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01:20:04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a0000, #cd0000 20%, #cd0000 80%, #9a000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보이아 왕조
아메데오 8세 루도비코 아메데오 9세 필리베르토 1세 카를로 1세
카를로 조반니 아메데오 필리포 2세 필리베르토 2세 카를로 2세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 비토리오 아메데오 1세 프란체스코 자친토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카를로 펠리체
카를로 알베르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사보이아 백국 · 사보이아 공국 · 사르데냐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1818, #a01e1e 20%, #a01e1e 80%, #801818);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나사우의 엥겔베르트 2세 윌리엄 드크루아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rowcolor=#fff> 스페인령 네덜란드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사보이아의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파르마의 마르가레테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톨레도 루이스 데레케센스 이 수니가
<rowcolor=#fff>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돈 후안 데아우스트리아 파르마-피아첸차의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페테르 에른스트 1세 폰만스펠트포어데로르트 오스트리아의 에른스트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페드로 엔리케스 데아세베도 오스트리아의 알브레히트 7세[A]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A] 페르난도 데 아우스트리아
<rowcolor=#fff>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프란시스코 데멜로 마누엘 드모라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빌헬름 돈 후안 호세 데 아우스트리아
<rowcolor=#fff>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루이스 데베나비데스 카리요 프란시스쿠 드모라 이니고 멜코르 데벨라스코 후안 도밍고 데수니가 이 폰세카
<rowcolor=#fff>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카를로스 데아라곤 데구레아 파르마의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오토네 엔리코 델카레토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데아구르토
<rowcolor=#fff> 제29대 제30대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2세 이시도로 데라쿠에바 이 베나비데스
<rowcolor=#fff>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rowcolor=#fff>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사보이아의 외젠 비리히 필리프 폰다운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엘리자베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하라흐로라우
<rowcolor=#fff> 제35대 제36대 제37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마리아 크리스티나 카를 루트비히
카를 알렉산더 알베르트 카지미어
[A]: 1598년 5월 6일에서 1621년 7월 13일까지 일시적으로 총독이 아니라 주권자였다.
}}}}}}}}}
<colbgcolor=#CD0000><colcolor=#FFF> 사보이아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Emanuele Filiberto, Duca di Savoia
파일:Ritratto_di_Emanuele_Filiberto_di_Savoia.jpg
이름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
(Emanuele Filiberto di Savoia)
출생 1528년 7월 8일
사보이아 공국 샹베리
사망 1580년 8월 30일 (향년 52세)
사보이아 공국 토리노
재위 사보이아 공국의 공작
1553년 8월 7일 ~ 1580년 8월 30일
배우자 프랑스의 마르그리트 (1559년 결혼/1574년 사망)
자녀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
아버지 카를로 2세
어머니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즈
서명 파일: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서명.svg

1. 개요2. 생애3. 기타

[clearfix]

1. 개요

사보이아 공국의 미래에 큰 영향을 끼친 여러 정책들을 시행하여 먼 훗날 사보이아 가문 이탈리아를 통일하는 기틀을 다졌다.

2. 생애

사보이아 공국의 수도 샹베리에서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2세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즈의 3남으로 태어났으나, 성인으로 성장한 유일한 자녀였다. 그가 8살에 불과했을 때 프랑스 왕국 프랑수아 1세 밀라노 공국을 영구히 합병할 전초기지 격으로 사보이아 공국을 공격해 점령했고, 공국 대부분이 프랑스의 간접통치를 받는 상황에 놓였다.

어머니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처제[1]였던 인연으로 카를 5세의 군대에서 복무하면서 프랑스에게 빼앗긴 공국을 되찾고자 했다. 1553년 8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사보이아 공작이 되었지만 다스릴 영토가 없었기에 그의 작위는 유명무실한 상황이었다. 이를 타개하고자 1555년부터 외사촌인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 밑에서 스페인령 네덜란드 총독으로 복무하였다.

