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10:03:48

이즈모급 다용도 운용모함

파일:일본 국기.svg 현대의 일본 해상자위대 함선 파일:해상자위대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b76e79,#914852>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잠수함
(SS)
<colbgcolor=#fff,#191919> 쿠로시오R, 오야시오R, 하야시오급R, 나츠시오급R, 오오시오R,
아사시오급R, 우즈시오급R, 유우시오급R, 하루시오급R, 오야시오급, 소류급, 타이게이급
경비정
(PC)
유리급R, PT9R
구잠정
(PC)
카리급R, 카모메급R, 하야부사급R, 우미타카급R, 미즈토리급R
미사일 고속정
(PG)
1호형 미사일정R, 하야부사급
초계프리깃
(PF)
쿠스급R
다목적 프리깃
(FFM)
모가미급, { 신형 FFM}
호위구축함
(DE)
아사히급R, 아케보노R, 이카즈치급R, 와카바IJN/R, 이스즈급R, 치쿠고급R, 이시카리R, 유우바리급R, 아부쿠마급
구축함 구축함
(DD)
아사카제급R, 하루카제급R, 아야나미급R, 무라사메급R, 아리아케급R, 아키즈키급R, 야마구모급R, 타카츠키급R, 미네구모급R, 2,500톤급, 하츠유키급R, 아사기리급, 무라사메급, 타카나미급, 아키즈키급, 아사히급, { 13DDX}
방공구축함
(DDG)
아마츠카제R, 타치카제급R, 하타카제급R, 공고급, 아타고급, 마야급, {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헬기구축함
(DDH)
하루나급R, 시라네급R, 휴우가급
다용도 운용모함
(DDH)
이즈모급
상륙정 1001호형R, 2001호형R, 3001호형R, 수송정 1호형, LCAC 1호형
상륙함 오오스미급(초대)R, 아츠미급R, 유라급R, 미우라급R, 오오스미급(2대), 니혼바레급G 요코급G
기뢰전함 소해모함 나사미R, 미호R, 하야토모R, 하야세R, 우라가급
소해함 하츠시마급 R, 우와지마급R, 스가시마급, 히라시마급, 에노시마급, 야에야마급, 아와지급
소해정 야시마급R, 우지시마급R, 아타다급R, 야시로R, 카사도급R, 타카미급R, 소해정 1호형R
소해관제정 후쿠에R, 니이지마급R, 이에시마급
구조함 치하야(초대)R, 후시미R, 치하야(2대), 치요다R, 치요다(2대)
군수지원함 보급함 사가미R, 토와다급, 마슈급
급유함 하마나R
연료수송함 YOT-1급
잠수함모함 수중처분모선 1호형
다용도 지원함 81호형R, 히우치급, {다목적 초계함정}
정보수집함 해양측정함 아카시R, 후타미R, 스마R, 와카사, 니치난, 쇼난
음향측정함 히비키급
쇄빙함 시라세(초대)R, 시라세(2대), 후지R
시험함 구리하마R, 아스카, { 타이게이}
특무정 유우치도리R, 하야부사R, 히요도리R, 하시다테
훈련함 연습함
(TV)
카토리R, 야마구모급T/R, 미네구모급T/R, 야마기리급T, 카시마, 시마유키급T/R, 하타카제급T
훈련지원함
(ATS)
쿠로베, 텐류
연습잠수함
(TSS)
유우시오급T/R, 아사시오T/R, 하야시오급T/R, 오야시오급T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IJN: 일본 제국해군(Imperial Japan Navy)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윗첨자G: 육상자위대 소속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자위대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Fa-7p22aUAAefUt.jpg
いずも型護衛艦

1. 개요2. 제원3. 특징4. 함명5. 항공모함 개장
5.1. 길이 비교
6. 동형함 목록7. 기타8. 대중매체에서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해상자위대의 다용도 운용모함.

