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f73, #002da6 20%, #002da6 80%, #001f73);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사보이아 왕조 | |||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 |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 카를로 펠리체 | 카를로 알베르토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 |
사보이아 백국 · 사보이아 공국 · 사르데냐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 |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관련 틀
|
|||||||||||||||||||||||||||||||||||
|
<colbgcolor=#002da6><colcolor=#fff> | |||
|
|||
출생 | 1701년 4월 27일 | ||
사보이아 공국 토리노 | |||
사망 | 1773년 2월 20일 (향년 71세) | ||
사르데냐 왕국 토리노 | |||
재위기간 | 사르데냐 국왕 겸 사보이아 공작 | ||
1730년 9월 3일 ~ 1773년 2월 20일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2da6><colcolor=#fff> 부모 |
아버지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어머니 안 마리 도를레앙 |
|
배우자 | 팔츠줄츠바흐의 안나 크리스티네 (1722년 결혼 / 1723년 사망) | ||
헤센로텐부르크의 폴리세나 (1724년 결혼 / 1735년 사망) | |||
로렌의 엘리자베트 테레즈 (1737년 결혼 / 1741년 사망) | |||
자녀 | 비토리오 아메데오,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엘레오노라 마리아, 마리아 루이사, 마리아 펠리시타,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카를로, 마리아 비토리아, 베네데토 | ||
형제자매 | 마리아 아델라이데[1], 마리아 루이사[2], 비토리오 아메데오 | ||
가문 | 사보이아 가문 | ||
종교 | 로마 가톨릭 | }}}}}}}}} |
[clearfix]
1. 개요
사르데냐 왕국의 2번째 왕.2. 상세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와 오를레앙의 안 마리[3]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원래는 형 비토리오 아메데오(Vittorio Amedeo di Savoia 1699~1715)가 피에몬테 공[4]이어서 아오스타 공작으로 봉해졌으나 형이 1715년 천연두로 사망하면서 후계자가 되었다.말년에 우울증에 빠진 아버지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는 1730년 양위했으나 퇴위 이후에도 샹베리에서 거처하면서 아들에게 간섭하였고, 급기야 몬칼리에리 성으로 이주하여 복위를 추진하였다. 그러나 귀족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아버지를 토리노 근교 리볼리 성에 감금하고 왕권을 확립하였다.
1733년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하자 프랑스 국왕 루이 15세의 장인 스타니스와프 1세 레슈친스키를 지원했다. 이 전쟁에서 만토바를 노렸으나 뜻대로 되지는 않았고, 대신 토르토나(Tortona), 노바라 등을 얻었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서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상속녀 마리아 테레지아를 지원하여 영국과 네덜란드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아 전쟁을 수행했다. 초반에는 니차를 잃는 등 고전했으나 1746년 오스트리아의 지원을 받아 알레산드리아, 아스티를 모두 탈환했고 1747년 아시에타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이듬해 체결된 엑스라샤펠 조약에서 협상가로서의 자질을 드러내어 니차와 사보이아를 모두 되찾았고 포 계곡의 다른 영토들을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1750년 후계자 비토리오 아메데오를 스페인 공주 마리아 안토니아와 결혼시키면서 스페인과의 관계를 회복하였다. 이후 7년 전쟁에는 참전하지 않고 내치에 힘썼다. 특히 사르데냐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고자 사사리 대학교와 칼리아리 대학교를 복원하였다.
1773년 토리노에서 사망했으며 수페르가 성당에 안장되었다.
