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11:51:45

Esports World Cup 2024/철권 8

[include(틀:상위 문서, top1=
Esports World Cup 2024)]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00><tablebordercolor=#eaeaea><tablebgcolor=#eaeaea>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 EWC 2024
경기 종목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파일:Rocket_League_shield_(white).png 파일:dota2_white.png 파일:포트나이트 아이콘white.png 파일:rainbow-six-siege.png 파일:PUBG: BATTLEGROUNDS 아이콘.svg | 파일:PUBG_Mobile_Simple_logo_white_TM.png
로켓 리그 도타 2 포트나이트 레인보우 식스 시즈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파일:EWC_MLBB.png 파일:SC2_Mini.png 파일:Counter-Strike_2_default_darkmode.png 파일:Hok_White_1x1.png 파일:free-fire-logo-1x1.png
모바일 레전드: Bang Bang 스타크래프트 2 카운터 스트라이크 2 왕자영요 Free Fire
파일:오버워치 아이콘 화이트.svg 파일:fc24-primary-logo.svg 파일:EWC_SF2.png 파일:EWC_TK8.png 파일:league-of-legends.png
오버워치 2 EA SPORTS FC™ 24 스트리트 파이터 6 철권 8 리그 오브 레전드
파일:tft_logomark_new2021.png 파일:EWC_APEX.svg 파일:콜 오브 듀티 시리즈 로고 화이트 (2023).svg 파일:EWC_RENNSPORT.png
전략적 팀 전투 Apex 레전드 콜 오브 듀티: 워존 2.0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I 2023
RENNSPORT
}}}}}}}}}

파일:htsehsredtgyjhfhrty.jpg
Esports World Cup 2024
<colbgcolor=#eaeaea><colcolor=#000> 대회 기간 2024년 8월 22일 ~ 8월 25일
주최 사우디아라비아 e스포츠 연맹
주관
개최지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참가선수 32명
총 상금 $1,000,000 USD
경 기 장
미정
상 금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총 상금 $1,000,000 (한화 약 13억 7천만 원)
상금 분배 우승 $300,000
준우승 $140,000
3-4위 $75,000
5-8위 $45,000
9-12위 $20,000
13-16위 $12,500
17-24위 $7,500
25-32위 $5,000
}}}}}}
1. 개요2. 초청권 획득3. 참가자 명단4. 대회 진행5. 기타

[clearfix]

1. 개요

사우디아라비아 e스포츠 연맹이 8월 22일부터 25일까지 개최하는 국제 e스포츠 대회, Esports World Cup 2024의 철권 8 종목에 대하여 다룬다.

2. 초청권 획득

작년 Gamers 8은 주최측의 연락을 받았던 사람[1]이 나머지 2명을 팀장으로서 전권을 가지고 선발하는 제도였다. 그러나 이번 Esports World Cup 2024 철권 8 종목은 Esports World Cup에서 지정한 대회에서 순위권에 입상한 선수가 초청받으며, 개인전 방식으로 조정되었다. 즉, 유명세에 의한 특혜는 일절 없으며 특정 대회에서 순위권 안에 들면 초청권을 받을 수 있다. 각종 대회에서 총 28명을 뽑고, 또한 8월 리야드에서 LCQ를 진행해 2명을 선별한다. 마지막으로 일정 미정의 이벤트를 통해 2명을 추가 모집하여 총 32명의 선수들이 참가한다.

3. 참가자 명단

초청 시드 참가자 명단
EVO Japan 2024 Top 4
파일:일본 국기.svg 타케 유타
chikur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선웅
LowHig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성호
CHANE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건호
Mangja
DreamHack Dallas 2024 Top 8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야마 다이치
NOB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현호
Rangch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재현
CB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재균
Mulgold
파일:필리핀 국기.svg Alexandre Laverez
AK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아슬란 시디크
Arslan Ash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무함마드 파진
Farzeen
파일:독일 국기.svg Arja Gamoori
Sephiblack
Battle Arena Melbourne 2024 Top 2
파일:호주 국기.svg Benjamin Torngdee
Yagam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수훈
ULSAN
ATL Super Tournament 2024 Top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상현
JeonDDin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Adeel Sheikh
THE JON
DreamHack Summer 2024 Top 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Raef Alturkistani
Raef
파일:영국 국기.svg Kane Heartfield
KaneAndTrench
파일:프랑스 국기.svg Georges Nguende
Jodd
파일:일본 국기.svg 타카바 케이스케
Keisuk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재민
Kne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무종
Kko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주형
Edg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대일
Meo-IL
CEO 2024 Top 2
TBD TBD
The MIXUP 2024 Top 2
TBD TBD
LCQ 및 이벤트 참가자 명단
Riyadh Festival LCQ Top 2
TBD TBD
Additional Event Top 2
TBD TBD