최초 건조 시 기준 배수량 19,500톤 및 만재 배수량 27,000톤의 헬리콥터 모함으로서 계획하였으며, 항공모함 개장을 통해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약 80년 만에 보유하게 된 일본의 첫 항공모함이다. 건조 계획 발표 당시부터 이론상 고정익 함재기의 탑재, 운용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 항공모함 개조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었는데, 결국 2019년도 중기 방위력 정비 계획에 F-35B 도입과 함께 고정익기 운용이 가능한 다용도 운용모함으로 전환하기로 결정되었고, 개조 후 2021년 일본의 항공모함 보유가 현실화되었다.

2. 제원

이즈모급 호위함
いずも型護衛艦
이전함급 휴우가급 헬기구축함
다음함급 -
건조 업체 Japan Marine United
전장 248m
전폭 38m[1]
흘수선 7.3m
기준배수량 19,500 t
만재배수량 27,000 t
동력 방식 COGAG
기관 GE LM2500IEC 가스터빈 엔진 × 4기
총 112,000 SHP
추진 가변 피치 프로펠러 2축
발전 GE LM500-G07 가스터빈 발전기 × 4기
총 14,000kW
최대속력 30노트[2]
항속거리 6,000해리[3]
승조원 약 470명
레이더 고정 OPS-50 위상배열 레이더
대수상 OPS-28F 레이더
항해 OPS-20E 레이더
소나 OQQ-23 소나
C4I MTA 해상 터미널
OYQ-12 전술정보 처리 장치
기만체계 디코이 Mk.137 SRBOC × 6기
ECM/ESM NOLQ-3 ECM/ESM
어뢰기만체계 OLQ-1 어뢰 방어 장치 (MOD + FAJ) 세트
무장 Mk.15 Phalanx 1B × 2기
SeaRAM × 2기
함재기 헬기항모 SH-60K 대잠헬기 7기
MCH-101 구조•소해 헬기 2기
경항모 F-35B 전투기 11기(예정)
최대 탑재량 14기
건조비 1139억 엔(초도함 기준)

3. 특징

파일:60338465_2332745063453865_9059663066240647168_o.jpg
파일:b95119f38f57345e6ce6e9664b5eb9a8.jpg 파일:ddh183-20.jpg

사업은 2010년 최초 계획되었고, 1번함 이즈모의 건조는 2012년 1월 27일에 시작되었다. 이후 1번함 이즈모는 2015년, 2번함 카가 2017년에 취역해 시라네급 헬기구축함을 모두 대체했다. 건조비(초도비용 포함)는 1번함 이즈모는 1,208억 엔, 2번함 카가는 1,170억엔이다.

전체 길이는 휴우가급에 비해 51m 긴 248m에 함폭은 5m 긴 38m로 경하 배수량은 5,500톤 증가되었고 사이드 엘리베이터를 갖추는 한편, 갑판 넓이를 2배 이상 확장하여[4] 항공기 운용 능력을 향상시켰다.

함 자체의 전투 능력은 기존 휴우가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으며. 전자장비와 수중 음파 탐지기는 단순화되었고, 무장도 VLS ESSM 아스록을 장비하고 있는 휴우가급과는 달리 팰렁스 CIWS와 Sea RAM 등 자위용 화기를 제외하고는 탑재하지 않았다. 대신 항공기 운용에 극도로 초점을 맞추었고, 따라서 호위함을 동반한 함대 소속으로 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대신 탑재하는 헬기를 이용하여 헬파이어 미사일 등으로 적함을 공격할 수 있다.

2015년 육상자위대 수륙기동단(해병대)에 도입 예정인 MV-22를 탑재할 예정이며, 전자 지휘실을 설치해서 이곳을 통해 유사시 현장 지휘 사령부로도 활용할 예정이다. # MV-22 도입 이전까지는 SH-60 대잠헬기나 MCH-101 소해헬기 등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한다.

