한계를 노출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2010-11 시즌부터는 완전히 주전보다는 백업에 더 가까워진 상황.
슈터로서 괜찮았던 이규섭이지만, 팬들의 평가는 좀 냉정한 편인데, 결정적인 이유는 작전 타임 도중에 항명에 가까울 정도로 안준호 감독에게 예의없이 말한 부분이 찍힌 듯. 특히 2006년 챔피언결정전에서는 그것이 노골적으로 드러났다. 강혁이 떠난 후,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로서 유일하게 남았지만, 그 뒤로 부진한 것도 한 원인으로 보인다.
2011-12 시즌 도중 무릎 인대 파열로 인해 시즌 아웃에 가까운 상황이다. 2012-13 시즌 복귀하여 식스맨으로 뛰면서 평균 4.59점을 기록했다. 그리고 2012-13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공식 선언하면서 농구 선수로서의 경력을 마쳤다. 삼성 썬더스 구단은 현역 시절에 달던 13번 혹은 9번을 영구결번으로 할 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는데 그 이후로 별다른 소식이 없다.[5] 2019-2020시즌 현재 삼성의 9번은 김동욱, 13번은 임동섭으로 공교롭게도 둘 다 이규섭의 현역 시절 포지션이었던 스몰포워드를 소화하는 선수다.
국가대표로 꾸준히 이름을 올렸고 동시대 다른 슈터들보다 큰 신장을 바탕으로 국제전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줬다. 한가지 에피소드는 2006년 미국 농구대표팀과의 대결에서 왼쪽 코너에서 이규섭에게 완벽한 오픈 찬스가 났고 잠시 볼을 더듬었지만 자신감있게 슛을 올라갔다. 그런데 골밑을 지키고 있던 드와이트 하워드가 그 찰나의 순간에 접근, 날아올라 블락슛을 해버렸다. 이 장면은 한국 농구와 미국의 격차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었고, 꾸준히 농구팬들의 인구에 회자되곤 한다. 본인도 블락슛 당하고는 두고두고 되풀이될 명장면의 희생양이 되었음을 직감했다고(...).
2013년 10월 20일 LG와의 경기에서 은퇴식을 거행했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직후 바로 미국으로 건너가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산하의 NBA G 리그 팀인 산타크루즈 워리어스에서 코치 연수를 받았다. 처음에는 아시아에서 왔다고 벤치에도 못 앉고 은근히 무시당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프런트 직원들[6]과 코칭 스태프들[7]과 함께 12점짜리 픽업 게임을 7차례 했는데 그 중 3경기에서 위닝샷을 넣어 그 이후로 "Big Shot"이라는 별명도 얻고 대우 또한 상당히 달라졌다고 한다.[8]귀국 후 삼성 썬더스의 코치로 부임해서 이상민 감독, 박훈근 코치와 함께 선수들을 지도하고 있다. 다만 코칭스탭이 전원 초짜라서 팀의 경기력이 좋지 못한데다 흑역사에 가까운 패배들도 많아 팬들의 불만이 속출했다[9]. 강경한 이들 중엔 선수 시절 안준호 감독을 무시한 데에 따른 업보가 아니냐는 글까지 올릴 정도.
그나마 2016-17 시즌 2016-17 KBL 챔피언결정전 준우승을 기록하면서 박훈근 수석코치의 계약만료가 끝난 2017-18 시즌부터는 수석코치로 승진하면서 삼성 썬더스와 함께했다.
2022년 1월 26일, 천기범의 음주운전 사건으로 인해 이상민 감독이 해당 사건의 책임을 지고 감독직에서 사퇴하면서 감독대행으로 잔여 시즌을 치르게 되었다. 팀이 7승 27패로 최악의 성적을 기록중이다 보니 이규섭으로써는 무사히 잔여시즌을 치르는게 최선의 목표다. 삼성 구단의 코로나19 확산으로 31일까지 자가격리에 들어가게 됨에 따라, 2월 1일까지의 경기가 취소가 되었고 2월 6일 전주 KCC와의 원정 경기에서 감독대행 데뷔전을 치렀다. 그러나 첫 경기부터 외국인 선수 2명이 모두 부상으로 결장하는 악재를 맞았고, 결국 대패를 당하면서 원정 최다 타이 18연패를 기록한 채 시작했다.
