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20:04:15

해상자위대

해상막료감부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세계의 해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navy>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 파일:조선인민군 해군기.svg 북한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대만 |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준군사조직)
동남아시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0px-Naval_Jack_of_Indonesia.svg.png 인도네시아 | 파일:태국 해군기.svg 태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 파일:1280px-Naval_Ensign_of_Malaysia.png 말레이시아 | 파일:필리핀 해군기.svg 필리핀 | 파일:싱가포르 해군기.svg 싱가포르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인도 |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해군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해군기.svg 이스라엘 | 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중앙아시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해군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유럽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 파일:영국 해군기.svg 영국 | 파일:이탈리아 해군기.svg 이탈리아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 파일:그리스해군기.png 그리스 | 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네덜란드 |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 파일:핀란드군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 파일:폴란드 해군기.svg 폴란드 | 파일:루마니아 해군기.svg 루마니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 파일:리투아니아 함미기.svg 리투아니아 |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 파일:벨기에 해군기.svg 벨기에 | 슬로베니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해군기.png 미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Jack_of_Argentina.svg.png 아르헨티나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Ensign_of_Bolivia.svg.png 볼리비아 |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북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동아프리카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서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해군기.svg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faa3.png 앙골라
오세아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 파일:뉴질랜드 해군기.svg 뉴질랜드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colcolor=#fff> 파일:일본 국기 위키미디어 공용.svg
자위대
파일:육상자위대기.svg 파일:해상자위대기.svg 파일:항공자위대기.svg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

해상자위대
[ruby(海上自衛隊, ruby=かいじょうじえいたい)]
Japan Maritime Self-Defense Force(JMSDF)
파일:해상자위대 마크.svg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엠블럼 자위대기・자위함기
守る! この海と未来 海上自衛隊
지킨다! 이 바다와 미래 해상자위대
모토
창설일 1954년 7월 1일
국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국
상급기관 방위성
내부조직 자위함대, 요코스카지방대, 쿠레지방대
사세보지방대, 마이즈루지방대, 오미나토지방대
본부 도쿄도 신주쿠구 이치가야혼무라초 5 - 1
군종 해군
역할 일본 영해와 해안 방어
인원 약 45,364명
연간예산 약 1조 2,116억엔
전신 대일본제국 해군
해상경비대
경비대
해상막료장 사이토 아키라
해상막료부장 야기 코우지
해상자위대 공식 사이트
해상자위대 공식 유튜브

1. 개요2. 상세3. 역사4. 전력5. 해상막료감부6. 주요 보유 함선 / 항공기 및 수량
6.1. 다용도 운용모함(DDH)6.2. 헬리콥터 구축함(DDH)6.3. 미사일 구축함 (DDG)6.4. 범용 호위함(DD)6.5. 다목적 호위함/호위 구축함(FFM/DE)6.6. 잠수함(SS)6.7. 수송함(LST, LCU, LCAC)6.8. 보급함(AOE), 연료수송함(YOT)6.9. 소해 및 기뢰함(MST, MSO, MCL, MSC)6.10. 해양관측함 및 음향측정함(AGS, AOS)6.11. 훈련지원함 및 연습함(ATS, TV)6.12. 잠수함 구조함(ASR)6.13. 경비정(PG) 및 기타 특수목적함6.14. 고정익/회전익 항공기
7. 기타8. 해상자위대의 편제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54년 창설된 일본의 해상 방위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2. 상세

해상자위대가
45,000여 명의 병력과 110여 척의 함선, 360여 기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 해군 해군본부 격인 해상막료감부의 지휘를 받으며, 실제 전투는 해군작전사령부에 해당하는 자위함대 사령부가 총괄한다. 자위함대 사령부는 제1호위대군과 미 해군 제7함대가 주둔하고 있는 요코스카항에 위치해 있다.

3. 역사

자세한 것은 자위대/역사를 참고할 것.