또한 다른 함정에게 급유해줄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는데 # 이는 이즈모급이 큰 유류 저장고를 가지고 있는 덕분이기도 하다. 추가로 함재기 비행 후 해수 세척 등에 사용될 담수 확보를 위해 수평 진공 이단 증발식 조수 장치를 3개 탑재하고 있으며, 매일 60톤의 해수를 담수화할 수 있다고 한다.

4. 함명

헬리콥터 모함으로 분류되는 휴우가급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구국(旧国).[5]

1번함 진수 1주일 전 방위성에서 배포한 진수식 날짜 공지 PDF문서에서 함명이 유출되었다.[6] PDF 파일상에서는 함명에 해당하는 부분이 가려져 있었지만 클립보드에 복사, 붙여넣기 하면 이즈모 (いずも) 라는 이름이 나온 것. 당연히 일본 밀리터리 관련 사이트들은 발칵 뒤집혔다. 진수식까지 함명을 베일에 철저히 가려놓는 일본의 전통상 이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데 그것이 모두의 관심을 받고 있는 전후 최대 호위함인 22DDH에서 일어난 것이다.

이후 유출된대로 함명은 '이즈모'로 확정되었다. 하지만 이 이름이 문제인데 중국에서는 일본 제국주의에 맹활약하였던, 중일전쟁 상하이 포격을 지휘했던 장갑 순양함인 1세대 이즈모와 같은 함명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일본의 과거사 의식에 대해서 비판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이즈모라는 지명이 시마네 현 지역의 옛 지명이므로 일본이 독도를 시마네 현의 행정구역으로 분류하고 있는 사례를 볼 때 대한민국에 대한 교묘한 도발이라는 비판이 있다. 또 러시아 입장에서도 1세대 이즈모가 러일전쟁에 참전한 전적이 있어 역시 듣기 거북한 이름이기도 하다.

2번함의 이름은 카가로 결정되었다. 정식으로 이름이 공개되기 이전부터 '카가'와 '야마시로'[7]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고, 자위대 홍보부의 트위터에서 '○○' 라며 글자수를 공개한지라 카가에 무게가 쏠리는 분위기였다. 자위대에서는 공식적으로 함명을 히라가나로 표기하기 때문에, 야마시로면 4글자가 되어야 하기 때문.[8] 하지만 이 역시 동명의 항공모함이 중일전쟁에서 항공모함 호쇼와 함께 중국 본토에 폭격을 날린 함재기들을 발진시키면서 활약한 항공모함이라는 이유로 중국의 반발을 살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9]. 일단 자위대의 트위터를 참고하자면 2015년 개통된 호쿠리쿠 신칸센을 기념하는 의미[10]가 강한 모양인 듯하다.

5. 항공모함 개장

파일:1607141346.jpg
1, 2차 개장 완료 후 예상도

이미 크기 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이즈모급의 F-35B 탑재 경항모 전용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고정익기의 측면에서 보면 항모는 활주로가 짧기 때문에 빠르게 순항하여 항공기가 양력을 발생시키기 용이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즈모급은 30노트 이상의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어 굳이 스키점프대가 없어도 효율적인 항공기 이착륙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현측 엘리베이터와 80만 갤런 용량의 연료탱크가 탑재되어 있는데 이는 경항모에 필수적인 시설이다. 즉, 이미 항공모함화를 위한 기초는 갖추어져 있다는 이야기. 물론 본격적인 경항모 행세를 하려면 갑판 강도 향상, 정비고 확장, 고정익기 전용 통신 및 관제 시스템 설치 등의 개수가 필요하다.

