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2:42:21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지스함에 대한 내용은 이지스 시스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일본 국기.svg 현대의 일본 해상자위대 함선 파일:해상자위대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b76e79,#914852>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잠수함
(SS)
<colbgcolor=#fff,#191919> 쿠로시오R, 오야시오R, 하야시오급R, 나츠시오급R, 오오시오R,
아사시오급R, 우즈시오급R, 유우시오급R, 하루시오급R, 오야시오급, 소류급, 타이게이급
경비정
(PC)
유리급R, PT9R
구잠정
(PC)
카리급R, 카모메급R, 하야부사급R, 우미타카급R, 미즈토리급R
미사일 고속정
(PG)
1호형 미사일정R, 하야부사급
초계프리깃
(PF)
쿠스급R
다목적 프리깃
(FFM)
모가미급, { 신형 FFM}
호위구축함
(DE)
아사히급R, 아케보노R, 이카즈치급R, 와카바IJN/R, 이스즈급R, 치쿠고급R, 이시카리R, 유우바리급R, 아부쿠마급
구축함 구축함
(DD)
아사카제급R, 하루카제급R, 아야나미급R, 무라사메급R, 아리아케급R, 아키즈키급R, 야마구모급R, 타카츠키급R, 미네구모급R, 2,500톤급, 하츠유키급R, 아사기리급, 무라사메급, 타카나미급, 아키즈키급, 아사히급, { 13DDX}
방공구축함
(DDG)
아마츠카제R, 타치카제급R, 하타카제급R, 공고급, 아타고급, 마야급, {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헬기구축함
(DDH)
하루나급R, 시라네급R, 휴우가급
다용도 운용모함
(DDH)
이즈모급
상륙정 1001호형R, 2001호형R, 3001호형R, 수송정 1호형, LCAC 1호형
상륙함 오오스미급(초대)R, 아츠미급R, 유라급R, 미우라급R, 오오스미급(2대), 니혼바레급G 요코급G
기뢰전함 소해모함 나사미R, 미호R, 하야토모R, 하야세R, 우라가급
소해함 하츠시마급 R, 우와지마급R, 스가시마급, 히라시마급, 에노시마급, 야에야마급, 아와지급
소해정 야시마급R, 우지시마급R, 아타다급R, 야시로R, 카사도급R, 타카미급R, 소해정 1호형R
소해관제정 후쿠에R, 니이지마급R, 이에시마급
구조함 치하야(초대)R, 후시미R, 치하야(2대), 치요다R, 치요다(2대)
군수지원함 보급함 사가미R, 토와다급, 마슈급
급유함 하마나R
연료수송함 YOT-1급
잠수함모함 수중처분모선 1호형
다용도 지원함 81호형R, 히우치급, {다목적 초계함정}
정보수집함 해양측정함 아카시R, 후타미R, 스마R, 와카사, 니치난, 쇼난
음향측정함 히비키급
쇄빙함 시라세(초대)R, 시라세(2대), 후지R
시험함 구리하마R, 아스카, { 타이게이}
특무정 유우치도리R, 하야부사R, 히요도리R, 하시다테
훈련함 연습함
(TV)
카토리R, 야마구모급T/R, 미네구모급T/R, 야마기리급T, 카시마, 시마유키급T/R, 하타카제급T
훈련지원함
(ATS)
쿠로베, 텐류
연습잠수함
(TSS)
유우시오급T/R, 아사시오T/R, 하야시오급T/R, 오야시오급T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IJN: 일본 제국해군(Imperial Japan Navy)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윗첨자G: 육상자위대 소속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자위대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F2RSbe-a8AAoc7K.jpg
2023년도 방위백서에 게재된 임시 예상도

1. 개요2. 제원3. 사업 경위
3.1. 이지스 어쇼어3.2.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3.2.1. 계획3.2.2. 최종안
4. 특징
4.1. 운용4.2. 무장4.3. 레이더

[clearfix]

1. 개요

해상자위대의 차세대 이지스함. 현존, 혹은 계획되어 있는 이지스함들 중 가장 거대하며, 단일 방공 전투함으로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성능의 레이더를 탑재하는 함선이 될 예정이다.