EVO JAPAN - Chikurin, DRX Lowhigh, DRX Channel, Mangja
  • Esports World cup이 걸린 첫 번째 대회인 에보 재팬에서는 파이널 리스트인 TOP6 중 인페스티드, 더블이 탈락하고 1위부터 4위까지 치쿠린, 로하이, 샤넬, 게임하는 망자가 진출권을 획득했다.
  • 에보 재팬 바로 전날에야 이 대회에 사우디 티켓이 4장 할당 되었다는 사실이 기습 공개되었다.
  • 우승자인 치쿠린은 철권 8을 시작하자마자 전작의 주캐릭터인 리로이 스미스 대신 리리 로슈포르를 주캐릭터로 연습했고, 스틱에 각인된 '머슬 메모리'를 지우고자 컨트롤러를 패드로, 그리고 한 달 동안 에보 재팬을 위해 외출하지 않았다는 일화가 알려지며 노력의 대가로 알려진 자신의 이미지를 세계에 다시 한 번 각인시켰다. 비단 치쿠린 뿐 아니라 준우승자인 로하이는 철권 8의 시스템에 적응하기 상당히 어려워하며 방황하는 모습을 보였고, 3위를 기록한 샤넬은 7 말기에 부진한 모습을 보인데다 백대쉬, 무빙 중심의 수비적인 스타일 때문에 8편의 시스템에 적응할 수 있을지 우려가 많았고, 4위를 기록한 망자는 SH푸드와의 계약 해지 이후 해외 대회와는 인연이 없었던 것처럼 진출자 전원이 각자의 사연을 갖고 있었다. 결국 대회 진출을 위해 극한까지 노력을 거듭한 사람들이 성공을 거머쥔, 그야말로 '노력'이 키워드가 된 대회였다.

DreamHack Dallas - NOBI, Rangchu, CBM, Mulgold, AK, Arslan Ash, Farzeen, sephiblack
  • 드림핵 서머와 더불어 가장 많은 진출권이 배정된 대회인 드림핵 댈러스에서는 1위부터 8위까지인 노비, 랑추, 체리베리망고, 물골드, AK, 아슬란 애쉬, 파진, 세피블랙이 진출권을 획득했다.
  • 우승자인 노비는 겐의 은퇴 전까지 '치노겐'으로 불리며 일본 내의 명실상부한 상징적인 게이머로 평가받았으나, 항상 우승권에 한발짝 먼 성적을 기록하며 아쉬운 평가를 받아왔다. 결국 이번 대회로 2045일만에 TWT 대회에 우승하며 성불하여 그간의 한을 풀었다.
  • 한편 전작인 철권 7에서 한국과 더불어 유이한 TWT FINAL의 연속 우승 지역으로써 황부리그로 평가받던 파키스탄은 콤보 브레이커에 이어 2연속 우승 실패와 아티프 버트가 TOP8조차 진출하지 못한 채 탈락하며 7편만큼의 압도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으며, 파키스탄뿐 아니라 대회 과정에서 커들코어를 비롯한 북미 현지 선수들이 메이저 지역인 파키스탄, 한국, 일본 선수들에게 업셋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최종적으로 노비, 랑추가 결승전을 장식하며 드림핵 댈러스 직전 AK가 우승한 콤보 브레이커와 더불어 현재 철권 8이 연달아 선두를 달릴 정도로 독보적인 강국이나 선수는 없는 춘추전국시대임을 보여준 대회였다.
  • 32강에서 JDCR 과 AK의 경기 중 컨트롤러 이슈가 발생하여 공정성에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 v1.04 버전으로 진행된 대회다.