2017년 12월 25일, 일본 정부가 F-35B를 도입하고 이즈모와 카가를 항공모함으로 개조하는 것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 방위성은 이즈모급의 건조사인 JMU에 'DDH의 항공기 운용 능력 향상 방안'이라는 이름으로 연구 용역을 발주하여 2018년 4월에 이즈모급 개조를 위한 설계도면과 예상 비용 등 상세한 정보가 담긴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F-35B의 운용을 위한 설비 및 갑판 강도 향상 이외에도 고정익/회전익 UAV[11]의 운용을 위한 장비와 이착륙 장치, 무기고 확장 등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일본 집권여당인 자민당 역시 이즈모급을 개조하여 다목적 항공모함을 보유할 것을 정부에 제언하였다. 자민당 안전보장조사위원회는 이는 방어형 항공모함으로 전수방위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으며, 공격형 항모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12] 게다가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은 아니나 "이즈모급을 설계하면서 애초부터 항모화를 계획해 두고 있었다"는 전직 해상자위대 장교의 증언도 나왔다. # 이러다 보니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로 일본과 꾸준히 충돌하는 중국이 특히 긴장하고 있으며, 외교부를 통해 직접 경고 메시지까지 보내며 경계하기도 했다. #

2018년 11월 26일, 일본 정부는 마침내 중장기 방위력 정비 지침인 '방위계획 대강'에 수직이착륙기인 F-35B와 기존 호위함을 개수한 다용도 운용모함을 도입할 방침을 명기하기로 하였다. # 기존의 F-15J 비개량분 100대 중에 40대를 F-35B로 대체하고 이즈모급을 항공모함으로 개장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와야 다케시 당시 방위대신은 그 다음 날, 이즈모급 항모화에 대해 "모처럼 있는 장비인만큼 다용도로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하며 이미 정치적으로 완전히 결단이 내려졌음을 시사했다. # 이렇게, 해상자위대 창설 초창기부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구상되며 조금씩 단계별로 접근해 왔었던 전후 일본의 항공모함 보유 시도는 결국 증가하는 중국의 위협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국방비 상승 압력을 배경으로 헬리콥터만 운용한다면서 의도적으로 쓸데없이 크게 만든 이즈모급에서 매듭을 짓는 데 성공하게 되었다.

2019년 5월 28일 방일한 트럼프 대통령이 아베 신조 총리의 안내를 받아 이즈모급 2번함 카가함을 방문해 연설하던 도중에 해당 함의 F-35B 탑재를 지지한다고 말해 미국이 일본의 항모 보유를 밀어주는 것이 공식화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이 이즈모급 개조를 기술적으로 지원해 주거나 함재기 운영 노하우 등을 전수해 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방위성은 동월에 이즈모급 항공기 운영 능력 향상 연구 사업에 대한 계약을 미국 해군성과 체결하였다. #

2019년 8월 16일, 일본 방위성은 공식적으로 이즈모급 2척에 탑재할 F-35B 수직 이착륙 전투기 42대를 대당 약 130억 엔 정도로 구입할 것을 결정했다. # 해당 F-35B 중 이즈모급 한 척당 12기 정도 탑재하고, 18기는 2024년부터 뉴타바루 기지에서 운용할 계획이다. 일본용 F-35B 초기 물량이 2024년경 항공자위대에 배치되기 전까지는 미 해병대의 F-35B가 항공모함 운영 훈련을 지원할 예정이다.

개장작업은 이즈모와 카가 모두 두 차례로 나누어 진행할 예정으로 첫 개수에서는 F-35B 운용을 위한 관련 장비와 함께 갑판에 항공기 운용 유도등을 설치한 후 내열 처리를 실시하며, 두 번째 개수에서는 함수 갑판 형태를 아메리카급처럼 직사각형으로 재성형하고 함내 개조를 실시할 예정이다. 스키점프대 탑재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미 해군의 와스프급/아메리카급 운용 사상을 반영해 필요 없다고 결론내린 것으로 보인다. #[13]