본래 함재 장비였던 이지스 시스템을 지상배치로 개조한 이지스 어쇼어를 구입했는데 주민 설득에 실패해 지상배치하지 못하게 되어 수상배치하려다가, 바지선에 올린다던가 레이더는 지상에 두고 화물선에 VLS만 싣는다던가 훨씬 크지만 방공임무에만 특화된 전용함을 만든다거나 하는 방안을 고려한 끝에 다용도성 등을 감안해 그냥 대형 이지스함을 건조하기로 한 결과다.

초기 계획상 줌왈트급 구축함보다도 더 큰 서방권 최대의 전투함이 될 전망이었으나 2023년에 하향조정되어서 줌왈트급 보다는 작게 바뀌었다.

2. 제원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イージスシステム搭載艦
Aegis System Equipped Vessel
건조 업체 1번함 미쓰비시 중공업
2번함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건조 기간 2025년 ~ 2028년
취역 기간 2028년 ~ 2029년
건조 예정 2척
건조 척수 0척
척당 가격 약 3950억엔[1]
전장 약 190m
전폭 약 25m
전고 ?
기준 배수량 12,000톤
만재 배수량 ?
동력 방식 ?
기관 롤스로이스 MT30 가스터빈 엔진 x 2
?
최대속력 30노트 이상
승조원 240명
전투정보시스템 Baseline J7.B 이지스 전투 체계
(베이스라인 9 + 10)[2]
대잠 ?
전자전 AN/SLQ-32(V)6 SEWIP Block 2
레이더 AN/SPY-7(V)1
통신/데이터링크 CEC, 링크 16
무장 함포 Mk.45 Mod.4 62 구경장 함포 × 1문
30mm 원격조종기관포 × ?
CIWS Phalanx Block 1B × 2, 고출력 레이저 무기 (2032년 이후)
VLS Mk.41 VLS × 128셀
함대공 미사일 SM-6
탄도탄 요격 미사일 SM-3 Block 2A
극초음속 요격 미사일 Glide Phase Interceptor
대함/대지 미사일 토마호크
12식 지대함 유도탄 능력향상형
대잠 미사일 07식 ASROC 대잠 미사일
탑재 항공기 ?

3. 사업 경위

3.1. 이지스 어쇼어

파일:DtEENtPVAAEKctf.jpg

2017년, 중국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 나날이 고조되자 아베 신조 정권은 소수의 인력으로 365일 24시간 운용 가능하며 해상자위대 이지스 호위함들의 BMD 임무 부담을 경감해 줄 수 있는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육상자위대에 도입하기로 하고 미국으로부터 THAAD와 함께, 미 해군의 대형 전투함에 탑재되고 있는 SPY 레이더 및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육상 배치로 전환한 이지스 어쇼어를 제안 받은 후, 최종적으로 일본의 환경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이지스 어쇼어를 선정해 2개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이지스 어쇼어는 단 12명으로 운용이 가능하고, THAAD보다 더 넓은 범위를 방어할 수 있어 일본 전토를 방어하는데 6개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 THAAD와는 달리 2개 시스템만으로 커버가 가능했으며, 유사시 이지스 시스템에 통합된 여러 무장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데다 무엇보다 이미 해상자위대가 운용하고 있는 만큼 존재하고 있는 기반과 노하우를 활용하기 쉬웠기에 합리적인 선택이었다. #

파일:thediplomat-screen-shot-2018-07-30-at-8.54.27-am.jpg

탑재 레이더로는 당시 폴란드 루마니아에 건설 중이던 이지스 어쇼어와는 달리 구식인 AN-SPY-1D(V)가 아닌 최신예 레이더를 탑재하기로 하고, 미 해군의 신형 이지스 레이더인 레이시온 AN/SPY-6(V)1 AMDR 록히드 마틴의 첨단 솔리드 스테이트 레이더(LMSSR)를 경합시켜 가격, 성능, 운용성에서 우위로 평가받은 LMSSR(이후 SPY-7으로 명명)을 선정했다.

