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04:24:27

색소폰


관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ecd8aa,#aa672a> 목관악기 동양의 목관악기
대한민국 당적 · 대금 · 중금 · 소금
단소 · 퉁소 · 봉소 · 배소 · · 피리 · 태평소
기타 생황 ·
북한 대피리 · 저피리 · 장새납
중국/대만 디즈 · · · 호로사
일본 시노부에 · 샤쿠하치
몽골 림베 · 초르 · 에웨르 부레
서양의 목관악기
플루트 플루트 · 피콜로 · 피페 · 트라베르소 · 팬플룻
클라리넷 클라리넷 · A♭클라리넷 · E♭클라리넷 · B♭클라리넷 · A 클라리넷 · 베이스 클라리넷
오보에/바순 오보에 · 오보에 다모레 · 잉글리시 호른 · 바순 · 콘트라바순
색소폰 색소폰 · 소프라노 색소폰 · 알토 색소폰 · 테너 색소폰 · 바리톤 색소폰
기타 리코더 · 오카리나 · 백파이프 · 틴 휘슬 · 두둑 · 디저리두
금관​악기
동양 나발
서양 호른 · 트럼펫 · 트롬본 · 코넷 · 플루겔혼 · 튜바 · 유포니움 · 세르팡
타관​악기
동양 떠릉
서양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호루라기
프리 리드
멜로디카 · 하모니카
미분류 카주 · 윈드 컨트롤러
}}}}}}}}}
소프라니노,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 콘트라베이스 색소폰
파일:Saxophone-Family.jpg
파일:famille_des_saxophones.gif
아돌프 삭스가 구현했던 색소폰족 악기들[1] 각 색소폰의 크기 비교[2]

1. 개요2. 상세3. 종류4. 연주법5. 악기 선택6. 사용 영역
6.1. 클래식에서6.2. 재즈등 대중음악에서6.3. 한국에서
7. 유명 제조사8. 마우스피스9. 주요 연주자
9.1. 실존 인물9.2. 가상 인물
10. 관련 영상11. 기타

[clearfix]

1. 개요

Saxophone, 🎷
파일:색소폰ㅌ.jpg
서양 관악기 중 하나. 금속 몸체를 지니고 있지만, 홑리드를 마우스피스에 리가처라는 장치로 조여서 부착하고 연주하는 점에서 목관악기로 분류한다.[3]

2. 상세

관악기 중 가장 역사가 짧은 편이다. 1840년대에 벨기에의 악기 제작자인 아돌프 삭스(Adolphe Sax, 1814~1894)가 개발해 1866년에 특허를 받았다. 삭스의 의도는 '목관악기의 메커니즘을 금관악기에 옮겨 양자의 장점을 모두 갖는 악기를 만든다.'라는 것이었다. 아예 색소폰만의 오케스트라를 꾸밀 수 있게 다양한 악기를 만들었다. 군악대를 위해서 가장 높은 소프라니노부터 가장 낮은 콘트라베이스까지 총 일곱 종류의 악기를, 오케스트라를 위해서 C 소프라노/F 메조 소프라노/C 테너의 세 종류의 색소폰을 제작하였다. 이 중 오케스트라를 위한 세 악기들은 추후 도태되었다.
최근 일반적으로 쓰이는 건 네 종류인데,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색소폰이다. 나머지는 사용이 저조하거나 도태되었다.[4] 그나마 악기값이 비교적 저렴한 소프라니노나 처음 제작된 색소폰이라는 의미가 있고 음악적 가치가 있는 베이스 색소폰은 가끔씩 보이는 편. 일설에 따르면 삭스는 원래 다른 오케스트라용 악기들처럼, 오케스트라 합주에 적합한 C조/F조의 색소폰들에 주력하려 했다고 한다. 하지만 오케스트라에서의 색소폰에 대한 반응은 호의적이지 않았고[5] 또한 삭스를 시기하던 사람들이[6] 일부러 나쁜 소문을 퍼뜨려 그의 평판을 악화시킨 탓에 오케용 조성의 색소폰들은 빛을 발하지 못했다. 반면 색소폰의 가능성에 주목한 프랑스 군악대에서 따로 E♭ / B♭색소폰을 대량주문하였다. 할 수 없이 이 조성들도 개발하였는데, 이들이 추후 자연스레 주력 색소폰이 되었다. 어쨌든 삭스 본인은 다소 불행한 삶으로 막을 내렸다고 전해진다.

색소폰을 오케용 악기로 당당히 편입시키길 원했던 삭스의 의도와 달리 이 악기는 다소 듣보잡 취급을 받았다. 많은 작곡가나 연주자들은 이 악기를 관현악이나 취주악 어디에도 좀처럼 넣으려고 하지 않았는데, 이미 오케스트라 내 악기별 캐릭터가 확립된 상황에서, 금관과 목관의 중간 음색을 가진 애매한 악기를 추가하기 쉽지 않았던 것. 그래서 동시대 음악인들 중 색소폰을 평가절하하거나 난색을 표하기도 했다. 특히 그의 천재성을 질투하던 정적들이 합세하여 악평을 일삼았다고 전해진다. 다만 삭스가 프랑스에서 주로 활동한 관계로 프랑스에서 이 악기의 상용화가 가장 먼저 시작되었다. 특히 오케보다는 군악대용으로 호평을 받았는데, 클라리넷만큼 민첩하면서도 다른 금관악기만큼 충분한 음량이 나온다는 큰 장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스레 그 분야를 위한 개발이 중시되었다.