다만, 이즈모급의 엘리베이터 2기 중 1기가 현측 엘리베이터가 아닌 전방 갑판 한가운데에 위치해 있는 형태라 전방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고정익기와 F-35B 운용에 있어 제약이 생길 것으로 우려된다. 사실 이 설계는 F-35B의 이함시 후류 열 폭풍이 AV-8 정도가 될 거라 예상했던 당시 기준으로 설계해 동시 이착함이 가능하게 만든 것인데 하필 F-35B의 특성이 개발당시 예상보다 아예 달라졌을정도로 바뀐 게 많아 이 전방 엘리베이터를 사용하기 까다로워진 것이다. 이에따라 고정익기는 후방 현측 엘리베이터를, 대잠, 수송 헬기나 미래에 도입될 수도 있는 조기경보헬기 등 회전익기는 전방 엘리베이터를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F-35B의 거대한 덩치로 인해 대잠전력들을 아예 휴우가급으로 이전한 뒤 휴우가급이 같이 고속 항진하며 이즈모급을 호위하고 이즈모급은 순수하게 F-35B와 고정익 무인기만을 운용하는 방안 역시 고려되고 있다.

2021년 10월 3일, 1차 개수가 완료된 이즈모함에 대한 F-35B 운용적합성 인증 시험이 착수되었다. 이에따라 이와쿠니 주둔 주일미해병대의 F-35B가 처음으로 이즈모함에 착함한 후 이함하는 훈련을 실시했다.

2022년 3월 31일, 2번함 카가의 개장이 시작되었다. 개수 내용은 이즈모함과 동일하나 한가지 차이점이 있는데, 카가함은 1차 개장에서부터 함수 갑판의 형태를 아메리카급과 같은 직사각형으로 개장할 예정이라고 한다. 갑판 형상 개조는 이즈모보다 앞서서 진행되는 것. 그리고 이즈모급의 정밀 검사가 5년마다 진행되기에, 1번함 이즈모의 2차 개장은 2026년 예정이라고 한다. 일정대로면 카가의 2차 개장은 2027년 예정. #
파일:1669800493002.jpg

2022년 6월부터 카가의 갑판 개장이 진행되었다. 영상 비행갑판 앞부분이 잘리고 사다리꼴 함수도 모두 절단 되었으며, 직사각형 갑판의 무게를 견디기 위한 성형을 위해 하부 함수까지 모두 잘려나갔다. # 이후 11월 30일, 함수 개조 작업이 완료되었다.
파일:kaga_184-6.jpg
갑판 개장이 완료된 2번함(카가)의 모습

5.1. 길이 비교

제조 국가 / 운용국 이름 / 급 길이 진수일 구분
이탈리아 산 조르지오급 강습상륙함 133 m 1987년 강습상륙함
갑판 길이 150m 이상 함선 구분선
일본 오오스미급 수송함[14] 178 m 1998년 3월 11일 LST / 강습상륙함
이탈리아 주세페 가리발디급[15] 180.2 m 1998년 3월 11일 경항공모함
스페인 / 태국 차크리 나루에벳[16] 182.65 m 1997년 3월 27일 경항공모함
영국 인빈시블급 (HMS Illustrious)[17] 194 m 1980년 7월 11일 경항공모함
일본 휴우가급[18] 197 m 2009년 3월 18일 헬리콥터 모함
대한민국 독도급[19] 199 m 2007년 7월 3일 강습상륙함 / LHD
프랑스 미스트랄급[20] 199 m 2006년 2월 강습상륙함 / LHD
갑판 길이 200m 이상 함선 구분선
영국 오션급[21] 203.4 m 1998년 9월 30일 강습상륙함 / 헬리콥터 모함
영국 / 인도 센타우르급 항공모함 224.6 m 1953년 9월 1일 항공모함
스페인 / 호주 캔버라급[22] 230.82 m 2014년 LHD / 강습상륙함
스페인 후안 카를로스 1세급[23] 230.82 m 2009년 9월 22일 LHD / 강습상륙함
이탈리아 콘테 디 카보우르급 244 m 2008년 3월 27일 항공모함
일본 이즈모급[24] 248.0 m 2015년 3월 다용도 운용모함
갑판 길이 250m 이상 함선 구분선
미국 와스프급 강습상륙함[25] 253.2 m 1989년 강습상륙함 / LHD
미국 타라와급 강습상륙함[26] 254 m 1976년 강습상륙함 / LHA
미국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27] 257.3 m 2013년 강습상륙함 / LHA
프랑스 샤를 드 골급 261.5 m 2001년 5월 항공모함
인도 비크란트급[28] 262 m 2018년 항공모함
프랑스 / 브라질 상파울로급[29] 265 m 1961년 11월 22일 항공모함
대한민국 CVX 265 m 2033년 항공모함
영국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280 m 2016년 항공모함
프랑스 PA2 280 m 계획 취소 항공모함
러시아/ 인도 비크라마디티야함 283 m 2013년 11월 항공모함