운용 무장으로는 미국과 일본이 공동개발한 BMD 미사일인 SM-3 Block IIA를 주력으로, SM-6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까지 고려됐었다. #

배치 지역은 북부의 아키타 현과 남부의 야마구치 현 2개소가 선정되었으나, 군사기지가 들어서는 것이 껄끄러었던 현민들이 설치 반대 캠페인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방위성은 2년 동안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방위성에서 보낸 직원이 주민대표와의 설명회에서 졸거나, 레이더파가 도시에는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보고서를 작성할 때 고도 측지를 실측값이 아닌 구글어스(...)로 축적해 큰 오류를 내는 등의 무성의한 일들이 벌어졌고 그 결과 대부분의 현민들을 반대파로 돌려버렸다. #

게다가 자위대나 군사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고정 시설인 이지스 어쇼어는 대량의 미사일 포화 공격이나 특작부대의 기습에 취약하며, 당시 존재하고 있던 러시아와의 INF 조약으로 인해 VLS를 최대 24셀 밖에 운용할 수밖에 없어 비용 대비 효과도 의문이라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

결국 2020년, 당시 방위상이었던 고노 다로는 이지스 어쇼어 계획을 전격 파기해버렸다. 표면적인 취소 명분은 분리된 SM-3의 부스터가 민가에 추락할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

3.2.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3.2.1. 계획

그러나 이미 SPY-7 레이더와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구입해버렸기 때문에 이것마저 취소하려면 미국 측에 상당한 위약금을 지불해야 했고, 이에 아베 정부는 바다로 옮겨 해상자위대에 배치하는 방향으로 전환시켜버렸다.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은 이처럼 전 사업의 난항에 따라 급조되어 탄생한 사업이었지만, 이후에도 난항은 오히려 더욱 심해졌다.

본래 이지스 어쇼어 사업으로 획득하려 했었던 적은 인력에 의한 365/24 지속적인 미사일 방어 능력은 해상 운용으로 변경되면서 물건너 갔고, 선박 건조 비용, 선박용 추가 설비, 늘어난 인력과 그에 따른 인건비에 의해 사업 비용은 당연하게도 더욱 폭등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미 미국에서 이지스 어쇼어 운용 훈련을 받은 육상자위대 인원들은 졸지에 해상자위대의 선박으로 파견 근무를 가거나 아예 이적해야 하는 혼란스런 처지가 되었고, 해상자위대는 안 그래도 인력난에 시달리는 마당에 아무런 대비 없이 2척의 신조 이지스함을 떠안게 되면서 500명에 달하는 추가 인력을 양성해야 하는 상황에 몰렸다. # ##

선정된 SPY-7 레이더 역시 미 해군이 사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미래 상호운용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으나, 록히드 마틴은 이러한 주장을 불식했다. # 그러나 SPY-7 레이더와 이지스 BMD 전투 시스템을 합치는 것은 일본이 유일한 것이 사실이라 통합과 성능확인에 필요한 테스트 시설을 설치하는데 드는 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게 되었고, 심지어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사업으로 전환하면서 이를 다시 해상용으로 개수하는데 추가 비용까지 들게 되었다. #[3]

파일:o11230794148098466811.jpg

한편, 일본 국회 방위성도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을 어떤 식으로 만들어야 하는지 기나긴 논쟁을 시작했다. 크게 둥둥 떠다니는 인공섬인 해상 플로팅 도크나 해양 플랜트 및 유전같은 고정식 구조물에 설치하는 방안, 화물선이나 수송함 같은 대형 선박에 탑재하는 방안, VLS를 해상에 설치하고 레이더만 지상에 설치한 후 위성 데이터 링크로 연결해 운용하는 방안, 그냥 이지스 구축함을 만드는 방안[4] 등 여러가지 안이 제시되었다.

미 해군이 쓰지 않는 SPY-7의 구입을 아예 취소하고 SPY-6로 전환해 알레이버크급 플라이트 III 상당의 이지스 구축함을 건조하는 방안도 제안되기도 했으나 SPY-6 대비 SPY-7의 성능과 저렴한 가격을 옹호하는 방위성과 해상자위대의 반대로 무산되기도 했다. # SPY-7을 기존 이지스함에 탑재하는 방안은 애초에 일본이 구입한 사양인 SPY-7(V)1의 크기[5]로 인해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

