堂 집 당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土,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ドウ, トウ
|
||||||
일본어 훈독
|
たかどの
|
||||||
-
|
|||||||
표준 중국어
|
tá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堂은 '집 당'이라는 한자로, ' 집'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집 |
음 | 당 | |
중국어 | 표준어 | táng |
광동어 | tong4 | |
객가어 | thòng | |
민동어 | dòng | |
민남어 | tông[文] / tn̂g[白] | |
오어 | daan (T3) | |
일본어 | 음독 | ドウ, トウ |
훈독 | たかどの | |
베트남어 | đường |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소리를 나타내는 尚(오히려 상)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강당( 講堂)
- 객당( 客堂)
- 경로당( 敬 老堂)
- 교당( 敎堂)
- 국사당( 國 師堂)
- 납골당( 納 骨堂)
- 내당( 內堂)
- 당당(堂堂)
- 당상관(堂 上 官)
- 당숙(堂 叔)
- 당직(堂 直)
- 당호(堂 號)
- 도당( 都堂)
- 만권당( 萬 卷堂)
- 명당( 明堂)
- 묘당( 廟堂)
- 무당( 巫堂)
- 법당( 法堂)
- 별당( 別堂)
- 본당( 本堂)
- 불당( 佛堂)
- 사당( 祠堂)
- 서당( 書堂)
- 성당( 聖堂)
- 식당( 食堂)
- 예배당( 禮 拜堂)
- 옥당( 玉堂)
- 의사당( 議 事堂)
- 자당( 慈堂)
- 전당( 殿堂)
- 정당( 政堂)
- 천당( 天堂)
- 학당( 學堂)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고이도 유이( 五 位堂 結)
- 나루호도 류노스케( 成 歩堂 龍ノ 介)
- 나루호도 류이치( 成 歩堂 龍 一)
- 나루호도 미누키( 成 歩堂 みぬき)
- 니카이도 미사토( 二 階堂 三 郷)
- 니카이도 베니마루( 二 階堂 紅 丸)
- 니카이도 쇼헤이( 二 階堂 将 平)
- 도안 리츠(堂 安 律)
- 도지마(堂 島)
- 린위탕( 林 語堂)
- 미도 마사타케( 御堂 将 剛)
- 시시도우 이즈미( 獅 子堂 イズミ)
- 신도 린타로( 新堂 倫 太 郎)
- 신도 요우( 真堂 揺)
- 완시통( 萬 知堂)
- 토도 코하쿠( 東堂 コハク)
3.4. 지명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당동( 元堂 洞)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元堂 洞)
- 경기도 군포시 당정동(堂 井 洞)
- 경기도 하남시 당정동(堂 亭 洞)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舍堂 洞)
-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 杏堂 洞)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堂 山 洞)
-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新堂 洞)
-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동( 元堂 洞)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원당동( 院堂 洞)
-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동( 元堂 洞)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청당동( 淸堂 洞)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佛堂 洞)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신당동( 新堂 洞)
- 국회의사당역( 國 會 議 事堂 驛)
- 당산역(堂 山 驛)
- 당정역(堂 井 驛)
- 사당역( 舍堂 驛)
- 신당역( 新堂 驛)
- 원당역( 元堂 驛)
- 행당역( 杏堂 驛)
3.5. 창작물
3.6. 기타
3.7. 일본어
3.7.1. 음독
예) 식당: 食堂(しょくどう)4. 유의자
유난히 집을 뜻하는 한자가 많은데, 나름대로 쓰임새가 다르다.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當(마땅 당)
- 黨(무리 당)
- 棠(아가위 당)
- 瓽/ 𦈹[⿱尚缶](큰동이 당)
- 常(떳떳할 상)
- 嘗/ 甞/ 𨡔[⿱尚酉]/ 𡮢[⿳尚亠日](맛볼 상)
- 賞(상줄 상)
- 裳(치마 상)
- 𧨲[⿱尚言](큰부리까마귀가울 오)
- 掌(손바닥 장)
- 㗬(두터운입술모양 차)
- 𡭿[⿱尚之](달릴 창)
- 𡝣[⿱尚女](아내 처)[3]
- 牚(버틸 탱)
- 𣥺[⿱尚止](버틸 탱, 바를 상)
- 𬻬[⿱尚⿻丄口]
- 𠤠[⿱尚匕]
- 𫵁[⿱尚上]
- 𭓋[⿱尚子]
- 𫵅[⿱尚𧘇]
- 𡖹[⿱尚⿰夕夕]
- 𫵌[⿱尚垂]
- 𣋈[⿱尚䒤]
- 𭟚[⿱尚⿻丄⿱⿴囗丷一心]
- 𬓂[⿱尚示]
- 𬔢[⿱尚立]
- 𰢃[⿱尚玉]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漟(골 당)
- 蹚(넘어질 당/탕, 며느리발톱 쟁)
- 㑽(당돌할 당)[4]
- 𤛋[⿰牛堂](들소 당)
- 䣘/ 𨝦[⿰堂邑](땅이름 당)
- 瞠/ 憆(똑바로볼 당)
- 膛(뚱뚱할 당)
- 螳(버마재비 당)
- 𨎋[⿰車堂](병거 당)
- 摚(부딪칠 당/정)
- 鞺(북소리 당)
- 糛(사탕 당)
- 闛(성한모양 당, 하늘문 창)
- 饄(엿 당)[5]
- 鏜/ 鼞(종고소리 당)
- 隚(주춧돌 당)
- 㙶(집 당)[6]
- 嘡(탕소리날 당)
- 樘(기둥 탱)
- 𨎖[⿱堂車](창)
- 𡠠
- 𭏠[⿰土堂]
- 𰎳[⿰山堂]
- 𱛁[⿺尾堂]
- 𤎌
- 𰕒[⿰堂攴]
- 𬝾[⿱艹堂]
- 𪺃[⿰炮堂]
- 𤨠[⿰⺩堂]
- 𰧙[⿰石堂]
- 𰴇[⿰衤堂]
- 𱺃[⿰糸堂]
- 𮮫[⿱皷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