1945년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한 이후 일본 제국 해군은 해체되었다. 1945년 12월 1일엔 해군성(海軍省)이 폐지되었는데 아직 해외에서 복귀하지 않은 일본군 패잔병들의 문제 처리 때문에 제2복원성(第二復員省)으로 개칭하여 일부 기능을 남겼다. 복원(復員)은 군인 민간인으로 되돌린다는 뜻이다. 제2복원성 외에도 해군 내의 소해(掃海)부대는 남겨놨는데, 일본이 전쟁 중 일본 열도 연안에 기뢰를 많이 부설해서 이를 해체할 전력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일본군이 해체되었고 육군은 완전히 분해됐지만, 해군 약 10,000명은 이런 이유로 남았고 준군사조직 해상보안청으로 유지됐다. 미군정은 이들을 일본 열도 아니라 한반도에 부설했던 기뢰를 해체하도록 시켰고, 6.25 전쟁이 터지자 미군을 도와 한반도 근처에 북한군 소련군이 뿌린 기뢰 소해 임무도 수행한 적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전사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

해상보안청으로 유지되던 해상전력은 GHQ 찰스 윌로비(Charles Willoughby) 소장의 일본 해상전력 재군비 계획안에 의해 1948년부터 재무장이 본격화되었다. 여기에 기름을 부어 불길을 당긴 건 다름 아닌 6.25 전쟁으로 1950년에 해상보안청은 규모를 늘릴 것을 미군정에 요구받았다. 이에 따라 1952년 4월 26일에 해양경찰을 하는 해상보안청의 기능은 해상보안청에 그대로 남겨두고 해군 기능을 분리하여 해상경비대로 개편했는데, 해상경비대의 장교와 부사관은 98% 이상이 일본제국 해군 출신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해상자위대는 여전히 욱일기 군함행진곡 등을 그대로 사용하고, 현재 전력화된 함 명칭도 옛 함명에서 그대로 따오는 등 옛 일본군의 잔재가 타 자위대보다 더 강하게 남아있다.

이후 해상경비대는 1952년 8월 1일에 경비대로 바뀌었고 1954년 7월 1일에 해상자위대가 되었다. 따라서 공식 창설일과 몇몇 기념일은 전신인 해상경비대의 것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4. 전력

해상자위대의 전력은 2000년대까지는 장거리 방공과 공격을 담당하는 미국 해군 함대를 보조해 소련 해군의 태평양 진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맡아 대잠과 소해 임무에 치중되어 육성되어 왔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 주요 경쟁상대가 된 중국 해군의 성장으로 인해 해상자위대에게 위협으로 떠오르게 된다.

이에 따라 BMD 이지스함 숫자를 8척으로 늘리고 신형 함대공 탄도탄 요격 미사일인 SM-3 Block IIA를 미국과 공동개발·생산해 배치하고 있으며, 2010년대 들어 휴우가급 이후 건조되는 신규 자국산 호위함에 무조건 4면 고정 능동위상배열레이더와 장거리 대잠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이 탑재된 멀티스태틱 소나를 기본적으로 장착해 설계하고 있고, 강력한 개함 방공 미사일인 ESSM을 라이선스 생산해 대량 운용하는 한편, 기존의 90식 함대함 미사일을 대체해 사정거리가 2배 이상 연장되고 대지 타격 능력도 부여된 17식 함대함 미사일을 도입하고 있다. 이후, 육상자위대 이지스 어쇼어 획득안이 백지화되고 대신 신규 이지스함 2척을 추가 건조하기로 하면서 본의 아니게 이지스함 10척 체제가 갖추어질 예정이며, 사정거리 1,000~2,000km급 스탠드 오프 대함·대지 미사일 개발 및 도입을 가속화하기로 함에 따라 장거리 공격 능력 역시 이른 시기에 확보할 전망이다.

여기에 항공자위대가 도입하는 E-2D와 함께 이지스함에 미국의 합동교전능력(CEC)을 탑재하고 SM-6 도입도 추진하는 한편, 범용 호위함급 함선에도 자국산 합동교전능력인 FC 네트워크(J-CEC)와 장거리 함대공 미사일(A-SAM)의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해상자위대의 신규 프리깃급 호위함인 모가미급 호위함은 이러한 신기술들이 적용되는 첫 번째 함급으로 장거리 대공/대함/대잠과 첨단 무인 소해능력을 가진 다재다능한 함선이 된다. 해상자위대는 앞으로 이지스함과 DDH, 범용 호위함으로 이루어진 4개의 주력함대인 호위대군을 보좌하기 위해 모가미급 호위함과 기존의 소해함과 수송함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2개의 수상함대를 편성할 예정이다.

또한 중국 뿐만 아니라 북한 탄도 미사일 위협도 심화되자 해상자위대는 네트워크 중심전을 기반으로 대함, 대공 능력과 BMD 능력에 중점을 두어 미래전력을 설계하고 있다.

해상자위대의 잠수함은 매년 1척 건조, 1척 배치, 1척 개량의 공식을 유지하면서 2010년대까지 유지됐었던 16척 체제에서 22척으로 수량이 증강[1]되고 있으며, 세계최초로 군사용 잠수함에 리튬 이온 배터리 추진 시스템을 실용화하고 있다.