추가 논의 끝에 화물선안은 은밀성과 개함방어능력이 낮다는 이유로, 해상 구조물이나 플로팅 도크안은 어뢰나 미사일 공격에 취약하다는 이유로, VLS만 해상에 설치하는 방안은 정확성과 즉응성에 취약하고 위성 데이터 링크가 전자전에 교란될 수 있다는 이유로 취소되었다. 이지스 어쇼어보다는 못해도 안정적인 장기 해상 운용을 위해 쌍동선이나 삼동선 등 다동선에 탑재하는 방안이 떠오르기도 했으나 이지스함을 다동선으로 만든 전례가 없고 비용도 그냥 구축함을 만드는 것보다 훨씬 들 것이라는 계산에 따라 역시 취소되었다. #

이후 2023년 개산요구 시점에서 전장 210m, 전폭 40m, 기준 배수량 2만 2천톤급으로서 이즈모급 다용도 운용모함을 능가하는 해상자위대 최대 체급이며, 현재 계획되고 있는 미 해군의 차세대 수상 전투함 DDG(X)의 체급 역시 능가하는 세계최대 규모의 대형 이지스함으로 기획되고 있다는 뉴스가 나왔다. #

그러나 승조원은 110명[6]에 불과하며, 대잠능력을 제한해 소나 디코이는 설치하되 어뢰는 탑재하지 않고, 속력은 19노트급으로 개함 행동이 아닌 함대 수반만을 상정했기 때문에 # 구축함이나 순양함의 계보를 잇는 일반적인 전투함이 아닌, 수송함과 같은 대형함에 이지스 시스템과 VLS를 대량 탑재하고 안전한 해역에서 장기간 무기항 작전만을 염두에 둔 방공 겸 화력 지원함으로 설계될 것으로 추측되었다. 즉, 미국이 구상했었던 69개 모듈의 대형 SPY-6 레이더와 280여셀의 VLS를 탑재한 샌 안토니오급 LPD 개조 BMD 전용함과 비슷한 개념의 함선인 것이다.

3.2.2. 최종안

파일:1693977582.jpg
파일:60212342ly1hhlgtir98yj20mo0moq5r.jpg
중국 해군 055형 구축함과의 크기 비교 상상도

하지만 해자대는 내부논의를 거쳐 해당 계획의 함선은 너무 거대한데다 느린 속도로 인해 타 함선과의 상호운용성도 떨어져 실전 운용이 어려울 것으로 결론을 내린 후 1만톤급으로 하향하고 전투함으로서의 모든 기능을 넣는 방향으로 조정했다고 한다. #

한 때 2023년도 방위예산안에서 공개된 CG 자민당 국방위의원연맹 사무총장 사토 마사히사 VLS를 무려 200셀 이상 탑재한 슈퍼 이지스함이라고 소개한 트윗글을 토대로 기준 배수량 1만톤급 후반대의 순양함급 거함이 될 것으로 보였으나 2023년 중순경에 수정된 계획에서는 VLS 수량이 세종대왕급과 동일한 128셀로 줄었다. 이후 새롭게 공개된 형상에서는 기준 배수량은 1만 2천톤급으로 하향조정되고 상부의 크기가 종래 공개된 형상보다 소형화 되어 스페인의 이지스함인 알바로 데 바잔급이나 보니파스급과 유사한 형상을 지니고 5인치 함포도 탑재된 일반적인 이지스 구축함의 모습으로 전환되었다. 단, 함형 자체는 스페인의 것과 유사하지만 체급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하다.

승무원 수는 BMD 전용함 당시 계획인 110명에서 130명이 추가로 늘었으나 300여명이 타는 다른 나라의 이지스함보다는 여전히 적은 수로, 모든 인원에 개인실을 부여한다는 계획은 유지되었다. #

4. 특징

4.1. 운용

파일:JMSDF_Aegis_destroyers_BMD_and_Non-BMD_operations,_23_December_2022.png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은 평시에는 일반 이지스 호위함을 대신해 탄도미사일 감시 임무를 담당하고 유사시엔 기존 이지스 호위함 및 전투기, 지대함 미사일 포대 등의 주요 전력이 오키나와로 집중됐을 때 동해에서 이들의 공백을 메우고 본토를 방어하는 역할을 주로 맡게 된다.