다만 위의 영상들에서도 보이듯 클래식 색소폰의 소리는 통념적인 재즈 색소폰 음색과는 차이가 크다. 음역대와 음색 측면에서 소프라노는 오보에, E♭ 클라리넷, 알토는 트럼펫, B♭ 클라리넷, 호른, 테너는 트럼본, 알토 클라리넷, 바리톤은 튜바, 바순과 비슷한 역할을 맡을 수 있고, 다른 악기와의 조화도 좋은 편이라 최근 취주악에서는 필수적으로 편성된다. 특히 현대에 색소폰의 가장 강력한 장점은 미친 범용성인데, 한번 운지법과 호흡을 익혀두면 소프라노~바리톤 색소폰까지 악기만 바꿔서 멜로디부터 베이스까지 모든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7] 이 장점은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에서 특히 빛을 발한다. 프로 오케스트라는 오보에, 호른, 바순 등의 초레어 악기 연주자를 찾는 것이 어렵지 않지만, 아마추어 영역에서는 트럼펫, 클라리넷 연주자도 은근히 희귀하기 때문이다. 또한 관악기 중에서 진입 난이도가 낮은 편이라[8] 육성도 쉬워서 군악대, 학교 오케스트라에서도 선호된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 사이에는 미국에도 전해졌는데, 당시에는 주로 '특이한 악기' 정도로 여겨져 보드빌쇼 등의 대중적인 촌극에서 연주되곤 했다. 하지만 콜맨 호킨스가 테너색소폰을 탁월하게 연주하고 나면서는 일약 재즈에서 가장 사랑받는 관악기 중 하나로 격상되었고, 지금도 색소폰하면 재즈의 대명사로 이야기된다. 그 때문에 1930~40년대 독일의 나치가 재즈를 '유대인과 흑인의 저속한 음악'이라고 매도할 때 색소폰까지 같이 비난받기도 했다.[9] 이 선전 정책 때문에 육군과 해군 군악대에서는 색소폰을 편성에서 빼버렸다. 다만 이런 억지스런 선전을 탐탁지 않게 여긴 헤르만 괴링은 자기 휘하의 공군 군악대에 색소폰의 계속 사용을 허가했다. 그리고 20세기 중반 무렵에는 취주악에도 정식으로 편입되기 시작했고, 세계 각지의 음악대학이나 음악원 기악학부, 실용음악학교 등에 색소폰 전공 과정이 개설되어 많은 연주자들이 양성되고 있다.

1970년대에는 색소폰의 운지법과 연주법을 응용한 전자 악기인 윈드 컨트롤러가 개발되었고, 아카이의 EWI(Electric Wind Instrument)나 야마하의 WX5 등이 이 계통의 악기에 속한다.[10] 이들 윈드 컨트롤러는 퓨전 재즈 계통을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다. 색소폰형 윈드 컨트롤러는 '디지털 색소폰'이라고도 불리며 아래의 4대 색소폰의 음역대를 모두 커버할 수 있다.

3. 종류

||<-4><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a68a67>
메이저 4대 색소폰
||
소프라노 색소폰 알토 색소폰 테너 색소폰 바리톤 색소폰

다음의 목록은 현재 그 존재 및 사용이 확인되어 있는 색소폰들이다. 이 중 일반적으로 쓰이는 건 앞에서 나와 있듯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색소폰이며, 이들은 별도 항목으로 분리되었다. 한편, 소프릴로, 서브콘트라베이스 및 튜박스(Tubax) 계열은 삭스가 기획하지 않았거나 기술력의 한계로 제작하지 못한 색소폰이다. 튜박스 계열은 1999년 출처, 소프릴로는 2002년 출처, 그리고 서브콘트라베이스는 2012년[11]에 완성품이 개발되었다.
  • B♭ 소프라니시모: 가장 높은 음을 내는 색소폰으로, 기음보다 실음이 단7도 높게 난다. 특이하게 삭스가 직접 만들지 않은 기종인데, 제작의도는 있었으나 기술 한계로 제작하지 못한 듯 하다. 현재는 독일 뮌헨 소재 베네딕트 에펠스하임[12]이 제조하고 있다. 극도로 희귀하며, 오보에와 비슷한 매우 아름다운 음색이 특징이다. 그 외의 특징으로는 첫째로 악기가 너무 작아 옥타브키가 아예 마우스피스와 합쳐져 있다. 그리고 2옥타브 G음부터 일반 색소폰과 운지법이 다른데, 너무 고음이라 정상 운지로는 음높이가 달라져 가포지션을 쓰는 것이다. 프로들도 고음을 내는데만 몇 달의 집중연습이 필요한 고난도 악기로 입술도 쉽게 부르튼다고 한다. 가격은 현재 약 4,200유로(500만 원 안팎으로 추정, 배송비 여부는 미확인)로 sax.co.uk에서 판매 중이다. 과거보다 값이 오른 것 같다. 기타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조. 색소폰족 악기들 중 최고음역으로 음역은 G4#~E7.

▲ B♭ 소프릴로와 영국 국립 색소폰 합주단이 합주한 나이절 우드(Nigel Wood)의 춤추는 소프릴다(Waltzing Soprillda). 매우 얇고 아름다운 음색이 특징이며 연주자는 나이젤 우드 본인.
  • E♭ 소프라니노: 기보한 음(기음)보다 실제 불어서 내는 음(실음)이 단3도 높게 난다.(C를 불면 그 위의 E♭이 나옴) 삭스가 발명한 악기 중에서는 가장 고음악기이며 소프라노와 비교해도 상당히 작다.[13] 보통 잘 쓰이지는 않으나 위의 소프릴로에 비하면 생산하는 회사도 많고 가격도 더 저렴하다. 다만 이 악기도 마우스피스가 워낙 작다보니[14] 연주하기도 까다롭다. 음역은 C#4~A6. 음색이 상당히 아름답다.[15] E♭ 소프라니노 연주 영상[16]
  • C 소프라노: 기음과 실음이 같음. 음역은 A#3~F#6. 소프라니노와 소프라노의 중간적 음색을 가진다. 거의 쓰이지 않는다. C 소프라노 연주 영상[17]
  • F 메조소프라노: 기음보다 실음이 완전 5도 낮게 난다. 음역은 D3#~B5. 소프라노와 알토의 중간적 음색을 가진다. 거의 쓰이지 않는다. F 메조소프라노 연주 영상[18]
  • C 테너: 기음보다 실음이 한 옥타브(완전 8도) 낮게 난다. 이 악기부터 최저음이 2옥타브를 찍는다. 음역은 A2#~F5#. 알토와 테너의 중간적 음색을 가진다. 잘 쓰이지 않는다.[19] C 테너 연주 영상[20]
  • B♭ 베이스: 기음보다 실음이 장 16도(두 옥타브+장 2도) 낮게 난다. 바순보다 온음 낮은 최저음을 가진다. 매우 강렬하고 힘찬 음색을 지니고 있다. 클래식 세팅과 재즈 세팅에서의 음색 차이가 굉장히 심한 편이다.[21] 삭스가 가장 먼저 제작했던 색소폰도 이 악기다.[22] 크기는 대략 1.2~1.5m에 무게는 9~10kg 정도로 바리톤에 비해서도 상당히 큰 악기다. 특히 관이 매우 굵은데, 바리톤은 개량이 이루어져 테너와 크게 차이는 안 날 정도로 관이 어느정도 얇아진 반면에 베이스는 관이 얇아지는 개량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악기 앞에 추가적인 수식어 없이 "베이스"라는 이름이 붙는 악기들 중 크기가 가장 크고 음역대도 가장 낮다.[23] 지나치게 크고 무거우며 비싼 탓에 현재는 잘 사용되지는 않는다. 그래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4종류(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의 악기 다음으로 많이 보이는 편이다. 원래는 바리톤 색소폰과는 다르게 Low A키가 달리지 않고 나왔지만 최근에는 일부 제조사에서 Low A키가 달린 모델을 생산하기도 한다. 음역은 G1#(G1)[24]~E4. B♭베이스 연주 영상[25]
이 악기와 아래의 콘트라베이스, 서브 콘트라베이스는 베네딕트 에펠스하임이 개량한 모델이 존재한다. 특징은 저항을 줄이기 위해 넥에서 악기가 연결되는 부분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외형도 조금 다르다. 같은 제조사의 콘트라베이스에 비하면 전체적으로 짧뚱한 외형이 특징이다. 콘트라베이스와는 달리 Low A키가 달리는 경우도 있고 달리지 않는 경우도 있다.[26]