해상자위대 항공대는 지속적으로 대규모의 대잠초계기 대잠초계헬기 부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P-1 초계기와 SH-60L 등의 신규 개발 장비들을 지속 도입하고 있다. 더불어 이즈모급을 사실상의 항공모함으로 개조하고 항공자위대 F-35B와 통합 운용할 계획을 세우는 등 여러 방면에서 실질적인 해상 전력 증강을 가속화하고 있다.

2022년 12월, 전수방위 태세를 사실상 파기한 3대 안보문서 개정 후 발표된 2023년도 중기 방위력정비계획에서는 미국으로부터 토마호크 미사일을 도입하고, 더불어 사정거리 1000~2000km급의 자국산 아음속 및 극초음속 장사정 대함·대지 미사일들의 개발을 가속하며, 차세대 잠수함에는 VLS를 탑재해 대지 공격능력을 부여하고, 2032년까지 신규 이지스 호위함 2척을 추가로 취득해 이지스 호위함 체제를 10척으로 증강하는 방안을 결정했다. 또한 육상자위대에 도입할 예정이었던 이지스 어쇼어의 대체함으로 초대형 이지스 화력 방공함 2척을 2028년까지 확보할 예정이다. #

5. 해상막료감부

해상막료감부는 해군본부에 해당한다. 아래는 역대 해상자위대 최고지휘관인 해상막료장이다. 총감이나 제2막료장이라 불리던 시절도 있었다. 역대 막료장은 자위대/역대 막료장을 참고할 것.
제36대 해상막료장([ruby(齋藤 聡, ruby=さいとう あきら)])
파일:sakai.jpg
성명 사이토 아키라([ruby(齋藤 聡, ruby=さいとう あきら)])[2]
임기 2024년 7월 19일 ~ 현재
생년월일 1966년 7월 26일
출신지 나가사키현

6. 주요 보유 함선 / 항공기 및 수량

파일:일본 국기.svg 현대의 일본 해상자위대 함선 파일:해상자위대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b76e79,#914852>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잠수함
(SS)
<colbgcolor=#fff,#191919> 쿠로시오R, 오야시오R, 하야시오급R, 나츠시오급R, 오오시오R,
아사시오급R, 우즈시오급R, 유우시오급R, 하루시오급R, 오야시오급, 소류급, 타이게이급
경비정
(PC)
유리급R, PT9R
구잠정
(PC)
카리급R, 카모메급R, 하야부사급R, 우미타카급R, 미즈토리급R
미사일 고속정
(PG)
1호형 미사일정R, 하야부사급
초계프리깃
(PF)
쿠스급R
다목적 프리깃
(FFM)
모가미급, { 신형 FFM}
호위구축함
(DE)
아사히급R, 아케보노R, 이카즈치급R, 와카바IJN/R, 이스즈급R, 치쿠고급R, 이시카리R, 유우바리급R, 아부쿠마급
구축함 구축함
(DD)
아사카제급R, 하루카제급R, 아야나미급R, 무라사메급R, 아리아케급R, 아키즈키급R, 야마구모급R, 타카츠키급R, 미네구모급R, 2,500톤급, 하츠유키급R, 아사기리급, 무라사메급, 타카나미급, 아키즈키급, 아사히급, { 13DDX}
방공구축함
(DDG)
아마츠카제R, 타치카제급R, 하타카제급R, 공고급, 아타고급, 마야급, {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헬기구축함
(DDH)
하루나급R, 시라네급R, 휴우가급
다용도 운용모함
(DDH)
이즈모급
상륙정 1001호형R, 2001호형R, 3001호형R, 수송정 1호형, LCAC 1호형
상륙함 오오스미급(초대)R, 아츠미급R, 유라급R, 미우라급R, 오오스미급(2대)
기뢰전함 소해모함 나사미R, 미호R, 하야토모R, 하야세R, 우라가급
소해함 하츠시마급 R, 우와지마급R, 스가시마급, 히라시마급, 에노시마급, 야에야마급, 아와지급
소해정 야시마급R, 우지시마급R, 아타다급R, 야시로R, 카사도급R, 타카미급R, 소해정 1호형R
소해관제정 후쿠에R, 니이지마급R, 이에시마급
구조함 치하야(초대)R, 후시미R, 치하야(2대), 치요다R, 치요다(2대)
군수지원함 보급함 사가미R, 토와다급, 마슈급
급유함 하마나R
연료수송함 YOT-1급
잠수함모함 수중처분모선 1호형
다용도 지원함 81호형R, 히우치급, {다목적 초계함정}
정보수집함 해양측정함 아카시R, 후타미R, 스마R, 와카사, 니치난, 쇼난
음향측정함 히비키급
쇄빙함 시라세(초대)R, 시라세(2대), 후지R
시험함 구리하마R, 아스카, { 타이게이}
특무정 유우치도리R, 하야부사R, 히요도리R, 하시다테
훈련함 연습함
(TV)
카토리R, 야마구모급T/R, 미네구모급T/R, 야마기리급T, 카시마, 시마유키급T/R, 하타카제급T
훈련지원함
(ATS)
쿠로베, 텐류
연습잠수함
(TSS)
유우시오급T/R, 아사시오T/R, 하야시오급T/R, 오야시오급T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IJN: 일본 제국해군(Imperial Japan Navy)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자위대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6.1. 다용도 운용모함(DDH)

