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3 05:58:44

벨기에 프랑

BEF에서 넘어옴
유로화 도입 이전 통화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원년 통화 프랑스 프랑 네덜란드 길더 벨기에 프랑 룩셈부르크 프랑
독일 마르크 오스트리아 실링 아일랜드 파운드 핀란드 마르카
이탈리아 리라 스페인 페세타 포르투갈 에스쿠도 그리스 드라크마
추가 통화 슬로베니아 톨라르 몰타 리라 키프로스 파운드 슬로바키아 코루나
에스토니아 크론 라트비아 라트 리투아니아 리타스 크로아티아 쿠나
}}}}}}}}} ||

서유럽의 통화
파일:유럽중앙은행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유로
( 프랑스 프랑)( 프랑스, 모나코)
( 네덜란드 길더, 벨기에 프랑, 룩셈부르크 프랑, 아일랜드 파운드)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맨 섬 기.svg 파일:건지 섬 기.svg 파일:저지 섬 기.svg
영국 파운드
( 스코틀랜드 파운드, 북아일랜드 파운드)
( 맨섬 파운드, 건지 파운드, 저지 파운드)

Franc Belge ( 프랑스어)
Belgische Frank ( 네덜란드어)
Belgischer Frank ( 독일어)

파일:National Bank of Belgium.png

1. 개요2. 역사3. 지폐
3.1. 1961 ~ 19813.2. 1978 ~ 19973.3. 1994 ~ 2001(최종)
4. 동전5. 둘러보기

1. 개요

벨기에의 옛 프랑계열 통화. 기호는 F 또는 Fr.(타 통화와 구분시 Bfr.)이며 ISO 4217 코드는 BEF. 보조단위는 상팀.

역사적인 이유로 1944년부터 유로화 전까지 1:1 고정통화비가 계속 이어져 양국 모두 둘 다를 공용화로 채택했는데, 룩셈부르크에서는 벨기에 프랑이 통용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벨기에에선 룩셈부르크 프랑이 그다지 통용되지 않았다. 이는 통용량 자체에도 차이가 크지만, 벨기에 내 상인들 자발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1] 다만 동전의 경우 디자인만 다르고 재질 등은 벨기에의 것과 같아서 서로 섞여서 통용되곤 했다.

유로와의 교환비는 1유로= 40.3399프랑. 동전은 2004년부로 종료, 지폐는 중앙은행에서 혹은 추심으로[2] 무기한으로 교환이 가능하다. 관광객도 가능한지는 확인불가. 단 1944년 이후 발행된 100프랑 단위 이상 교환만 가능한데, 이는 국고통화(國庫通貨[3])만 아니라면 뭐든지 교환이 된다는 뜻.

2. 역사

처음 벨기에 프랑이 등장한 것은 벨기에 혁명이 종료된 후 프랑스 프랑을 대체한 1832년이고, 이어서 룩셈부르크가 1848년, 스위스가 1850년에 떨어져 나감으로서 고정되었다. 이들을(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스위스 + 그리스(?!)) 다시 뭉친 라틴통화동맹이 1865년에 결성되었으나 (각국 1단위당 Ag 4.5g = Au 0.290322g 가치를 갖는다.) 1914년 세계 1차대전때 자동으로 붕괴되었다.

3. 지폐

위 표기와 같이 나라 자체가 언어에 민감해서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 2개 국어를 양면에 서로 번갈아가면서 발행했었다.

최후기에는 2개 국어에 뒷면 한정으로 독일어까지 추가해 3개 국어를 동시에 기입했다.