▲ B♭ 베이스 색소폰으로 연주된 얀 판데이크(Jan van Dijk)의 베이스 색소폰 콘체르토 2악장. 아름다운 클래식 색소폰 음색으로 연주자는 안드레아스 판출런(Andreas van Zoelen). 네덜란드 곡이다.
  • E♭ 콘트라베이스: 기음보다 실음이 장 20도(두 옥타브+장 6도) 낮게 난다. 아돌프 삭스가 실제로 제작한 악기들 중에서는 가장 큰 악기이며 가장 낮은 음역대를 맡는 악기이다. 후술하듯이 이보다 낮은 서브콘트라베이스는 당시 기술력으로는 도저히 사람이 불어서 연주할 수 있는 크기와 무게로 만들 수 없었기 때문이다. 최저음은 콘트라베이스보다 낮으며 들고 연주할 수는 있으나 무게가 15kg을 넘어가는 관계[27]로 주로 거치하고 사용한다. 최저 음역대로 내려가면 거의 드릴 소리 수준으로 음역대가 낮아져서 개별음을 인지하기가 힘들다. 크기는 성인 남성보다 조금 더 큰 수준으로 매우 크다. 음역은 C1#(C1)~A3. E♭콘트라베이스 연주 영상.[28]
  • B♭ 서브콘트라베이스: 기음보다 실음이 장 23도(세 옥타브+장2도) 낮게 난다. 삭스 생전에도 특허를 내고 구상하였지만 기술력의 한계로 만들지 못하였다. 1999년까지 유사품이 두 대 만들어졌으나 매우 미흡한 형태로써, 여러 명이 악기 한 대에 달라붙어 연주하는 추태가 연출되었다. 당시 프로토타입 시연 사진 색소폰 계열 중 최저음이다. 크기는 무려 풀 사이즈 기준 약 3m 가량에 무게는 30kg 안팎이다. 콘트라베이스 색소폰 역시 굉장히 크지만 이 악기에 비하면 작게 보일 정도이다. 관악기 중에 극소량만 제작된 악기들을 전부 포함해도 이 악기보다 큰 악기는 거의 없다.[29] 그 크기로 인해 들고 연주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30] 콘트라베이스 색소폰에 비해서도 반 옥타브 더 낮으며 더 무거운 소리가 나기 때문에 기계의 소리에 가깝다는 느낌을 받기 쉽다. 최초의 개발은 축소개량형인 튜박스로, 1999년 개발됐다. 이후 2010년 브라질 악기사 J'elle Steiner가 컴팩트형을 개발한 뒤 2012년 에펠스하임이 완전체를 개발하였다.[31] 에펠스하임이 개발한 풀사이즈 악기의 경우 콘트라베이스와 마찬가지로 Low A키가 달려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음역은 G0#(G0)~E3로 무려 피아노의 최저음[32]보다도 낮다.[33]
▲ B♭ 서브콘트라베이스 및 소프라니시모 색소폰으로 연주된 Cute. 썸네일만 봐도 얼마나 큰 악기인지 알 수 있다. 중간에 소프릴로가 잠시 등장하며, 음이 워낙 낮아 마이크 없이는 잘 들리지 않는다. 연주자는 아틸리오 베르니(Attilio Berni).
  • 튜박스(Tubax): 튜바처럼 음역이 엄청나게 낮은 색소폰이라는 Tuba+Sax의 합성어이다. 에펠스하임이 1999년에 E ♭, B♭ 및 C조의 세 모델을 개발했다.[34] 호흡 소모량도 줄이고, 바리톤/베이스 마우스피스로 연주할 수 있게 만들었다. 문제는 음질인데 크기를 너무 인위적으로 줄이고 관의 직경을 좁힌 탓에 음의 풍성함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같은 저음이라도 이 쪽은 드릴처럼 상당히 소리가 거칠다. 수요가 거의 없어 가격도 대당 수천만 원이라, 대중화는 요원한 상태이다. 다만 전문 연주자는 꽤 있다.[35] E♭튜박스 연주 영상[36] B♭튜박스 연주 영상[37]

4. 연주법

삭스가 '목관악기' 중에 가장 많이 참고한 것은 그 당시로는 가장 완벽한 관악기로 여겨졌던 클라리넷이었는데, 그래서인지 클라리넷과 구조와 손가락 쓰기(운지법)가 대체로 비슷하다. 이 때문에 초기에는 클라리네티스트들이 주로 이 악기를 익혀 보급했다.[38] 다만 클라리넷 재즈의 거장인 에디 데니얼즈(Eddie Daniels) 같이 색소폰으로 시작해서 클라리넷계의 레전드 괴물이 된 경우도 있다. 결국 연주자의 기량이 더 중요한 셈.