파일:title-1681967017534.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다용도 운용모함(DDH) 2 -
이즈모급 2 -

6.2. 헬리콥터 구축함(DDH)

파일:EPQcoIzUEAE3otT.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헬리콥터 호위함(DDH) 2 -
휴우가급 2 -

6.3. 미사일 구축함 (DDG)

파일:ETdRpG6UUAEzfna.jpg

파일:EMgUT7MVAAArmvF.jpg

파일:EG6_XPQU0AAJBSf.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미사일 호위함(DDG) 8 2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 2
마야급 2 -
아타고급 2 -
공고급 4 -

6.4. 범용 호위함(DD)

파일:EUGt6yoUcAEU7vk.jpg

파일:wal_201611a_w1024.jpg

파일:FJA96WPacAAd7dD.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범용 호위함(DD) 28 -
아사히급 2 -
아키즈키급 4 -
다카나미급 5 -
무라사메급 9 -
아사기리급 8 -

6.5. 다목적 호위함/호위 구축함(FFM/DE)

파일:E_SVzzvUUAE2qVk.jpg

파일:ER8fLZzU8AI4aqK.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다목적 호위함(FFM) 6 24
모가미급 6 6
신형 FFM - 12
호위 구축함(DE) 6 -
아부쿠마급 6 -

6.6. 잠수함(SS)

파일:1_V5JEMxltwH-7ZcaEoTateg.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잠수함(SS) 24 11
타이게이급 2 10
소류급 12 -
오야시오급 9 -
훈련함 2 -

6.7. 수송함(LST, LCU, LCAC)

파일:DIxGdcjUwAANag1.jpg

파일:DvhrZbIUYAAIw8O.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수송함(LST) 3 -
오오스미급[3] 3 -
상륙주정(LCU) 2 -
LCU-1급 2 -
에어쿠션정(LCAC) 6 -
LCAC-1급 6 -

6.8. 보급함(AOE), 연료수송함(YOT)

파일:EFyhCu7UEAAvOVp.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보급함(AOE) 5 -
마슈급 2 -
토와다급 3 -
연료수송함(YOT) 2 -
YOT-1급 2 -

6.9. 소해 및 기뢰함(MST, MSO, MCL, MSC)

파일:20120623_jmsdf_mf_mine_sweeping.jpg

파일:DbYjRkoUQAMY8xg.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소해모함(MST) 2 -
우라가급 2 -
소해함(MSO) 3 4
아와지급 3 4
소해관제정(MCL) 2 -
우와지마급 2 -
소해정(MSC) 18 -
에노시마급 3 -
히라지마급 3 -
스가시마급 12 -

6.10. 해양관측함 및 음향측정함(AGS, AOS)

파일:Du4-Ff2VAAQzkBO.jpg

파일:CyUIXxeUsAEOXOy.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해양관측함(AGS) 3 -
쇼난 1 -
니치난 1 -
와카사 1 0[4]
04AGS 0 1[5]
음향측정함(AOS) 3 4
히비키급 3 4

6.11. 훈련지원함 및 연습함(ATS, TV)

파일:AST-4202.jpg

파일:FJEd9suaMAMh2Wg.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훈련지원함(ATS) 2 -
쿠로베 1 -
텐류 1 -
연습함(TV) 3 -
카시마 1 -
하타카제급 2 -

6.12. 잠수함 구조함(ASR)