3.1. 1961 ~ 1981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franc31.jpg 20F 보두앵 국왕 원자 핵분열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franc32.jpg 50F 보두앵 국왕과 파비올라 왕비 의회 건물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franc33.jpg 100F 랑베르 롱바르 아폴론 조각상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franc34.jpg 500F 베르나르트 반 오를레이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 메헬렌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franc35.jpg 1,000F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 아틀라스 조각상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franc36.jpg 5,000F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 아스클레피오스 조각상, 에피다우로스 신전

3.2. 1978 ~ 1997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belg041.jpg 100F 헨드릭 베이어트 기하학 디자인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belg042.jpg 500F 콩스탕탱 뫼니에 기하학 디자인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belg043.jpg 1,000F 앙드레 그레트리 소리굽쇠, 귀 안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belg044.jpg 5,000F 귀도 게젤레 잠자리, 나뭇잎
파일:Belgique 10000-Francs.jpg 10,000F 보두앵 국왕과 파비올라 왕비 왕실 온실의 식물들

3.3. 1994 ~ 2001(최종)

()는 유로화 환산가격.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belg051.jpg 100F
(€2.48)
제임스 앙소르 그의 작품 '해변 풍경'과 '목욕탕 마차'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belg052.jpg 200F
(€4.96)
아돌프 삭스 색소폰 연주자들과 디낭 지방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belg053.jpg 500F
(€12.39)
르네 마그리트 그의 작품 '골콘다'와 '의자'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belg054.jpg 1,000F
(€24.79)
콘스탄트 페르메케 그의 작품 '잠자는 농부'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belg055.jpg 2,000F
(€49.58)
빅토르 오르타 아르누보식 꽃과 장식
파일:attachment/벨기에 프랑/belg056.jpg 10,000F
(€247.89)
알베르 2세, 파올라 왕대비 전판과 동일

4. 동전

파일:Franc/Frank.jpg
(윗줄이 프랑스어판, 아랫줄이 네덜란드어판.)

최종적으로 50상팀과 1, 5, 20, 50프랑 5종. 10프랑의 경우 보두앵까지만 생산하고 발행을 중단했는데 이유는 불명이다.

동전에는 지폐보다 공간적 여유가 없어서 아예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 2종류로 나누어 발행했으며, 발행량으로 싸움이 일어날 것을 우려해서 해마다 발행 할당량을 한치의 오차도 없이 서로 반씩 나누어 발행했다.

도안의 경우 50상팀에는 콩스탕탱 뫼니에 광부 조각상, 나머지 액면에는 국왕 초상이 들어갔으며 디자인 자체는 같기 때문에 구분에 큰 어려움은 없는 편. 초기에는 앞뒷면으로 똑같은 디자인을 넣은 뒤 언어만 달리했었으며, 당연히 제각기 언어권에선 자기네 언어가 앞면이라고 빠득빠득 주장했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ae042><colbgcolor=#ed2939>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 벨기에 합중국 · 네덜란드 연합왕국 ·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 벨기에 왕국 · 벨기에 식민제국
사회 사회 전반 · 인구 · 행정구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국왕 · 행정구역 · 벨기에 왕조 · 벨기에 연방의회
선거 유럽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베네룩스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유럽연합
경제 경제 전반 · 벨기에 프랑(폐지) · 유로
교육 교육 전반
국방 벨기에군 · NATO
교통 철도 환경( 벨기에 국철 · 유로스타 · Thalys · ICE)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보렌반트 · 관광
언어 벨기에/언어( 벨기에 플람스 공동체 ·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 프랑코포니 · 네덜란드어 연합
스포츠 축구 국가대표팀 · 풋살 국가대표팀 · 벨기에 그랑프리
기타 벨기에인( 한국계) · 벨기에계 미국인 · 벨기에계 멕시코인
}}}}}}}}} ||


[1] 이건 마카오 파타카가 홍콩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홍콩 달러는 마카오에서도 사용가능한 것이 함정. [2] 국내는 하나은행이 전담하고 있다. [3] 말 그대로 국고에 기반하여 발행한 통화를 말한다. 벨기에에선 왕실 국고에서 차출하여 발행한 것이며, 해당 권종에는 TRÉSORERIE / THESAURIE 라고 표기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