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 ||||||||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진 · 네그리 ·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이글턴 · 지젝 · 피셔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 프레게 · 힐베르트 · 브라우어 · 괴델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오그던 · 콰인 · 타르스키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퍼트넘 · 설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쿤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위너 · 엘륄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이니스 · 매클루언 · 옹 · 플루서 · 비릴리오 | ||||||||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롤스 · 슈클라 · 센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옹프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 ||||||||
공화주의 |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
보수주의 |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 ||||||||
윤리학 | 규범윤리학: 앤스콤 · 풋 ·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스크러턴 · 싱어 · 우치다 · 나이먼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
인식론 | 카시러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플란팅가 · 골드만 · 아우디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드워킨 · 월드론 | ||||||||
종교철학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월터스토프 · 워드 · 크레이그 | ||||||||
탈식민주의 |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영 · 소머스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캅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 ||||||||
역사철학
|
크로체 · 오르테가 · 듀런트 · 토인비 · 앤더슨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뒤랑 Durand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본명 |
질베르 뒤랑 Gilbert Durand |
출생 | 1921년 5월 1일, 오베르뉴론알프지방 샹베리 |
사망 | 2012년 12월 7일,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철학자, 인류학자, 미학자 |
1. 개요
프랑스의 철학자, 인류학자, 미학자이다.2.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뒤랑이 주장하는 신 인류학 정신을 대표하는 방대한 분량의 저작이다. 인간의 상상계의 총체적인 구조를 새롭게 정립한 기념비적인 저작이다. 이러한 작업으로 인해 그의 철학은 '이미지 중심주의'로 불리기도 한다.이 책에서 뒤랑은 이미지를 낮의 체제에 속하는 것과 밤의 체제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여 그러한 이미지들과 이미지들의 표현 방식, 역동성에 대해 저술하였다.
낮의 체제는 분열 형태적 구조로, 밤의 체제는 신비적 구조와 종합적 구조로 알아볼 수 있으며 밤의 체제는 낮의 체제를 포괄한다.
뒤랑은 '제3권 제2장 공간, 상상력의 선험적 형태'에서 베르그송과 칸트를 비판한다. 인간 정신에 있어 공간의 중요성은 시간을 무한한 이미지들의 연속으로 파악하는 것에서 드러난다. 이 점에서 시간을 공간보다 중한 것으로 본 칸트든 베르그송이든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뒤랑은 상상력이 기억의 집합이거나 변형이라는 견해도 비판한다. 뒤랑에 따르면 오히려 기억이 상상력의 변형이다. 유년기의 기억과 꿈의 기억은 흐릿하고 무시간적이다. 그 무질서한 상상력이 질서를 갖춘 상상력이 되고, 이점에서 기억은 상상력의 한 부류가 된다는 것이다.
아래는 상상계의 동위적 분류도이다.[1]
체제 혹은 극성極性 | 낮의 체제 | 밤의 체제 | |
구조Structure |
분열 형태적Schizomorphes (혹은 영웅적Héroïques) ⅰ) 이상화 혹은 자폐적 후퇴 ⅱ) 분열주의(분열) ⅲ) 기하주의, 대칭, 거인증 ⅳ) 논쟁적 대구법 |
종합적Synthétiques (혹은 극적Dramatiques) ⅰ) 모순의 병존과 체계화 ⅱ) 대립적인 것 간의 변증법, 극화 ⅲ) 역사화 ⅳ) 부분적(순환) 혹은 전체적 진보주의 |
신비적Mystiques (혹은 반어적Antiphrastique) ⅰ) 중복과 끈기 있음 ⅱ) 점착성, 반어적 집착성 ⅲ) 감각적 사실주의 ⅳ) 축소 변형(걸리버화) |
설명 몇 정당화 원칙, 혹은 논리적 원칙 |
객관적으로 이질화 지향持向, 주관적으로는 동질화 지향(자폐증). 배척, 대립, 동일성의 원칙이 지배 |
시간의 요인에 의해 모순을 연결하는 통시적 재현. 갖가지 형태를 띤 인과성의 원칙이 지배 |
객관적으로는 동질화 지향(끈기 있는), 주관적으로는 이질화 지향(반어적 노력). 유추, 유사의 원칙이 지배 |
반사적 특성 |
자세적 지배와, 손으로 만든 도구와, 거리를 두는 감각적 고안물들(시각· 청각 등) |
계합적係合的 영역, 리드미컬한 고안물들, 그리고 그에 해당하는 감각적 고안물들(운동 감각적, 음악적, 리듬적 등) |
소화 지배와 체내 감각, 체온의 고안물 및 촉각적, 후각적, 미각적 고안물 |
3. 평가
프랑스 현대 철학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조류 중 하나인 과학철학의 상상력 연구를 가스통 바슐라르의 뒤를 이어 인류학적인 관점에서 탐구하여 현대 철학의 주요한 인물로 꼽히고 있다.인류학적 관점에서 기존의 철학과 신화, 문학, 문화 등 방대한 텍스트를 분석하여, 인간이 어떤한 이미지로 어떠한 내포 의미를 표현하는가를 말하고 있다. 특히, 의식 속에 받아들여진 정보들이 어떠한 상징을 통하여 표현이 되는가를 말한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