파일:D9GUdbgUYAYDbfz.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잠수함 구조함(ASR) 2 -
치요다 1 -
치하야 1 -

6.13. 경비정(PG) 및 기타 특수목적함

파일:D1dpI6lU4AAAy1u.jpg

파일:EB2d1NSX4AUiNJt.jpg

파일:571db80c3af3d6544352bfe07e38824f.jpg

파일:ERbV__iU4AAyZ6U.jpg

파일:DqMoKibX0AEdAZM.jpg
함급 보유수량 계획수량
경비정(PG) 6 -
하야부사급 6 -
부설함(ARC) 1 -
무로토 1 -
쇄빙함(AGB) 1 -
시라세 1 -
시험함(ASE) 1 -
아스카 1 -
특무정(ASY) 1 -
하시다테 1 -

6.14. 고정익/회전익 항공기

파일:ERL254XUwAA3cR0.jpg

파일:CQeAtONUkAEPEHc.jpg

파일:EPPx5GnUwAAjLMx.jpg

파일:DslqDapU8AEsAWM.jpg

파일:EQFbLVzVUAAmezC.jpg

파일:CzFCQZKUkAAyZEh.jpg

파일:ESFxDuqUUAEf1Gl.jpg

파일:EMS0xjIUcAAwh0K.jpg
형식명 용도 보유수량 제조국
회전익 항공기
SH-60J[6] 대잠/초계 14 파일:미국 국기.svg
SH-60K[7] 대잠/초계 71
SH-60L[8] 대잠/초계 2(+88)
UH-60J[9] 구난/수색 12
MCH-101[10] 소해/수송 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CH-101[11] 극지수송 2
TC-135 조종훈련/연락 15 파일:독일 국기.svg
고정익 항공기
P-1 대잠/초계 30+ 파일:일본 국기.svg
P-3C[12] 대잠/초계 44 파일:미국 국기.svg
EP-3[13] 신호정보수집 5
OP-3[14] 영상정보수집 3
UP-3C[15] 개발장비시험 1
UP-3D[16] 전자전훈련지원 1
C-130R 수송 6
T/LC-90 조종훈련/연락 18
U-36A 함대훈련지원 6 파일:캐나다 국기.svg
US-2 구난 비행정 8 파일:일본 국기.svg
T-5 조종훈련 30

7. 기타

"일본 국민들의 해상자위대에 대한 애정도 남다르다. 운 좋게 참관한 해상자위대 관함식에는 1만 명 참가자 모집에 16만 명이 응모했을 뿐만 아니라 함정에 타기 위해 새벽부터 줄 서는 것은 물론, 멀리서 온 사람들이 전날 인근 호텔에서 숙박하여 방이 동이 날 정도였다."


- 일본 해상자위대 과거의 영광 재현을 꿈꾸는가? 중에서, 저자: 류재학, 배준형 해군 소령
파일:Kankanshiki.jpg
해상자위대 호위함에 탑승한 사람들[17]

위처럼 일본국민들 사이에서 해상자위대는 상당한 인기와 신뢰를 받고 있다. 일례로 요코스카 28회 관함식에서는 초청인원보다 훨씬 많은 인파가 모여들었으며 언론의 집중적인 주목을 받았다. 관함식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함선 공개 행사에도 남녀노소 구분없이 많이 참여하고 있으며, 멀리서 여행가방을 들고 찾아온 이들도 많이 보일 정도로 일본 국민들의 뜨거운 호응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대외적인 인기가 많다는 것이 곧 실제로 그 조직에 들어가 근무하고 싶은 사람이 많냐는 뜻은 아니다. 즉, 해자대를 사랑하고 응원하는 국민들 중 "그래서 해자대 입대하겠냐?"고 물으면 그들 중 다수는 그건 아니라고 답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해상자위대 역시 전국민적인 관심과 지지가 인력 충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해상자위대는 해군 규모에 비해 자위관에 지원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가 낮은 편이라는 것도 오해의 소지가 있다. 해자대의 최대 정원[18]은 45,494명으로 현재는 43,099명이 근무 중이다.[19]

수상함이나 잠수함에서 장기간 근무해야 하기 때문에 힘들기는 하지만 해자대에 지원자들 중에는 함정을 타보고 싶어 지원한 사람들이 많다. 또한 임금도 낮지는 않아서 육상에 비해 함선 근무자들이 돈을 꽤 벌기도 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그 돈 받느니 그냥 덜 받더라도 육상에서 편하게 일하겠다."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정확히 말하면 그만큼 육상 인원들을 쓸데없이 많이 받는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현재 해상자위대 방위비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오히려 육상자위대의 예산이 삭감되는 현상이 발생[20]하고 있고 이것을 일본 정부가 국민들에게 우선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얻으려고 하고 있기도 하다.
"일본 해군의 정신이라 탐탁지 않은 생각이 들지만, 배울 점도 있는게 사실이다."