8차 이탈리아 전쟁 중인 1557년 8월 10일, 스페인군을 이끌고 생캉탱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이 승전의 결과로 1559년 카토캉브레지 조약이 체결되어 프랑스로부터 사보이아 공국을 되찾았다. 원래는 잉글랜드 왕국의 여왕 엘리자베스 1세의 남편으로도 고려되었으나 종교 문제로 협상이 결렬되었고 정치적인 목적으로 프랑스 국왕 앙리 2세의 누이 마르그리트 공주(Marguerite de Valois 1523~1574)[2]와 결혼하였다. 그런데 결혼을 축하하는 마상창시합에서 스코틀랜드 왕국 근위군 대장이었던 콩테 드 가브리엘 몽고메리[3] 랜스 파편이 앙리 2세의 눈 위를 찌르는 바람에 치명상을 입었고, 앙리 2세가 자신의 사후 사보이아 공국이 조약을 파기할 것을 우려해 결혼식을 재촉하는 바람에, 둘은 앙리 2세의 사망 전날 눈물 속에서 결혼식을 치렀다. 부부의 자녀는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가 유일했다.

이후 프랑스 점령으로 망가진 사보이아 공국을 복구하는 것으로 치세 대부분을 보냈다. 1561년 공국의 공용어 라틴어에서 이탈리아어로 바꾸었고[4], 1563년에는 프랑스 침공에 노출된 샹베리에서 알프스산맥 뒤편에 있는 토리노 천도하여 프랑스의 위협을 최소화하고자 했다. 이러한 조치들로 이제까지 프랑스와 이탈리아 사이에서 애매한 정체성을 가졌던 사보이아 가문은 본격적으로 이탈리아화하여 이탈리아 역사에 전면으로 등장했다. 이외에도 플랑드르에서의 군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군대를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를 배워와 피에몬테 출신의 군사조직을 조직하여 공국의 방위를 용병이 아닌 상비군에게 맡겨 국방을 튼튼히 다졌으며, 오랜 전란으로 제기능을 못한 토리노 대학교를 복원하고 각 지역에서 열리던 신분제 의회를 토리노에서 열리도록 통합하여 중세 봉건 국가에 가까웠던 사보이아 공국의 중앙집권화를 위해 힘썼다.

말년에는 텐다(Tenda)[5], 오넬리아(Oneglia) 등을 병합하였으나 숙원이었던 살루초 후국 병합까지는 성공하지는 못했다. 1580년 간경화로 사망했으며 토리노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3. 기타

샹베리에서 토리노로 천도한 이후인 1578년, 사보이아 가문이 대대로 샹베리 성 예배당에 보관하던 수의를 토리노 대성당으로 옮겼다.[6] 그리고 이 수의는 후대에 토리노의 수의(Sindone di Torino)로 알려진다.

[1]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의 어머니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즈는 카를 5세의 황후인 포르투갈의 이자벨과 친자매 관계였다. 둘 다 포르투갈 국왕 마누엘 1세의 딸. [2] 여담으로 마르그리트의 할머니 사보이아의 루이사는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의 할아버지 필리포 2세의 장녀였다. 5촌 간의 근친혼이었던 셈이다. [3] 사족으로, 이 사람이 제2차 세계 대전 영국의 명장인 버나드 로 몽고메리의 조상이다. [4] 더 정확히는 알프스산맥 서쪽 발레다오스타에서는 프랑스어를, 알프스 산맥 동쪽 니차에서는 이탈리아어를 공용어로 지정하였으나 후술할 토리노 천도와 맞물려 이탈리아어가 자연스럽게 프랑스어를 누르고 궁정 언어로 자리잡았다. [5] 현재 프랑스 탕드(Tende). 1947년 파리 조약으로 프랑스령이 되었다. [6] 평소 카를로 보로메오를 존경했던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는 보로메오 추기경이 수의를 보기 위해 밀라노에서 샹베리까지 행차한다는 소식을 듣고 편의를 제공할 겸 수의를 편하게 관리하기 위해 샹베리에서 토리노로 수의를 옮겼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