클라리넷의 기동성을 접목시킨 악기인 만큼, 거의 모든 음역에서 아주 민첩하게 연주할 수 있고 기교 면에서도 큰 제약 사항이 없을 정도다. 하지만 최저음과 최고음역에서는 다소 음색이 거칠어진다는 난점도 있기는 하다. 재즈 등 대중음악 영역에서는 글리산도나 비브라토 등의 기법도 거의 필수적으로 쓰이는데, 이 점에서는 오히려 클라리넷보다 훨씬 효과적이고 수월한 편이다. 물론 글리산도 같은 특수 기술은 클라리넷이 더 편하다. 재즈와 클래식 영역에서 색소폰 음색이 꽤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주법과 마우스피스 종류, 마우스피스와 리드 호수[39]및 추구하는 음악성 등에서 크게 좌우된다. 클래식 색소폰에서는 클래식컬한 사운드를 위해 색소폰의 튀는 음색을 죽이고 앙상블 사운드에 녹아들기 위해 클라리넷과 흡사한 부드러운 톤을 낸다. 재즈 색소폰의 경우 연주자마다 톤의 개성을 추구하고 주법자체도 자유로운 편이며, 클래식 색소폰 대비 크고 거칠며 튀는 음색을 주로 사용한다. 반면 재즈 색소폰에서는 펑크(funk), 퓨전재즈 등에 주로 금속제로 된 마우스피스를 쓰는데, 삭스가 의도한 '금관악기의 음색'에 가까운 효과는 이 쪽에서 더 많이 발휘된다. 하지만 양 장르가 완전히 뚜렷하게 나뉘지는 않고, 조지 거슈인 같은 미국 작곡가들의 관현악 연주시 지휘자/연주자에 따라 조금 더 재즈처럼 느껴지는 분위기를 내기 위해 금속 피스로 연주하기도 한다.

모든 음역의 악기들이 다 높은음자리표에 기보되고, 연주법도 악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다. 하지만 악기가 커질 수록, 낮은 음일수록 많은 호흡을 요구하기 때문에, 특정 크기의 악기에 특화된 주자들이 많은 편이다. '목관악기의 메커니즘을 금관악기에 옮긴다'라는 사상 덕에 크기가 커질수록 악기가 제법 무겁다. 알토까지야 어떻게 한다 쳐도 테너 색소폰은 스트랩[40]이 없으면 연주가 거의 불가능하다. 무게만 약 3kg 중반대이며 바리톤 쯤 되면 6kg에 달한다.[41] 그래서 색소폰 밴드를 보면 바리톤 주자는 앉아있는 경우가 가끔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터는 들고 연주하기도 버거워서 악기 전용 스탠드에 얹어서 고정하여 연주한다. 간혹 유튜브 등에서 베이스나 콘트라베이스 색소폰을 들고 연주하는 영상이 나오지만, 이들도 그냥 한두 곡 정도만 짧게 할 수 있는 거고 수십 분 동안 진행되는 공연이나 녹음 세션에서는 일반적인 스탠드를 사용하거나 연주가 끝나고 옮기기 쉽게 바퀴가 달린 스탠드도 있다.

리드는 클라리넷과 구조상 비슷하다. 알토 색소폰의 리드는 E♭ 알토 클라리넷 리드와 유사하며, 테너의 경우 B♭ 베이스 클라리넷 리드와 크기가 유사하다. 기본적으로 저항이 있고 소리가 퍼지지만 어두운 음색인 '아메리칸 컷'과 저음, 고음이 편하고 저항이 덜하며 소리가 맑고 공명이 되지만 다소 밝다는 '프렌치 컷'으로 나뉜다. 한국에서는 특정 커팅이 선호되기보다는 리드 브랜드별 선호가 갈리는 듯 하다. 나무리드 브랜드는 Vandoren, D'Addario[구], Alexander, Marca, Rigotti, Gonzalez, AW 등등 아주 많지만 통상 Vandoren 아니면 D'Addario가 쓰인다. 합성리드 브랜드는 Legere, Forestone, Fibracell, FiberReed 등등 여러 브랜드가 있는데, 최근에는 음색상 합성리드의 한계를 초월 중인 Legere, 혹은 저렴한 Fibracell 등이 많이 사용된다.

5. 악기 선택

현대에 사용되는 색소폰은 높은 음역대부터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4종이다. 소프라노 색소폰의 음역대는 오보에와 비슷하며 맑고 전달력 있는 음색을 가져 주 선율을 연주하기 가장 적합하다. 또한 유일하게 다른 목관악기처럼 직관 형태이다 (곡관 제품도 있다). 알토 색소폰의 음역대는 클라리넷과 비슷하여 다양한 역할을 맡을 수 있고 중성적인 음색 (고음역에선 트럼펫처럼 직관적이고 저음역에선 호른처럼 따뜻한)을 가지고 있다. 테너 색소폰의 음역대는 트럼본과 비슷해 합주시에는 본격적으로 대선율 혹은 베이스 역할을 맡기 시작하며 포용적이고 무게감 있는 음색을 가진다. 바리톤 색소폰의 음역대는 바순과 비슷하고 튜바보다 다소 높다. 흡사 뱃고동 소리처럼 들릴정도로 묵직한 음색을 낸다. 베이스 기타만큼 낮은 음을 낼 수 있는 악기로 베이스 역할을 주로 맡지만, 독주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취미로 부는 경우에는 보통 소프라노, 알토, 테너 이 3가지 중에서 선택하는 편인데, 소프라노는 한 손으로도 충분히 들 정도로 가벼운 편이지만 테너부터는 성인 남성의 상체보다도 큰 쇳덩어리가 되기 때문에 체격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소프라노의 경우 고음이라 부는 힘 조절이 어렵고 테너나 바리톤의 경우 저음이라 많은 폐활량이 필수적이어서 본인의 폐활량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입문용으로는 중간 음역, 음색, 크기를 가진 알토가 추천되며 실제로 알토의 입문용 및 취미용으로의 비중이 가장 높다.

그리고 전공자의 경우에도 알토부터 먼저 시작하도록 시킨다. 오히려 취미로 할 때보다 더 알토로 시작하는 걸 지켜야할 필요가 있는게, 전공자라면 다양한 종류의 색소폰을 다뤄야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서, 소프라노를 다루던 사람이 테너를 다룬다던가 반대로 테너를 다루던 사람이 소프라노를 다루면 굉장히 큰 이질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은데다가 무엇보다도 전공자를 뽑을 때 알토를 가장 많이 뽑는다. 물론 테너를 뽑기도 하나 그 수가 적은 편이다. 이런 점 때문에 전공자는 웬만하면 알토로 시작하게 된다.

단 전공자가 아니라면 알토가 싫은데 굳이 알토로 입문할 필요는 없다. 특히 소프라노는 알토보다 꼭 어려운 것은 아니다. 컨트롤이 어렵고 삑사리가 잘 나며, 마우스피스도 더 작은 점이 어렵긴 하지만 악기가 가벼우며, 입문 시 많은 사람들이 난감함을 표하는 저음의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저음이 어려운 이유는 호흡량이 많이 필요하고, 또 악기 소리는 관을 끝까지 통과해야 나기 때문이다. 이때 관이 길고, 두꺼우며 접혀 있는 알토보다는 관이 짧고, 가늘며 일직선 형태의 소프라노가 더 쉽다.