6. 동형함 목록

파일:external/oi67.tinypic.com/6ntiq0.jpg
해상자위대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건조사 소속 상태
1 DDH-183 이즈모 (いずも)[30] 2012년 1월 27일 2013년 8월 6일 2015년 3월 25일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제1호위대군 제1호위대 현역
2 DDH-184 카가 (かが)[31] 2013년 10월 7일 2015년 8월 27일 2017년 3월 22일 제4호위대군 제4호위대 현역

7. 기타

파일:CcwRg0p.jpg

1번함 이즈모에는 말 두마리가 살고 있다. (…) 통칭 이즈모의 ' UMA'. 민간인에게 함을 공개할 때 눈요깃거리로 등장하는 모양. ( 영상).

파일:25413_2.jpg

스키점프대를 장착하고 F-35B를 운용하는 가상 모델. 침묵의 함대 작가 카와구치 카이지가 그린 만화 ' 공모 이부키'에 나오는 가상의 이즈모급 개조 항공모함인 '이부키함'의 프라모델이다. 재미있게도 이즈모급의 항공모함 개조 논란이 심화되고 있을 때 류큐 열도를 놓고 벌어진 중일 간의 현대전에서 이즈모급 개조 항공모함이 활약한다는 내용을 가진 해당 만화가 타이밍 좋게 인기를 끌어 타미야에서 프라모델도 출시되고 심지어 영화화까지 계획되자 정치권이 이즈모급의 항모화 결정을 내리는 데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닌가 하는 견해도 있다.

실제 개장 사업에선 스키점프대는 장착되지 않을 예정이다.

파일:Izumo.jpg

EMALS(전자식 사출기)를 장착하고 F-35C, E-2D, V-22, MH-60을 운용하는 CV 개조 모델. 제럴드 R. 포드급 EMALS 개발사인 미국 방산 기업 제너럴 아토믹스가 만든 것으로 이즈모급을 어디까지 개장할 수 있을지 가능성을 탐구한 것으로 보인다만, 함급의 한계상 이렇게 개장될 가능성은 제로에 가까워서 그보다는 차기 항공모함 사업 등을 염두에 둔 PR의 성격이 짙다.

2021년 10월 3일 부터 10월 7일까지 미 해병대의 F-35B 제트기는 일본 이즈모급 소형 항공모함에서 탑재 관련 비행 작전을 수행한다. #

8. 대중매체에서

파일:MW_JS_Izumo.jpg

모던 워쉽에서 3티어 항공모함으로 등장.

게임 월드 워 Z: 애프터매스 협동 캠페인 에피소드 4 챕터 3에서 언급된다. 플레이어 일행이 유람선 선미 갑판에서 좀비들을 유인할 때 지휘부가 근처에 있던 이즈모함의 항공 지원을 요청하고, 이윽고 이즈모함에서 발진한 헬리콥터가 화력 지원을 한다.