- 일본 해상자위대, 과거의 영광을 꿈꾸는가? 해군 전통을 계승하는 5성, 3S 정신 중-

일본군 해군 똥군기 역시 직속으로 계승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해상자위대 장교를 양성하는 해상자위대 간부 후보생학과에는 옛 일본해군병학교의 전통적인 정신을 교육시키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5성, 3S 정신이 있다. 먼저 5성은 5가지의 반성이라는 뜻으로
* 1. 진심에 반하는 것은 없었던가?
* 2. 언행에 부끄러움은 없었던가?
* 3. 기력이 부족하지는 않았는가?
* 4. 노력이 부족하지는 않았는가?
* 5. 게을러 지지는 않았는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으며 에타지마의 간부후보생학교 생도들은 매일 밤 자습이 종료 되기 전에 '5성'을 복창한다고 한다.

3S 정신은 변화 무쌍한 바다에서 원활한 조치를 위한 정신으로 Smart:기민함, Steady:착실함, Silent:정숙함의 앞 글자를 따 이름 지었다. 이러한 정신은 해상자위대 간부에게는 필수 불가결한 근본으로 간주되어 실습을 통해 채득시키고 있으며, 이것을 동경하며 해상자위대에 지원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한다.

2009년 기준으로 일반간부후보생 모집에서 육상자위대는 22.6 대 1, 항공자위대는 19.4:1을 기록했지만 해상자위대는 10.1 :1에 불과했다. 일반 병인 자위관후보생 모집에서도 육상자위대는 13.1:1, 항공자위대는 6.1:1을 기록했지만 해상자위대는 4.7:1에 불과했다. 이 정도면 높은 거라 생각할 수 있지만, 고졸들이 취업 지원하면서 여러 군데 다 쓴다고 생각하여 "다른 데 다 떨어지면 자위대 온다"는 얘기가 생겨 나기도 하였다. 2018년 기준으로 해상자위대의 신규 사(士) 충원율은 60%도 안된다고 하며 신규 추가되는 함정은 많으나 인력은 부족한 상황에 놓였다. 단, 이를 두고 해상자위대가 들어가기 쉽다느니, 타 자위대보다 수준 낮은 애들이 온다더니 하는 건 헛소리다. 응시자가 적을지언정 지원하는 이의 인적 자원 평균 수준은 육자대보다 높기 때문이다. 애초 어느 나라나 군대는 육군이 제일 대중적인 인지도가 높아 사람은 제일 많이 몰리지만, 미군만 해도 입대하는 자원 특히 사병 신분의 자원의 질은 해공군이 월등히 높다.

대외적으로 사용하는 공식 함선 접두어는 JS(Japanese Ship)이다. # #

8. 해상자위대의 편제

9. 관련 문서



[1] 훈련함 2척 제외. [2] 방위대학교 33기 [3] 오오스미급은 사실상 LPD 내지는 최대 LHD로서의 능력을 갖췄지만 자위대내에서는 LST(수송함)으로 분류한다. [4] 2026년 3월 퇴역 예정 [5] 2026년 3월 취역 예정 [6] 미쓰비시 중공업 라이선스 생산 [7] 미쓰비시 중공업 독자개조 생산 [8] 미쓰비시 중공업 독자개조 생산 [9] 미쓰비시 중공업 라이선스 생산 [10] 가와사키 중공업 라이선스 생산 [11] 가와사키 중공업 라이선스 생산 [12] 퇴역 중, 가와사키 중공업 라이선스 생산 [13] 가와사키 중공업 독자 개조 [14] 가와사키 중공업 독자 개조 [15] 가와사키 중공업 독자 개조 [16] 가와사키 중공업 독자 개조 [17] 저 위에 보이는 게 민간인을 비롯한 사람들이다. [18] 말 그대로 해자대의 시설, 함정등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정원이다. 당연히 이 TO가 전부 차게 된다면 오히려 복지 수준이 떨어지고 병력들을 제대로 운용하지 못해 전투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19] 출처:일본 방위백서 http://www.mod.go.jp/index.html [20] 일본 방위 예산 설명자료 http://www.mod.go.jp/e/d_budg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