BAM 2024 - Yagami, ULSAN
  • 같은 시기 호주에서 열린 BAM 2024에서는 우승자, 준우승자가 진출권을 획득한 샤넬, 로하이이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3위, 4위를 기록한 야가미, 울산이 진출권을 배정받았다.
  • 주요 구성원들은 호주 현지인들이었으나 해외에서도 드림핵 댈러스와 같은 시기에 열렸기 때문에 아직 진출권을 확보하지 못한 선수들은 드림핵에, TWT 포인트나 틈새 전략을 노리는 선수들은 이 대회에 참가했는데, 대표적으로 한국의 광동 프릭스, DRX는 진출권을 확보하지 못한 물골드, 체리베리망고, 무릎, 인페스티드가 드림핵에, 진출권을 확보한 샤넬, 로하이가 BAM 2024에 참가했다. 예외적으로 진출권을 확보하지 못한 울산은 최종 성적 4위로 진출권이 이전되어 참가가 확정되었다.

ATL Super Tournament - JeonDDing, The JON
  • ATL 슈퍼 토너먼트는 다른 마스터급 TWT 대회와 마찬가지로 결승 진출자에게 진출권이 주어지는 것이 원칙이나, TOP 8 진출자 중 6명이 진출권을 확보한 물골드, 울산, 랑추, 로하이, 샤넬, 체리베리망고이기 때문에 나머지 2명인 전띵, 더 존이 진출권을 획득했다.
  • 유일한 해외 선수였던 더 존이 7위를 기록하며 한국은 지난 BAM 2024에 이어 마스터 티어 대회에서 연속으로 한국인 우승자를 기록했으며, 대회 개최국에서 우승자를 배출하는 쾌거를 기록했다.

DreamHack Summer - KaneAndTrench, Raef, Keisuke, Jodd, Knee, Kkokkoma, EDGE, Meo-IL
  • TOP8 안에 들어야 진출권이 주어지는 대회이나, TOP8에 마찬가지로 진출권을 확보한 울산, 로하이, 랑추, 체리베리망고 4인이 진출하며 TOP8에 진출하지 못한 무릎, 꼬꼬마, 엣지에게 진출권이 주어졌으며 공동 13위인 머일, Joe Fury, TY, JOKA가 타이브레이커를 통해 최종적으로 머일의 진출이 확정되었다.
  • 가장 큰 진출권이 배정된 두 차례의 드림핵 대회가 끝나고 선발 과정에 대한 비판 의견이 나타났는데, 주로 진출권 이전 시스템에 대한 비판이 많다. 대회의 끝까지 어떤 사람이 진출할지 모르는 치열함을 보여줘야 대회를 관람하는 재미가 있는데, 누가 진출할지에 대한 관심이 워낙 많다보니 선수들의 진출이 확정된 순간 긴장감이 약간 떨어진다는 것.
  • v1.05 버전으로 진행된 첫 대회다.

4. 대회 진행

파일:EWC_T8_Format.jpg
  1. PHASE 1 - 32명의 선수가 4명씩 8개조로 배정, 듀얼토너먼트 방식으로 각 조 1,2위는 PHASE 2 진출, 3,4위는 탈락.
  2. PHASE 2 - 16명의 선수가 4명씩 4개조로 배정, 듀얼토너먼트 방식으로 각 조 1,2위는 PHASE 3 진출, 3,4위는 탈락.
  3. PHASE 3 - 8강부터는 각 경기당 9판 5선승제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경기가 이루어진다.

