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03:58:30

일주일

주일 문자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7일에 대한 내용은 이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간 체계와 그 기준 (협정 세계시)
1 태양년에 근사
31,536,000초 평년
31,622,400초 윤년
31,557,600초 율리우스년
의 삭망 주기에 근사
2,419,200초 28일
2,505,600초 29일
2,592,000초 30일
2,678,400초 31일
604,800초
1 태양일에 근사: 86,400초
3,600초
60초
세슘-133 원자 진동
시간대 윤초

📅 일주일
주중(평일) 주말 (휴일)


1. 개요2. 역사
2.1. 칠요2.2. 과거 동아시아에서
3. 요일
3.1. 이름3.2. 일주일의 시작과 끝
3.2.1. 주일과 안식일
3.3. 각 요일의 이모저모3.4. 단어 '요일'3.5. 표기
4. 연도별 요일5. 여담6. 일주일과 관련된 작품들7. 관련 캐릭터

1. 개요

A Week
일주일이란,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로 된 날짜의 단위로, 일요일이 끝나면 다시 월요일로 돌아가는 순환방식이다.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등 7개 요일이 존재한다. 년('해'), 월('달'), 일('날')과는 달리 순우리말은 없다.[1][2]

하루와 함께 인간 사회에서 주기를 이루는 시간 단위이다. 하루와 한 해는 해의 위치 / 지구의 위치가 바뀌니까 인간의 삶이 영향을 받는 것이 당연하지만 1주는 그렇지도 않은데도 대개의 인간 스케줄은 1주를 단위로 반복되고 있다.[3] 아래의 주술적 의미와 더불어 인간 삶의 주기를 위해서 만들어진 개념이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한자로는 아예 '돌 주'(週)를 쓰기도 하고.

1이 약 30이기에 대체로 1달은 4~5주 가량이 된다.[4] 1은 52주에 1일( 윤년이라면 2일)이 남는다.

2. 역사

2.1. 칠요

인류가 현재 사용하는 날짜 체계 중 유일하게 현대 천문학과 관련이 없다. 1달, 1일과는 달리 오랜 세월 동안 유럽- 중동권에서만 쓰였던 시간 단위였던 것도 이 때문이다. 굳이 의미를 끼워맞추자면 1달(삭망월)의 1/4에 얼추 가깝기는 하다.

7일이 한 단위가 된 것은 고대 바빌로니아의 세계관에 따른 결과다. 옛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땅을 중심으로 해와 달, 그리고 눈으로 보이는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다섯 행성이 돈다고 생각했다. 바빌로니아에서는 각 시간을 이들 일곱 천체가 관할한다고 생각했고 7일을 한 주기로 묶어 사용했다. 천문학 좀 한다는 문명 치고 해와 달, 그리고 육안관측이 가능한 다섯 행성을 중요시하지 않는 곳이 없었으므로, 해와 달과 다섯 행성을 묶는 개념은 순식간에 전파되었다. 일주일의 순서도 바빌로니아에서 이미 만들어졌다는 주장도 있다.

아브라함계 종교에서는 창세기에서도 언급하였듯이 하나님이 6일간 천지창조를 하고 1일을 쉬었다는 대목에 따라 7일 중 하루를 주일로 보내는 문화가 이어졌다. 그리스도교 세계에서 칠요() 제도는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채택되었다.

이후 프랑스 공화력 등 일주일을 7일로 두지 않고 바꾸려는 시도가 이따금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소련 역시 비슷한 시도가 있었던 듯. 세계력 역시 '아무 요일에도 속하지 않는 요일'을 만들었다는 면에서 8번째 요일을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2.2. 과거 동아시아에서

칠요라는 개념은 인도, 중국, 한반도까지 시간차를 두고 쭉쭉 전파되었다. 이 개념은 인도로 전해져 다시 밀교에서 수용했고, 불교가 중국으로 전해지면서 도교에서도 이런 인식을 수용, '칠요'(七曜)라고 불러 신격화했다. 칠요 신앙에서 다시 태양의 황도상 궤도가 만났을 때 일어나는 일식 월식에 대응되는 나후(羅喉)와 계도(計都) 두 가지를 덧붙여 ' 구요'(九曜)라고 부르기도 했다. 고려에서도 구요를 모시는 '구요당'이라는 건물이 있었다. 동아시아에서는 전근대에 요일 표시가 아니라 별점을 치는 등 다른 용도로 쓰였다.

