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과 판문동에 걸쳐있는 남강의 다목적 댐. 건설의 역사가 의외로 길다. 일제강점기인 1939년 첫 삽을 떴으나 이후 중단되었고, 1949년 재착공했지만 전쟁의 여파와 재정 부족으로 또 중단됐다. 이어,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사업으로 1962년 제3차 착공에 들어가 1970년 7월 완공했다. 1989년 9월 대규모 보강 공사에 착수하여 1999년 12월 현재의 모습으로 준공되었다.댐의 높이는 21m, 제방길이는 975m, 총 저수용량은 3억 920톤이다. 남강 유역 일대의 홍수 피해를 줄이고, 남강 하류의 농경지에 연간 6,000만㎥의 관개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진주시와 사천시의 상수도를 공급하고 12,600㎾의 전력도 공급한다.
댐의 높이가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지만 효용은 어마어마한데, 당장 진주시, 함안군, 의령군 일대를 괴롭히던 홍수 문제가 완전히 사라졌다.[1] 또한 남강 인근의 늪지대가 개간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남강댐 건설 이전에는 남강에서 역류한 홍수가 수km 밖에 있는 의령군 의령읍과 함안군 가야읍을 뛰어넘어 함안면까지 솟구쳐올라왔을 정도. 지금도 큰 태풍이 오면 가야읍 검암리 인근까지는 수위가 차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평상시에 댐을 횡단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봄철 행사가 있을 때 한시적으로 개방한다.
남쪽의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에서는 남해로 흘러나가는 가화천(가화강)[2]이 발원하는데, 원래 남강과는 산줄기로 분리돼 수계가 달랐으나 남강댐을 건설하면서 산줄기를 절개해 두 수계를 연결시키고 그쪽에도 수문을 설치해 놓아서, 본류 방향은 수문 3개, 가화천 방향은 수문 12개이다.[3] 남강이 낙동강의 지류이므로, 생각해 보면 여기서부터 부산의 낙동강하굿둑까지 경남 중남부 전역(경남 김해시, 사천시(곤명면, 곤양면, 서포면 제외), 진주시(문산읍, 금곡면, 금산면, 내동면, 사봉면, 이반성면, 일반성면, 정촌면, 지수면, 진성면, 가호동, 천전동, 충무공동), 창원시, 통영시, 고성군, 함안군, 부산시 강서구 가덕도동, 가락동, 녹산동)이 하나의 거대한 섬이 되는 셈이다. 운하를 파서 만들어진 김포섬이나 안면도와 비슷하게 된 경우, 이 가화천은 진양호의 수위를 조절하는 방수로로 이용하고 있다.
2. 교통
도로교통은 대전통영고속도로 서진주IC를 이용하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진주시 시내버스 진양호 권역 노선(백의 자리 2 또는 십의 자리 2)이 댐 동쪽 진양호공원 입구를 회차지로 삼기 때문에 진주 시내 어디서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3. 관광
이 댐의 조성으로 인공호수인 진양호가 생겼으며, 이 일대가 관광지로 활용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이곳 참조.댐 아래에는 진주시 어린이교통공원(넓은 공터)이 있어 어린이들이 무료로 교통안전 체험을 할 수 있다. 댐 서쪽에는 노을공원과 물문화관, 진주시능력개발원 등이 있다.
천연기념물인 수달이 서식한다고 한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 |
낙동강 수계의 댐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555" |
낙동강 | |||
낙동강하굿둑 부산광역시 강서구 |
안동댐 경상북도 안동시 |
|||
성덕댐 경상북도 청송군 |
||||
밀양강 | ||||
밀양댐 경상남도 밀양시 |
운문댐 경상북도 청도군 |
|||
남강 | ||||
남강댐 경상남도 진주시 |
||||
황강 | ||||
합천댐 경상남도 합천군 |
||||
금호강 | ||||
영천댐 경상북도 영천시 |
보현산댐 경상북도 영천시 |
|||
동화천 | ||||
공산댐 대구광역시 동구 |
||||
용계천 | ||||
가창댐 대구광역시 달성군 |
||||
위천 | ||||
군위댐 대구광역시 군위군 |
||||
내성천 | ||||
영주댐 경상북도 영주시 |
||||
반변천 | ||||
임하댐 경상북도 안동시 |
||||
태화강 | ||||
대곡댐 울산광역시 울주군 |
사연댐 울산광역시 울주군 |
|||
수영강 | ||||
회동댐 부산광역시 금정구 |
||||
한강 · 금강 · 영산강 및 섬진강 · 낙동강 |
진주8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성동 | 진주성 | 의암 |
판문동 | 남강로 | 진양호 | |
대곡면 | 남강로 | ||
가좌동 | 새벼리 | ||
망경동 | 망진산 봉수대 | ||
상봉동 | 비봉산 | ||
진성면 | 월아산 | }}}}}}}}} |
[1]
댐에 물을 가둬놓아 함안, 의령 쪽으로 홍수가 밀려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후술할
가화천 방수로 덕분에 진양호가 넘치더라도 함안, 의령을 거치지 않고 바로 남해로 방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2]
사천시 곤양면 가화리에서 따왔다.
[3]
사실 수문을 설치해놓은 정도가 아니라 가화천쪽 수문이 남강댐에 설치된 수문보다 훨씬 규모가 더 크고 아름답다. 즉 남강 본류 방향으로는 남강 본류의 수량 유지와 수력발전을 위한 최소한의 방류만 진행하고 제대로 된 수위조절은 이쪽에서 진행하는 셈이다. 다만 장마철 방류 시에는 본류 방향과 가화천 방향으로 둘 다 수문을 열고, 엄청난 폭우가 오면 본류 방향으로도 방류량을 늘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