5. 기타

  • 1등 상금이 30만 달러, 한화 약 4억 원으로 책정되었고 꼴등, 즉 32위를 해도 5천 달러[2]가 보장된다. 전년도에는 1등의 상금이 50만 달러였지만 이걸 3명이 나눴는데, 이번 년도는 개인전으로 바뀌었고 상술했듯이 인맥과 유명세 등과 관계없이 실력에 기반한 초청제로 진행되기 때문에 개발도상국, 선진국 가리지 않고 모든 프로급 철권인들이 대회 참가에 사활을 걸고 있다. 최고 권위의 공인 대회지만 참가도 너무 힘들고, 그 바늘구멍을 겨우 통과해야 꼴랑 최대 5천만 원인 TWT 파이널이나 명예와 위상, 전통만 있고 상금은 턱없이 적은 대회인 EVO보다 현실적으로 더욱 입상하고 싶은 대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소규모 대회인 드림핵 써머[3]에 8개의 티켓이 걸리고 한국 ATL에도 2개의 티켓이 걸리면서 경쟁에 불을 붙이고 있다.
  • 이번 e스포츠 월드컵은 선수끼리 종목으로 겨루는 것도 있지만, 클럽 챔피언십이라는 구단 상금도 존재하기 때문에 몇몇 구단들은 선수 영입에 상당히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 ATL에서 호성적을 거둔 엣지와 파키스탄 대회에서 좋은 모습을 보인 아산 알리는 T1에 입단했고, 해외 대회에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있는 꼬꼬마는 Natus Vincere에 입단, EVO Japan 2024 입상으로 진출권을 획득한 망자는 Fnatic에 입단, 철권 8에 무르익으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JDCR은 Karmine Corp에 입단하는 소식을 비롯해 다양한 선수들이 입단한 소식들이 자주 들려오고 있다.
  • 이렇듯 철권 8의 발매만으로는 불안정했던 철권 e스포츠 업계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엄청난 영향을 준 대회인데, 비슷한 상황에 처한 스타크래프트 2 e스포츠의 관계자가 커뮤니티에 남긴 글에 의하면 철권판이 워낙 상금도 저조하고 프로씬이 닫혀있었던 만큼 초기에는 제안이 와도 '이거 사기 아닌가?'라고 생각할 정도로 당황스럽다는 반응이 많았다고 한다. 당장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e스포츠 대회만 하더라도 e스포츠 월드컵의 전신인 Gamers8 이전에 열린 True invitational에서 우승자, 준우승자, 3등을 기록한 쿠단스, 샤넬, 무릎이 오랜 기간 상금 미지급을 당한 사례가 있었고, 이 중 무릎은 끝내 상금을 지급받지 못했으며 프로 팀에서도 체리베리망고가 Illusion Esports에서 임금 체불을 당한 사건이 있었기 때문이다. 거기다 철권 e스포츠의 현황이 프로팀들이 문을 닫거나 국내 팀인 DRX, 광동 프릭스 중심으로 흘러가는 상황이다 보니 더욱 그렇게 생각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 기본적으로 각 팀들이 선수를 영입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은 국제전 커리어이며, 반대로 국내 대회의 커리어는 크게 작용하지 않는 편이라고 한다. 2022년 이후 프로 경력이 단절되었음에도 2017~2018년에 뛰어난 커리어를 기록했던 쿠단스, 세인트가 각각 Team Liquid, Team Falcons에 입단한 것이 그 예시이다. 여러 프로 선수들의 입단이 이루어지면서 프로 선수급의 실력을 가진 게이머들에겐 큰 돈을 벌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 때문에 프로 팀 계약에 대한 관심이 급등한 상황인 반면, 팀들 입장에서는 웬만한 네임드 선수들은 대부분 자리를 잡은 상황이다 보니 오히려 시장이 상당히 차가워진 상태라고 한다. 부랴부랴 협상을 하러 오는 사람들 중 그 정도 실력이 아님에도 페이를 높게 요구한다면 그냥 거래를 중단할 정도.
  • 또한 참가한 종목이 많을수록 클럽 포인트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e스포츠 월드컵에 이미 참가가 확정된 팀에서 임대 형식으로 프로 선수를 빌려오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한다. 즉 사우디컵 출전권은 있으나 팀 자체가 사우디컵에 참가하지 않는 DRX, 광동 프릭스의 선수들이 임시적으로 타 팀에서 임대되어 활약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

[1] 이 연락 기준이 리저널 파이널에서 1등을 했던 사람이라는 말도 있다. 예를 들어, 무릎이나 아슬란같은 경우 이 기준에 부합한다. 하지만 예외 국가들이 몇몇 있다. 가령 프랑스, 독일은 TWT 분류상 서유럽 리그에 속하는데 이 국가 사람들은 리저널 파이널에서 입상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리저널 기준이라면 대회 참가를 못 했어야 정상이다. 그래서 어떤 기준으로 사우디측에서 연락을 했는지는 불분명하다. [2] TWT 도조나 챌린저급 대회는 우승을 해도 2천 달러도 못 받는 경우가 태반이다. [3] 2023년 기준 드림핵 써머는 24명만 참가했던 스웨덴의 작은 지역 대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