한편 일본에서는 당나라 때의 점법인 육임신과(六壬神課)가 정착하여 육요(六曜)가 되었는데, 지금도 요일과는 별개로 달력 등에 표기되어 날짜의 길흉을 따질 때 사용된다. 선승(先勝, 센쇼), 우인(友引, 토모비키), 선부(先負, 센부), 불멸(佛蔑, 부쓰메쓰), 대안(大安, 타이안), 적구(赤口, 샷쿠)가 있다.

그러다가 일본이 메이지 유신을 통해 서양의 요일제를 받아들이면서 한 주의 일곱 날에 잘 들어맞았기 때문에 번역용어로 사용했다. 서양에서도 바빌로니아의 칠요 개념에 입각하여 일주일의 이름으로 삼았기 때문에 이는 동서로 갈라져 발전해 온 개념이 수천 년 뒤에 다시 합쳐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일주일이 칠요에 들어맞음은 우연이 아니다. 한국은 1895년 음4월 1일( 목요일)[5]부터 내각기록국 관보에 요일을 표기하기 시작하여 도입되었다.

그 이전 조선시대에는 요일과 같은 개념은 없었고, 대신 달과 절기 중심으로 달력이 구성되었다. 민간에서는 딱히 휴일로 지정된 것이 없었지만 서당이나 향교 같은 교육기관에서는 보통 24절기와 설날 추석 정월대보름 단오 등 명절 때 쉬었고, 벼슬아치들은 보통 매월 1일ㆍ8일ㆍ15일ㆍ23일과 24절기 때 쉬었다고 한다. 즉, 7일 단위로 쉬기는 쉬었다는 얘기다. 다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각 부서마다 비번과 휴일을 정해두었다고 한다.

중국의 경우는 한나라 때 休沐(휴목)[6]이라 하여 5일에 한 번씩 쉬었고, 남북조시대에서는 旬休(순휴)[7]라고 하여 10일에 한 번 쉬었다. 이는 · 때까지 이어졌다. 원나라 때는 몽골 사람들이 휴가 개념이 없어 지못미 1년에 16일만 쉬었다고 한다. 없지는 않았네 · 대에 경축일은 신년, 동지, 만수절(황제의 생일)까지 단 사흘 뿐이었고, 대신 寒暇(한가)[8]라고 하여 12월 20일부터 한 달간 관청 문을 닫았다.

3. 요일

3.1. 이름

날짜는 아라비아 숫자로 적는 것이 일반적이지만[9] 요일은 아직까지도 공통된 표기가 없고 각 언어별로 천차만별로 다르다. 세계 각국의 요일 이름은 영어 위키백과 Names of the days of the week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가게 같은 데 문 앞에 '(요일 이름)에는 쉽니다'라고 붙어있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여행 가려는 나라의 요일 이름을 외워두면 제법 쓸모가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한국에서 쓰는 요일 이름은 기원이 같은 칠요에서 착안하여 일본에서 '○曜-일' 형식으로 번역한 것이 기원이다. 한국에서는 한국 한자음으로만 읽어 갑오개혁 이후부터 쓰인 기록이 조선왕조실록에 있다. 여담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쓰는 요일 이름의 한자들(, , , , , , )은 모두 제부수 글자다.

고전 그리스어 라틴어 요일명도 마찬가지로 해와 달, 행성 이름(곧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 이름)[10]에서 딴 것이며 많은 서양 언어의 요일 명칭은 여기에 근거해 있으나 구체적으로 보면 조금씩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들 대신 자신들의 신화의 신들의 이름을 반영하거나, 그리스도교에서 각 요일을 가리키는 명칭이 이교도 신의 이름에서 따왔다 하여 불만족스럽게 여겨 순서 및 그리스도교적인 개념[11]을 따라 요일을 가리키는 단어를 만든 데에서 유래한다. 예를 들어 영어 요일명은 기본적으로 라틴어와 비슷하되 화ㆍ수ㆍ목ㆍ금요일을 게르만 신화 티르 오딘 토르 프레이야로 갈아치운 것이다.[12] 독일어에서는 영어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는데 교회에서 요일명의 이교도의 신 이름을 몰아내고자 했던 시도가 반영되어 수요일만 '주의 가운뎃날'이라는 이름을 쓴다.[13] 로망스어군 언어들은 라틴어 명칭에서 발음만 현지화되어 있지만, 포르투갈어에서는 교회의 시도가 성공하여 순서에 따른 요일명을 쓴다. 정교회 문화권의 언어인 러시아어에도 포르투갈어와 마찬가지로 요일에 순서를 나타내는 말이 들어 있으며, 일주일이라는 개념을 서양에 처음 알린 그리스인들조차 지금은 정교회의 영향으로 순서에 따른 요일명을 쓴다.