다만 테너는 알토보다 쉬운 면이 거의 없는 편. 아무래도 크기가 크다보니 그에 따라 붙는 연주의 어려움이 많다. 가격도 소프라노나 알토에 비해 비싸며 알토보다 저음역대의 악기이니 쉽게 질리게 될 확률도 있고[43] 컨트롤도 약간 더 어려운 축에 든다. 가장 문제는 저음인데, 테너 색소폰의 관 길이는 1.4m에 달하며 벨의 지름이 20cm에 이를 정도로 관도 두껍기 때문에 저음이 결코 쉽게 나지 않는다. 그냥 다른 관악기 불듯이 불면 저음이 안나다가 약 1초 후에 나오는 현상을 분명 겪게 될 것이다.[44] 특히 호흡량이 부족해서 초보자들은 소리를 끝까지 내지 못하고 중간에 뻗는 경우가 태반.[45] 그나마 마우스피스가 크다보니 압력이 낮아서 입술의 피로도가 덜하고 최고음역대의 음을 내기는 알토보다 확실히 수월한 편이다.

또한 테너부터는 악기가 크고 무겁다는 특성이 크게 와닿을 수 있다. 테너 색소폰은 자체 길이가 85cm, 관 길이의 총합은 1.4m, 케이스는 거의 1m에 가까워 여자의 경우 악기를 연주하려고 들었을 때 악기가 무릎까지 올 수도 있다. 무게도 악기 자체가 3~4kg, 케이스를 합하면 최대 10kg에 달하기 때문에 들고 움직이는게 힘들다. (소프라노는 1kg, 알토는 2~2.5kg 정도이다.)

그러나 테너보다 한술 더 뜨는 악기가 있으니 바로 바리톤이다. 당연히 바리톤을 입문으로 연주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는데, 바리톤 색소폰에 강하게 꽂혔다거나, 꼭 바리톤을 해야 하는 상황이 아닌 이상에는 입문자로서 어려운 점이 너무 많다. 다른 악기에 비해 호흡과 컨트롤이 어려우며 무엇보다 테너와도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매우 크고 무겁다. 입문 단계의 악기도 앞의 3악기에 비해 차원이 다를 정도로 비싸서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할 수 있는 악기가 아니다. 바순, 베이스 클라리넷 등에 맞먹는 음역대로 쓰임도 제한적인 편이다.

요약하자면 소프라노, 알토, 테너 모두 각자의 개성이 있으며 본인이 배우고 싶은 악기가 확실히 있다면 그 악기로 시작하면 되고, 딱히 그런 것이 없이 색소폰이라는 악기를 배워 보고자 한다면 알토로 입문하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흔히 사용되는 4가지 종류에서 벗어나는 악기에 대해서 말하자면, 당연히 입문자급 레벨에서는 선택할 수 있는 악기가 아니며, 바리톤보다도 더 희귀한 악기로 취급된다. 그나마 그 중에서 소프라니노의 경우 크기도 작고 생산처도 제법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악기 가격이 크게 부담스럽지는 않아서 프로가 아닌 일반인들도 어느정도 구매해서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바리톤보다 한단계 큰 베이스는 한국에서는 정보가 거의 없을 정도이며 몇몇 군악대나 극소수의 개인이 들고 있는 정도로 상당히 희귀한 악기 취급이다. 그나마 최근에 일부 제조사들이 저렴한 가격[46]에 베이스 색소폰을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개체수가 늘 것으로 보인다. 소프라니노보다 작은 소프릴로나, 베이스보다 낮은 음역대[47]의 악기는 한국에 단 한대라도 있을지 의문일 정도로 매우 희귀하다.

6. 사용 영역

앞서 쓴 것처럼 아직은 취주악이나 재즈 분야에서 주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취주악단에는 주로 알토 2+테너 1(이나 2)+바리톤 1 편제로 들어가는데, 이는 20세기 초중반의 빅 밴드에 편성한 것을 참고한 듯하다. 빅 밴드에도 마찬가지 편제로 색소폰이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좀 큰 편성에서는 소프라노 색소폰과[48] 베이스색소폰도 쓰이는 경우가 있다. 그 외에도 색소폰 4중주(소프라노, 알토1 or 2, 테너, 바리톤)는 실내악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6.1. 클래식에서

라벨 - 볼레로
쾨슐랭 - 진 할로우의 묘비명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가정 교향곡
거슈윈 - 랩소디 인 블루

프랑스에서 개발된 악기인 만큼, 프랑스 작곡가들이 클래식 분야에서 가장 먼저 도입한 악기로도 알려져 있다. 조르주 비제 알퐁스 도데의 연극 '아를의 여인' 에 붙인 극음악에서 알토 색소폰 독주를 도입했고(2악장은 그냥 색소폰이 주인공,다만 5악장에는 나오지 않는다.), 클로드 드뷔시는 소프라노 색소폰과 관현악을 위한 광시곡을 작곡했다. 모리스 라벨 볼레로에서 소프라니노와 소프라노, 테너 세 종류의 색소폰을 관현악 편성에 추가했는데, 소프라니노 파트는 악기가 거의 도태된 관계로 소프라노 색소폰으로 대신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다리우스 미요, 뱅상 댕디, 외젠 보자, 자크 이베르, 샤를 쾨슐랭 등 작곡가들도 이 악기를 위한 곡을 썼다. 프랑스 이외에는 독일의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가 '가정 교향곡'에서 소프라노-알토-바리톤-베이스 네 종류의 색소폰을 쓴 바 있다. 다만 완편된 것은 아니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뺄 수도 있다' 고 명시했다. 같은 나라의 파울 힌데미트도 오페라 오늘의 뉴스에 쓴 바가 있다.

독일 이외 지역에서는 오스트리아의 알반 베르크(바이올린 협주곡, 룰루), 러시아의 프로코피예프(로미오와 줄리엣), 라흐마니노프(교향적 무곡), 쇼스타코비치(바리에테 관현악단을 위한 모음곡, 황금시대), 헝가리의 졸탄 코다이(하리 야노슈 모음곡), 벨라 바르톡(허수아비 왕자), 영국의 벤자민 브리튼(빌리 버드, 파고다의 왕자, 레퀴엠 교향곡), 랠프 본윌리엄스(교향곡 6번, 9번), 미국의 조지 거슈윈(파리의 아메리카인, 랩소디 인 블루), 찰스 아이브스(교향곡 4번), 코플랜드(교향곡 1번, 피아노협주곡), 레너드 번스타인(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이탈리아의 푸치니(투란도트) 등 여러 지역에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협주곡을 작곡한 경우도 있다. 러시아 출신의 작곡가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49] 브라질의 에이토르 빌라로부스 등이 대표적이다.