결국 구단에서 휴식기를 이용해서 특단의 조치로 아이제아 힉스를 재영입 하였고, 동시에 재키 카마이클을 신규영입 하면서 분위기 전환을 노려보았다. 그 결과 3월 2일, 오리온과의 원정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데뷔 첫 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이후 4일 DB전에서도 대승을 거두면서 시즌 첫 연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후 다시 연패에 빠졌고 또다시 외국인 선수 2명이 모두 부상을 당해 국내선수로만 경기를 치르면서 결국 3월 4일 DB전을 끝으로 다시 13연패로 시즌을 마무리했고, 이규섭 감독대행 체제에서 홈에서 단 한 경기도 승리하지 못하며 팀의 한자릿 수 승수를 막지 못하였다.
결국 창단 이래 4번째 꼴지, 거기다 한자릿 수 승수로 시즌을 마무리 짓는 굴욕적인 성적을 쓰고 말아 당연히 정식 감독 승격은 물 건너갔고 96학번 동기인 은희석이 후임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오랫동안 몸담아왔던 팀을 떠났다. 미국 얼바인으로 출국해 3개월 동안 대학 농구 캠프를 참관하며 개인 공부 및 재충전의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4. 해설
이후 2022-23 시즌부터 SPOTV의 새로운 해설진으로 합류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클로징에 캐스터와 같이 인사하는 편.처음에는 경기 설명을 워낙 잘해줘서 좋기는 하지만, 텐션이 워낙 낮아서 호불호가 있었지만, 요즘에는 텐션이 높아지면서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경기 전에 양팀의 라커룸을 방문하여 팀의 상황에 대해 사전조사를 하는 점에서 현장의 시즌 중 사임한 DB 이상범 전 감독도 이규섭을 크게 칭찬했다.[10] 또한 SK의 경기에는 최준용과의 케미가 경기전후로 상당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2023년 1월 28일 SK:한국가스공사전에서 무려 3차 연장까지 중계를 했다. 이규섭 본인으로써는 선수 시절 동부를 상대로 5차 연장까지 치뤘었던 경험이 있다 보니 그때의 추억을 얘기하면서 양팀 선수들이 정말 대단한 경기를 보여준다며 칭찬하는 해설을 했다.
5. 기타
-
2013년 미국 연수 당시 워리어스 선수라곤
안드레 이궈달라 밖에 몰라 그와 사진을 함께 찍은 반면
스테판 커리라는 선수는 누군지 몰라[11] 인터넷 검색 후 '아, 3점슛 좀 쏘는 애인가 보네?\'하고 그냥 잊어버렸다고 한다.
지금은 이불킥하고 있을 수 있다드레이먼드 그린의 경우 언더사이즈 빅맨인데다가 당시엔 아직 슈퍼스타로 명성을 날리던 때가 아니어서인지 ' 쟤 KBL에 오면 딱인 듯ㅎㅎ'이라고 했다고 한다. 참고로 이후 삼성에서 같이 일하는 이상민 감독도 "지머 프레딧 >> 카이리 어빙" 등으로 대표되는 농알못 발언을 몇 차례 한 적이 있어 팬들 사이에서 꾸준히 회자된다(...).
- 2019-20 시즌까지 서울 삼성 썬더스의 유일한 1라운드 1순위 출신었다가 2020-21에 삼성이 드디어 1라운드 1순위 지명권을 20년 만에 얻게되었다.
- 덩크슛을 본인의 의욕과는 다르게 잘하지 못했다. 198cm의 장신을 살려 노마크 찬스에서 덩크슛을 하려다 골대에 한참 못미치게 뛰어서 공을 놓치거나 제대로 내리꽂지 못해 공이 튕겨나가는 플레이를 종종 보여준 적이 있었다. 비슷한 체격의 함지훈이 운동신경 부족의 약점을 보여 덩크슛같은건 시도조차 안 했는데 반해 그나마 이규섭은 의지라도 있었다.