3. 가족관계
3.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Charles Emmauel III) |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Victor Amedeus II) |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 (Charles Emmauel II) |
|
비토리오 아메데오 1세 (Victor Amedeus I) |
|||
프랑스의 크리스틴 (Christina of France) |
|||
사부아느무르의 마리 잔 (Marie Joan of Savoy-Nemours) |
|||
느무르 공작 샤를 아메데 (Charles Amedeus, Duke of Nemours) |
|||
엘리자베트 드 부르봉 (Elizabeth de Bourbon) |
|||
안 마리 도를레앙 (Anne Marie of Orleans) |
|||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 (Phillip I, Duke of Orleans) |
|||
루이 13세 (Louis XIII) |
|||
오스트리아의 아나 (Anne of Austria) |
|||
잉글랜드의 헨리에타 (Henrietta of England) |
|||
찰스 1세 (Charles I) |
|||
프랑스의 앙리에트 마리 (Henrietta Maria of France) |
3.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팔츠줄츠바흐의 안나 크리스티네 여백작[5] (Countess Palatine Anne Christine of Sulzbach) |
||||
1남 |
아오스타 공작 비토리오 아메데오 테오도르 왕자 (Prince Vittorio Amedeo Teodoro, Duke of Aosta) |
1723년 3월 7일 | 1725년 8월 11일 | |
헤센로텐베르크의 폴리세나 공녀[6] (Princess Polyxena of Hesse-Rotenburg) |
||||
2남 |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Vittorio Amedeo III) |
1726년 6월 26일 | 1796년 10월 16일 |
스페인의 마리아 안토니아 페르디난다[7] 슬하 5남 5녀[8] |
1녀 |
엘레오노라 마리아 테레사 공주 (Princess Eleonora Maria Teresa) |
1728년 2월 28일 | 1781년 8월 14일 | |
2녀 |
마리아 루이사 가브리엘라 공주 (Princess Maria Luisa Gabriella) |
1729년 3월 25일 | 1767년 6월 22일 | |
3녀 |
마리아 펠리치타 공주 (Princess Maria Felicita) |
1730년 3월 19일 | 1801년 5월 13일 | |
3남 |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왕자 (Prince Emanuele Filiberto, Duke of Aosta) |
1731년 5월 17일 | 1735년 4월 23일 | |
4남 |
키아블레세 공작 카를로 프란체스코 왕자 (Prince Carlo Francesco, Duke of Chablais) |
1733년 7월 23일 | 1733년 12월 28일 | |
로렌의 엘리자베트 테레즈 공녀[9] (Princess Elisabeth Thérèse of Lorraine) |
||||
5남 |
아오스타 공작 카를로 프란체스코 왕자 (Prince Carlo Francesco of Savoy, Duke of Aosta) |
1738년 12월 1일 | 1745년 3월 28일 | |
4녀 |
마리아 비토리아 마르게리타 공주 (Princess Maria Vittoria Margherita) |
1740년 6월 22일 | 1742년 7월 14일 | |
6남 |
키아블레세 공작 베네데토 왕자 (Prince Benedetto, Duke of Chablais) |
1741년 6월 21일 | 1808년 1월 4일 | 사보이아의 마리아 안나[10] |
[1]
프티 도팽 루이의 부인으로
프랑스 국왕
루이 15세의 어머니.
[2]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의 첫번째 부인으로
루이스 1세와
페르난도 6세의 어머니.
[3]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와
영국의 헨리에타 앤의 둘째 딸로 루이 14세의 조카딸이다
[4]
사보이아 가문의 후계자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사보이아 공국 시절부터 사용되어
사르데냐 왕국,
이탈리아 왕국으로 계속 이어졌다.
영국의
프린스 오브 웨일스와 유사한 성격의 칭호였다.
[5]
1704년
2월 5일 ~
1723년
3월 12일
[6]
1706년
9월 21일 ~
1735년
1월 13일
[7]
펠리페 5세의 막내딸.
[8]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
프로방스 백작부인 마리 조제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카를로 펠리체 등
[9]
1711년
10월 15일 ~
1741년
7월 3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란츠 1세의 여동생. 남편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와는 이종사촌 지간(이모 로렌 공작부인 엘리자베트 샤를로트의 딸)이다.
[10]
이복형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의 딸로 조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