6.2. 재즈등 대중음악에서

재즈에서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의 본좌 연주자들이 이 악기를 통해 명성을 얻었다. 콜맨 호킨스(테너)를 비롯해 자니 호지스(알토), 레스터 영(테너), 벤 웹스터(테너), 시드니 베셰(소프라노), 해리 카니(바리톤), 덱스터 고든(테너), 찰리 파커(알토), 캐논볼 애덜리(알토), 폴 데즈먼드(알토), 소니 롤린스(테너), 베니 골슨(테너), 존 콜트레인(테너/소프라노), 리 코니츠(알토), 제리 멀리건(바리톤), 스탄 게츠(테너), 오넷 콜먼(알토), 에릭 돌피(알토), 웨인 쇼터(테너/소프라노), 앨버트 에일러(테너), 조 헨더슨(테너) 마이클 브레커(테너) 등등. 빅 밴드의 혼 섹션에서부터 소규모 앙상블의 솔로 연주에 이르기까지 거의 필수요소로 취급받고 있다. 특히 비밥 재즈의 영향을 받은 펑크 음악에서도 필수요소 취급인데. 비밥스타일을 기반으로 R&B 스타일을 적절히 혼합한 연주법이 그 특징이다. 현재는 레트로 문화가 유행하면서 전자음악, 특히 신스웨이브와 같은 장르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그 외 힙합, 특히 G-funk 장르에서도 주 센터로 들어가는 악기이기도 하다.

6.3. 한국에서

한국에서는 1990년대 중반에 차인표 MBC 드라마 ' 사랑을 그대 품안에'에서 멋있게 불었던 장면[50] 때문에 일시적으로 색소폰 배우는 사람이 늘었다는 에피소드도 있다.(발라드와 라이트재즈 연주자 케니 지의 인지도도 동반 상승) 빌 클린턴 전 대통령도 테너를 잘 불었다고 한다. 그러나 특히 케니 G의 영향으로 시작했던 인구 상당수가 생각보다 높은 난이도로 포기했다고 한다. 당시 2~30대가 즐기던 탓에 지금의 주력인구는 50대 이상으로 보인다. 홍대 클럽에서부터 트로트 등을 연주하는 중장년 혹은 노인 색소폰 그룹까지 대중적으로 인기 있는 악기가 되었다. 배우 송재림이나 가수 홍경민, 트와이스 정연 등 연예인 중에서도 색소폰을 즐기는 사람이 있다.

다만 취미로만 즐기기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우선 악기 값이 비싼 편이다. 100만원 미만대로는 거의 중국(대만제 포함)이며, 최소 100~200만원 사이부터가 쓸만하다고 한다. 고급기종들은 통상 250만원 이상이며 테너 색소폰은 심하면 2~3천만원까지 호가한다. 둘째로, "악기여행", "피스여행", "리드여행" 등의 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많다. (즉, 자기에게 맞는 장비를 찾기 위해 장터에서 부품을 사고 되파는 식이다.) 이는 색소폰은 본체, 마우스피스 그리고 리드와 그 조합에 따라 느낌과 음색이 달라지는 탓이다. 장비 선택에는 정답이 없기에 장비에 욕심이 있는 경우 가장 만족스러운 조합을 위해 시간과 금전과 노력이 많이 든다.

또한 배울수록 어려워진다고 느껴지는 것도 문제이다. 입문시 소리를 내는 것은 비교적 쉬운 편이다. 하지만 모든 취미생활이 그렇듯 배울수록 톤과 테크닉, 근육과 이론 등의 한계에 종종 부딪힌다. 또한 즉흥연주에 욕심이 있는 경우 화성학 등 이론의 공부가 필요한데 여기서 취미생의 한계가 많이 드러나는 편이다.

7. 유명 제조사

국내에서는 속칭 ' 빅3' 라는 세 개의 유명 제작사가 있다.
그 외에 킹(미국), 콘(미국), 마틴(미국), 부셔(미국), 줄리어스 카일워스(독일), P.모리아(대만), 보르가니(이탈리아), 이다 마리아(이탈리아), 캐논볼(미국), 주피터(대만) 등 메이커가 상당히 많다. 한국에서도 삼익악기, 영창 알버트웨버, 제네시스 마스터, 버든 등에서 판매를 하나 공장은 중국이나 대만에 있다.

8. 마우스피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색소폰/마우스피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주요 연주자

9.1. 실존 인물

9.2. 가상 인물

10. 관련 영상

▲ 9대의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및 바리톤 색소폰이 합주한 비발디 사계 중 겨울. 원래 색소폰은 이런 용도로 발명되었다. 솔로 소프라노 1대를 빼고 각각 2대씩 배치된 것으로 보인다. 연주자는 스트라스부르 색소폰 앙상블(L' ensemble de saxophones de Strasbourg).

▲ 16대의 소프릴로~콘트라베이스 색소폰까지 합주한 생상스의 죽음의 무도(Danse Macabre). 서브콘트라베이스를 뺀 모든 색소폰의 합주를 들을 수 있다. 연주자는 영국 국립 색소폰 합주단(The National Saxophone Choir of Great Britain).

▲ 부츠 랜돌프(Boots Randolph)의 Yakety Sax.

11. 기타

언어별 명칭
<colbgcolor=#dcdcdc,#222> 한국어 색소폰
영어 Saxophone
프랑스어
독일어 Saxophon
스페인어 Saxofono
포르투갈어 Saxofone
에스페란토 Saksofono
이탈리아어 Sassofono
일본어 サクソフォーン[55], サックス[56]
<colbgcolor=#ffffff> 파일:올레 마티슨 1993년 당시 활동.jpg
▲ 섹스폰이 아니다.

영어로 sax라 줄이기도 하는데 글자 하나 차이에 발음도 비슷해서 종종 섹드립에 쓰이긴 한다. 그 외에도 관능적인 음색을 지녀서 그런지 섹드립계 음악하면 떠오르는 곡들 중 대다수가 색소폰으로 연주된 끈적끈적한 선율이다. 동네 택시기사님 왈 불륜의 상징이라고..... 사람들이 야동 보려고 검색하다 섹스폰 동영상이 떠서 기대하고 보면 아름다운 선율이... 간혹 중고나라 같은 거래사이트에서 색소폰이 아닌 섹스폰이라거나 색스폰이라거나 쌕스폰이라거나 하는 이름으로 거래가 많이 올라오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비록 2000년대 이후로는 색소폰이라고 불리고 있지만....