그란 투리스모 7에서 ‘이즈모급 호위함’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당연히 레이스에 참여하는건 아니고,(...) 사진 촬영모드인 ‘스케이프 모드’에서 배경으로 등장한다. 함재기나 승조원은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9. 관련 문서



[1] 갑판기준 [2] 55.56km/h [3] 20노트 순항시 [4] 동시 발착 대형 헬리콥터 수 5대 이상, 최대 28대 헬기를 함재할 수 있다. 또한 헬기 스팟이 넓게 띄엄띄엄 그려져 있어 유사시 평시보다 더 많은 수의 헬기가 동시에 뜨고 내릴 수 있다. [5] 통칭 영제국(令制國)이라고 부르는 것으로서 메이지 초창기까지 사용하던 각 지역 명칭으로서 대국 - 상국 - 중국 - 하국 순으로 위계가 나뉘어져 있다. 여담이지만 해당 명칭은 이후 일본 해군의 전함, 중순양함 등의 함명으로도 사용되기도 했다. 이들 영제국들 중에서 이후 항공모함에 부여된 명칭은 바로 카가와 시나노가 있다.그런데 이 두 함정 모두 원래는 전함이였으나 여러가지 사정으로 항공모함으로 개장되었다보니 전함의 이름을 그대로 가지고 간 사례들이다. [6]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0&num=74056 [7] 야마시로 역시 영제국들 중 하나로서 현재의 교토 남부 지역에 해당된다. 등급은 상국. [8] 자위대 관계자로부터 이번 함명은 ' 칸코레 나오는 이름이다'라는 힌트도 있었던 모양이다. (…) [9] 해당 함정의 진수로부터 일주일 뒤인 2015년 9월 2일은 중국이 일본에게 승리한 날임을 기념하는 전승절 70주년이라서 의도적으로 한 게 아니냐는 반응도 있다. [10] 실제로 호쿠리쿠 신칸센이 지나가는 이시카와현의 옛 지명이 북부 지역은 노토, 남부 지역은 가가였다. [11] 보고서에서는 MQ-8C와 RQ-21로 특정하고 있다. [12] 상식적으로 말이 안되는 걸로 보이지만 일본이 처한 상황을 인지한다면 이해할 수는 있다. 중국과의 분쟁 지역인 난세이 제도 주변에 통상이착륙기가 운용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공항이 건설될 수 있는 넉넉한 크기의 섬이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지리적인 측면에서 자위대와 중국군은 누가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 해군이 정규 항공모함을 보유한 이상 적극적으로 견제할 수가 없다. 이런 상황에서 함재기를 10기 내외라도 탑재할 수 있는 경항공모함이 난세이 제도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면 제공권 방어는 훨씬 더 수월해진다. 고립된 섬에 공항을 만들고 상시 배치도 불가능한 인력과 장비를 왕복시키는 것보다 훨씬 안전하고 저렴할 뿐더러 항공기 보호 역시 육상에 고정된 공항보다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당장 중국만 해도 항공모함 보유하기 한참 전부터 해군항공대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들의 목적은 군항 방어였다. [13] COGAG 추진 방식이기 때문에 아메리카급이나 와스프급처럼 고속항진을 하는 것을 전제로 개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14] http://en.wikipedia.org/wiki/%C5%8Csumi-class_tank_landing_ship [15] Italian aircraft carrier Giuseppe Garibaldi [16] http://en.wikipedia.org/wiki/HTMS_Chakri_Naruebet [17] HMS Illustrious [18] http://en.wikipedia.org/wiki/Dokdo_class_amphibious_assault_ship [19] http://en.wikipedia.org/wiki/Dokdo_class_amphibious_assault_ship [20] http://en.wikipedia.org/wiki/Mistral_class_amphibious_assault_ship [21] 오션급 [22] http://en.wikipedia.org/wiki/Canberra_class_Landing_Helicopter_Dock [23] 후안 카를로스 1세급 [24] http://en.wikipedia.org/wiki/Izumo-class_helicopter_destroyer [25] http://en.wikipedia.org/wiki/Wasp_class_amphibious_assault_ship [26] http://en.wikipedia.org/wiki/Tarawa-class_amphibious_assault_ship [27] http://en.wikipedia.org/wiki/America-class_amphibious_assault_ship [28] 비크란트급 정보 [29] Brazilian aircraft carrier São Paulo [30] 이즈모급 장갑순양함 1번함의 함명을 계승받았다. [31] 카가(항공모함)의 함명을 계승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