승무원 수는 110명을 상정했던 2만톤급 BMD 전용함 계획 때와는 달리 240명으로 증가했으나 300~400명의 승무원이 탑승하는 기존 이지스함 때보다는 크게 줄었다. 또한, 모가미급 FFM처럼 작전 중 헬기나 보트를 이용해 인원과 물자를 정기 교대, 보급하는 방식으로 무기항 장기 운용을 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4.2. 무장

SM-3, SM-6는 물론 미국과 공동개발하는 극초음속 활공탄(HGV) 요격용 GPI 함대공 미사일 뿐만 아니라 반격 능력을 염두에 둔 설계를 적용하고 1,000km 이상의 사정거리를 갖춘 자국산 장거리 순항미사일인 12식 지대함 미사일 능력향상형도 운용하는 공수 겸비형 전투함으로 계획되고 있다. #

12식 지대함 미사일의 능력 향상형이 전력화되기 전의 공백기를 대비해, 미국제 토마호크 미사일을 도입, 탑재할 예정이다.

4.3. 레이더

해상 탑재 탄도 미사일 방어(BMD) 임무를 수행하는 수상함으로는 SPY-7 레이더를 운용하는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7]

2022년 알래스카에서 운용이 시작된 록히드 마틴의 초장거리 탄도탄 탐지 레이더 LRDR(장거리 식별 레이더)의 축소 파생형인 SPY-7(V)1의 탐지거리는 AN/SPY-1D(V)의 최소 3배 이상[8]으로 평가되고 있고, 심지어 미 해군이 채택한 AN/SPY-6(V)1 AMDR의 성능도 큰 폭으로 능가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 특히 전력 소모율이 보다 낮고, 레이더의 디자인 역시 연속 가동에 최적화된데다가 정비 중에도 지속 가동 가능한 이점 때문에 미사일 방어와 같은 장기 임무에 적합하며, SPY-6와는 달리 정밀한 디지털 빔 다중편파 제어 기능으로 실제 탄두와 가짜 탄두를 매우 정확하게 식별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고 한다.[9] 자세한 내용은 이지스 시스템 문서 SPY-7(V) 항목 참조.

파일:Conceptual_image_of_Operation_of_JMSDF_ballistic_missile_defense_ship,_23_December_2022.png

이러한 막강한 성능 덕분에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은 최근 북한의 ICBM이 시연하고 있는 고도 수 천km대까지 뻗는 고각(lofted trajectory) 사격을 즉시 탐지하고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록히드 마틴은 일본용 SPY-7과 전투시스템의 성능 테스트를 하면서 위성 추적 및 가상 요격 능력을 입증했다고 홍보하기도 해 초고고도 우주 공간 목표물에 대한 교전 기능 역시 기본으로 갖출 것으로 보이며[10], 탄도 미사일 뿐만 아니라 극초음속 미사일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그 능력을 확장할 계획이다. #

[1] 초도비용 포함 [2] Aegis Baseline J7.B adds the advanced solid-state SPY-7 radar to the mature J7 baseline, and will utilize the latest capabilities and functionality of both Aegis Baseline 9 and Aegis Baseline 10 available in the Aegis Common Source Library. [3] 여담으로 이전에도 호주 헌터급에 이지스 전투체계와 CEAFAR를 통합하기 위해 사브에 관련 시스템 개발을 의뢰하여 엄청난 예산을 투입해 통합했던 적이 있다. [4] 이 안의 경우 마야급의 폭을 확대해 기준 배수량 9,000톤급으로 대형화시킨 함형을 상정하기도 했다. [5] 한 변이 5m로 3.7m인 SPY-1D(V)이나 4m인 SPY-6(V)1에 비해 매우 크다. [6] 전원 개인실 배정 [7] SPY-7 레이더를 탑재하는 함선은 캐나다의 리버급 구축함과 스페인의 보니파스급 호위함이 있다. 하지만 두 함선 모두 보다 작은 버전의 레이더를 탑재하며, 전투 시스템도 BMD를 고려하지 않았다. [8] P.10 Fitted with Lockheed Martin Corp SPY-7 radars that will have at least three times the range of older Aegis systems deployed on Japanese navy destroyers, the upgrade will allow Japan to use new interceptor missiles to target warheads in space fired by North Korea or other potential foes, including China and Russia. [9] The radar also features enhanced discrimination between ICBMs and decoys, thereby helping to preserve the precious stockpile of interceptors of the missile defense systems. [10] 同じく2018年、SPY-7レーダーを使って衛星を追尾し、その情報を火器管制システム*に伝えるテストに成功しまし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