트럼펫이나 트롬본도 그렇지만 금속제 원추형 관악기가 다 그렇듯이 색소폰 역시 음량이 꽤 크다. 아파트 같은 곳에서 불면 즉각 민원이 들어올 것이다. 그나마 트럼펫이나 트롬본 같은 금관악기들은 소리가 크긴 하지만,[57] 소리가 나오는 구멍은 벨 하나밖에 없으니 여기에 뮤트라는 장비를 넣으면 어느정도 음량이 줄어 커버가 되긴 하지만[58], 색소폰의 경우엔 벨 뿐만이 아니라 키홀 하나하나에서 전부 소리가 나오기 때문에 벨 부분만 틀어막아봐야 별 효과가 없으며, 아예 색소폰 전체를 가려버리는 무식한 방법으로 뮤트를 만든다. #

KOF 시리즈의 인기 캐릭터 야가미 이오리의 전용 OST와 AST의 대부분에는 색소폰 연주가 들어간다. 곡명들도 죄다 폭풍의 색소폰, 폭풍의 색소폰 2, 폭풍의 색소폰 3 Cool Jam, Stormy Scream 폭풍의 색소폰 4, 폭풍의 색소폰 5, 달빛 아래 색소폰 등... 이 외에도 곡명에 색소폰은 안들어가도 색소폰이 사용된 Sadistic Eyes, New Order, Fictitious or Real 등도 있다.