6. 시즌별 성적
역대 기록 | ||||||||||
시즌 | 소속팀 | 경기수 | 2점슛 | 3점슛 | 자유투 | 득점 | 리바운드 | 어시스트 | 스틸 | 블록슛 |
2000-01 | 삼성 | 45 |
211/360 (58.61%) |
21/67 (31.34%) |
88/123 (71.54%) |
573 | 210 | 68 | 34 | 26 |
2001-02 | 54 |
158/307 (51.47%) |
40/118 (33.90%) |
21/26 (80.77%) |
244 | 76 | 35 | 14 | 1 | |
2002-03 | 군복무 ( 상무 농구단) | |||||||||
2003-04 | ||||||||||
2004-05 | 54 |
102/204 (50.00%) |
82/221 (37.10%) |
69/89 (77.53%) |
519 | 145 | 64 | 30 | 19 | |
2005-06 | 54 |
126/226 (55.75%) |
92/245 (37.55%) |
76/96 (79.17%) |
604 | 141 | 79 | 27 | 13 | |
2006-07 | 37 |
82/152 (53.95%) |
78/207 (37.68%) |
74/95 (77.89%) |
472 | 78 | 28 | 15 | 14 | |
2007-08 | 47 |
108/234 (46.15%) |
114/311 (36.66%) |
148/176 (84.09%) |
706 | 135 | 73 | 23 | 14 | |
2008-09 | 54 |
115/215 (53.49%) |
109/281 (38.79%) |
100/123 (81.30%) |
657 | 104 | 58 | 26 | 16 | |
2009-10 | 49 |
98/187 (52.41%) |
82/209 (39.23%) |
107/132 (81.06%) |
549 | 128 | 62 | 35 | 19 | |
2011-12 | 34 |
38/78 (43.72%) |
41/137 (29.93%) |
35/44 (79.55%) |
234 | 70 | 31 | 14 | 6 | |
2012-13 | 51 |
32/87 (36.78%) |
48/140 (34.29%) |
26/37 (70.27%) |
234 | 102 | 44 | 12 | 6 | |
KBL 통산 (10시즌) |
622 |
1136/2164 (52.50%) |
767/2098 (36.56%) |
836/1062 (78.72%) |
5,409 | 1,363 | 649 | 254 | 167 |
7. 감독 통산 기록
시즌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정규시즌 | 플레이오프 |
2021-22[감독대행] | 서울 삼성 썬더스 | 20 | 2 | 18 | 10위 | - |
<rowcolor=#074ca1> 통산 | 20 | 2 | 18 | 0.100 | - |
8. 역대 프로필 사진
서울 삼성 썬더스 | |
|
|
2020-21 시즌 (코치) | 2021-22 시즌 (감독대행) |
9. 관련 문서
[1]
대동항렬 50세손 섭(燮) 항렬
[2]
서울 삼성 썬더스 공식 프로필
[3]
군 입대 이전 및 군 제대 이후 2004-2005 시즌, 2011-2012 시즌 삼성 썬더스 시절
[4]
2005~2011, 현역 마지막 시즌 삼성 썬더스 시절
[5]
13번은 대학 선배
전희철을 롤모델로 삼아 전성기때 달던 번호였고 9번은 그 기간 동안 한번씩이나 달았던 번호이기도 하다.
[6]
선수 출신이 대부분으로 당시 나이가 30~40대 사이로 운동능력도 어느 정도 남아있던 상태였다고 한다.
[7]
당시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감독이자 NBA 올스타
포인트 가드였던 마크 잭슨도 있었다.
[8]
연합뉴스 : 미국서 코치 연수 이규섭 "은퇴식서 눈물 참았죠" 및 네이버 라디오방송 바스켓카운트
2015년
12월 28일자 참고.
[9]
특히 2014-2015 시즌에 전자랜드 상대로 54점차로 지는 등 시즌 승률이 2할대에 머물렀다.
[10]
이상범 전 감독의 말에 의하면 현 KBL 해설위원 중에서 라커룸을 직접 방문하는 해설이 이규섭밖에 없다고 밝혔을 정도였다.
[11]
참고로 2009년 드래프트에서 팀이 7순위로 뽑은 선수였다. 그리고
2013년 당시 이미 골든스테이트의 새로운 에이스로 명성을 날리고 있던 중이었다. 아무리 그래도 근무하는 팀의 스타 선수 정도는 알아야 하지 않나?
[감독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