해외에선 곡의 핵심 멜로디도 아니고 불과 반주 정도에서만 잠깐 등장한 색소폰 연주자의 요염한 허리돌림이 워낙 강렬한 인상을 남긴 나머지, Epic Sax Guy라는 인터넷 필수요소까지 등장한 적이 있다.
[1] 콘트라베이스는 포함되지 않음 [2] 소프릴로와 서브콘트라베이스는 포함되지 않음. 알토 색소폰의 크기를 감안한다면, 바리톤부터는 악기가 얼마나 커지는지 알 수 있다. [3] 더 정확하게는 각 음마다 키가 정해져 있는 관악기의 경우엔 목관악기( 리코더, 클라리넷, 플루트 등), 슬라이드나 밸브구조를 가져 배음을 이용해 연주하는 악기는 금관악기( 트럼펫, 트롬본, 튜바 등)로 분류한다. [4] 많이 쓰이는 수요로 보자면 취미로 부느냐 아니면 실질적인 음악으로 쓰이느냐에 따라 다르다. 일단 둘 다 알토나 테너가 가장 많다. 여기까지는 같지만 소프라노와 바리톤이 다르다. 실질적으로 많이 쓰이는 건 바리톤이나 취미로는 바리톤의 비싼 가격과 지나친 크기와 무게, 진입 장벽 등으로 소프라노가 훨씬 더 수요가 높다. [5] 특히 다른 악기와의 합주에 있어, 음색이나 오케스트라 내 위치 등이 애매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6] 그의 천재성, 혁신 등이 많은 질투자와 대적을 만들어 냈다고 한다. [7] 특히 알토의 경우 너무 높거나 낮은 음만 아니라면 모든 역할이 가능한 진정한 멀티롤 악기이다. [8] 다만 그만큼 합주시에 요구되는 기교도 난이도가 높다. [9] 물론 악기 제조업자들 및 판매상들이 매상이 떨어진다고 항의하자 비판을 그만두었다. [10] 이들의 전신인 Lyricon이라는 EWI도 있었다. 케니지가 초기에 esther란 곡에서 잠시 쓰다가 버린 기종이다. [11] 혹은 사람에 따라 2010년으로 보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12] 매니악한 악기만 골라서 만드는 매니악한 악기 제조상이다. [13] 50cm 정도이며, 대략 오보에랑 비슷한 크기이다. [14] 과장 하나 안 보태고 엄지손까락보다 작다. [15] 소프라니노~소프라노의 경우 직관형 악기가 많지만, 간혹 가다가 곡관형 색소폰도 볼 수 있다. ECM의 간판 아티스트인 얀 가바렉 등 일부 연주자들은 곡관 소프라노 색소폰의 음색이 더 좋다고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16] 나이절 우드(Nigel Wood)의 만-모우(Man-Mou). 연주자는 제럴드 매크리스털(Gerard McChrystal). [17] 블랙 오르페우스(Black Orpheus). 연주자는 독일 연주자 미하엘 아우서바우어(Michael Ausserbauer). [18] 테이크 더 콜트레인(Take the Coltrane). 연주자는 미국 연주자 앨 매클레인(Al McLean). [19] 과거 피아노나 바이올린처럼 이조 없이 C조로 연주할 수 있어 잠시 반짝했으나 최근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20] Sax. co. uk의 연주자 스콧 젱킨스(Scott Jenkins)의 시범 연주. [21] 음색 자체가 너무 낮아서 음색의 편차가 쉽게 드러나고, 소리가 큰데다 퍼지는 음색이라 재즈용 세팅으로는 톤이 너무 거칠어지기 때문으로 추정. [22] 정확히는 C조 베이스 색소폰으로 지금의 Bb조 베이스 색소폰과는 조금 다르다. [23] 그 다음으로 크고 낮은것은 바순이다. [24] Low A키 장착시. [25] 도나 리(Donna Lee). 연주자는 랜디 에머릭(Randy Emerick). [26] 콘트라베이스는 Low A키가 무조건 달려서 나온다. [27] 대략 계산해 보면 소프라노와 알토가 1.5~2배 정도의 차이가 나며 알토와 테너 역시 그 정도 차이가 나며 테너를 3.5kg으로 계산해 보면 바리톤이 6~7kg, 베이스가 9~12kg, 그러니 콘트라베이스는 대략 15~20kg이라는 결과가 나온다. [28] 실제로 들고 연주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인상적이다. [29] 비견되는 악기로는 실질적으로 연주영상이 하나도 없고 딱 한 대밖에 없는 옥토콘트라베이스 클라리넷과 마찬가지로 딱 한 대 있는 하이퍼베이스 플루트 정도가 존재한다. 금관악기까지 넓혀 보면 서브콘트라베이스 튜바 역시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 악기들은 제작된 수량이 이 악기에 비하면 극히 적기 때문에 "상용화된" 관악기들 중 가장 크다고 봐도 무방하다. [30] 무게도 무게지만, 덩치 자체가 사람보다 훨씬 큰게 문제이다. 3m라는 크기를 가진 물건을 들고 연주하는건 무게도 무게지만 연주자세 면에서도 문제가 많다. 애초에 마우스피스의 위치도 그렇고 콘트라베이스 색소폰과는 달리 들고 연주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지도 않다. [31] 서브콘트라베이스가 너무 큰 탓에 에펠스하임은 우선 1999년 E♭/B♭/ C조 튜박스의 축소형 세 모델을 최초로 개발한 것이다. 이 중 C조는 수요가 거의 없어 실상 단종 상태이다. 현재 서브콘트라베이스에는 콘트라베이스와 비슷한 형태의 악기 및 # 벨 뒤쪽이 한 번 더 접혀 더 작아진 형태도 있다(전술한 2010년에 개발된 축소개량형이다). 다만 이 모델은 Low B키만 부착되어 최저음은 A0로 최저음이 한 음 덜 내려간다. # [32] A0 [33]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88건반 피아노 기준이다. [34] 앞의 두 개는 콘트라베이스 및 서브콘트라베이스 색소폰의 축소형이며 C조는 피아노음에 맞춰 개발된 악기이다. C조는 사실상 도태된 듯 보인다. 물론 튜박스 자체가 세계적 수요가 거의 없지만. [35] 기타 몇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이 악기가 과연 같은 색소폰족에 포함되는지에 논란이 있다. 또한 동종의 색소폰들보다 크기를 줄였음에도 B♭ 튜박스(서브콘트라베이스 축소형)는 길이가 사람 키만 하고, E♭ 튜박스(콘트라베이스의 축소형)는 바리톤보다 좀 더 큰 크기이지만 무게는 베이스보다 무겁다. [36] 나이젤 우드가 지은 소프릴로와의 합주곡 잽잽 (Jab Jab). 튜박스 연주자는 짐 치크(Jim Cheek). [37] 이사크 알베니스 (Isaac Albeniz)가 지은 첼로와의 합주곡 아스투리아스(Asturias). 튜박스 연주자는 슈테펜 쇼른(Steffen Schorn). [38] 다만 마우스피스를 무는 법이 좀 다르는 등 세세한 부분에서 좀 다르다. 색소폰의 앙부쉬어가 클라리넷보다 쉽고 일단 클라리넷엔 색소폰과는 달리 지공이 노출되어 있다. 제대로 안막으면 꽥! 하고 매우 크게 삑사리가 난다. 색소폰은 옥타브 키를 누르면 한 옥타브 위 소리가 나는 반면 클라리넷은 레지스터 키를 누르면 한 옥타브 + 5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옥타브 별로 운지가 다르다. 자세한 건 밑의 내용 참조. [39] 리드의 호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저항이 강하며 리드와 마우스피스의 호수가 커질수록 호흡이 많이 필요하다. 전반적으로 재즈에 비해 클래식의 마우스피스의 호수가 낮고 리드의 호수가 높아 저항이 강한 편 [40] 악기에 줄을 달아 목에 거는 것 [41] Leo Pellegrino (줄여서 Leo P.라 불린다) 라는 미국의 바리톤 색소포니스트는 이 거대한 바리톤 색소폰을 춤추며 연주한다. 연주 영상은 바리톤 색소폰 항목을 참조. [구] Rico [43] 일단 테너는 여성 보컬곡을 거의 못 분다고 봐야 하며, 그 곡이 너무 좋아서 꼭 불고 싶다면 키를 낮춰서 불어야 한다. 그리고 최고음이 알티시모를 쓰지 않으면 E5에 불과해서 최고음에 도달해도 그다지 높다고 느껴지지도 않는다. [44] 그래도 저음이 나오긴 하는 정도라면 그나마 양반이다. 아에 옥타브가 올라가는게 비일비재하다. [45]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알토는 리드를 2.5호를 쓰는 경우가 많지만 테너는 3호가 일반적이다. 만약 알토가 2호를 쓰는게 일반적인 리드라면 테너는 2.5호를 쓴다. 이유는 리드가 얇으면 소리가 날카로운것도 있지만 다른것보다 저음을 내기가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 [46] 400~600만원 정도. 다만 같은 회사의 바리톤은 거의 절반에 가까운 가격으로 판매한다. [47] 앞서 말했듯이 여기서부터는 성인 남성보다도 크기가 커진다. [48] 경우에 따라선 알토 색소폰 연주자가 연주한다 [49] 색소폰 4중주도 작곡했다. [50] 그때 차인표는 색소폰을 전혀 불 줄 몰랐다고 한다. [51] 프랑스제. 돈 있으면 무조건 셀머를 산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쪽 분야에서 최고로 친다. [52] 1954년부터 색소폰을 생산해 온 일본 브랜드. 셀머와 야마하의 장점을 잘 조합해서 중간점을 찾았다는 평을 받다. 가격도 셀머랑 맞먹을 정도로 고가인 편. 물론 그만큼 인정을 받는 브랜드이며 편의성이 좋다는 평도 있다. [53] 일본제. 최고가형 모델이 주력인 앞의 두 브랜드와는 달리 중저가~중고가형이 주력. 가성비가 좋은 편이며 음색이 다소 가볍고 날린다는 혹평도 있지만 음색이 매우 정확하고 연주하기 쉽다는 평이 많아서 특히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브랜드이다. 다만 최고가형 모델들의 경우 셀머나 야나기사와에 비해 밀린다는 평도 있다. [54] 현재 리사 심슨이 연주하는 색소폰은 시즌6에서 머피가 죽기 전 리사에게 물려준 색소폰이다. [55] サクスホーン, サクスポーン, サクソホーン등, 장음으로 처리를 안하는 등 여러 표기가 있지만 정식표기는 サクソフォーン이다. [56] 이는 보통 약칭으로 불린다. [57] 특히 트롬본의 음량은 가히 경이로운 수준이다. 오케스트라의 편성을 보면 보통 트롬본 파트는 테너 2대와 베이스 1대로 편성되는데, 이 3대만으로도 오케스트라 전체를 잡아먹어 버릴 정도의 음량을 낼 수 있어서 지휘자가 트롬본 파트의 연주자들에게 너무 크게 연주하지 말라고 사전에 부탁하는 경우도 흔하다. [58] 뮤트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음량이 많이 줄어드는 경우는 TV소리나 사람의 대화 소리와 비슷한 정도까지 줄어들기도 한다. 호흡의 저항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그 우렁찬 트롬본조차도 야간이 아닌 이상 실내 연습을 해도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