중국어에서는 그리스도교의 요일 명명방식과 비슷하게 보통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星期一에서 星期六까지 숫자를 붙이며 일요일만 星期日(星期天)이라고 한다. 중국어권에서도 한국식, 일본식으로 曜日을 쓰는 사례가 있기는 하나 지금은 전자가 정착해 사실상 쓰지 않는다. 그리스도교도 사이에서는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禮拜一에서 禮拜六까지 숫자를 붙이고 일요일만 禮拜天이라고 하기도 한다.

혁명력에서처럼 1주일의 일 수를 바꾸려는 시도가 있을 경우, 줄인다면 몰라도 늘린다면 명칭도 새로 붙일 필요가 있다. 혁명력에서는 10요일로 만들고 'Primidi, Duomedi...' 식으로 숫자에 따른 이름으로 요일 이름을 바꿨고, 이 방식은 현재 중국에서 쓰는 것과 방식이 유사하다. 만약 칠요에서 계속 따오고 싶었다면 태양계 천왕성, 해왕성 등에서 이름을 가져오거나 천요일 해요일 전설 속의 9요에서 따와야 했을 수도 있다.

3.2. 일주일의 시작과 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주일/시작 및 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 주일과 안식일

성경 창세기에 따르면 야훼가 6일간 세상을 만들고 쉰 날인 토요일은 7일째이다. 즉 창세기를 기준으로 하면 일요일이 한 주일의 시작이고 끝이 토요일이다. 유대교에서는 지금도 토요일을 안식일이자 한 주일의 끝으로 여긴다. 신약성경의 마르코 복음서 16장 9절에는 "예수께서 안식후 첫날 이른 아침에 살아나신 후.." 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 부분이 현대어 성경 등에서는 "안식일 다음날 일요일에 부활하셨다."라고 쓰였다. 이 부분으로 성경의 안식일은 그 전날인 토요일이며, 4복음서 곳곳에 있는 예수가 안식일을 지켰다는 대목으로, 예수가 안식일을 지켰으며 그날이 토요일이고 따라서 성경의 안식일은 토요일이다.

일요일에 쉬는 날이 된 것은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가 그리스도교를 합법종교로 인정한 뒤 321년 일요일 휴업령을 내렸기 때문이다. 또한 일요일에 쉬게 되면서 월요일을 한 주의 시작, 일요일을 한 주의 끝으로 보는 인식이 퍼졌지만, 여전히 가톨릭 교회나 정교회는 옛 기준대로 일요일을 주의 시작, 토요일을 주의 끝으로 간주한다. 재림교회 등의 몇몇 소수 개신교 종파에서는 구약과 유대교의 관습대로 일요일이 아닌 토요일을 예배일 겸 쉬는 날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일요일 또는 월요일 문서 참조.

그리스도교 역사의 초창기에는 안식일은 안식일대로, 주일은 주일대로 지켰기 때문에 두 날은 성격이 다르다. 안식일의 본질은 이름이 말해주는 대로 '쉬는 날'로 명령받은 날이기 때문에 일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랍비들은 어느 정도까지가 노동이고 어디까지가 노동이 아닌지를 치밀하게 구성했으며, 노동이 아니라고 규정된 것은 할 수 있지만 노동이라고 규정된 일은 할 수 없다. 하지만 주일은 그리스도교의 축제일이었다. 부활절이 '연간 부활 축제일'이라면, 주일은 주간 부활 축제일이며 그날 일을 하지 않는 것은 축제일이기 때문이다. '쉬는 날'과 '예배일+축제일'이란 개념을 혼동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겼을 뿐이다. 콘스탄티누스 1세가 그리스도교를 공인하기 이전부터, 그리스도교 공인 이전부터도 일요일을 주일로 지키고 성찬식을 거행한 기록이 있다. 문서로 남아있는 가장 초기의 자료인 104년 경에 작성된 안티오키아의 총대주교였던 성 이그나티오스의 편지에는 되레 안식일을 지킴은 지나간 옛 관습을 새 시대에 와서 지키는 것이고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헛되이 만드는 것이며 그것은 그리스도교가 아니라 유대교라며 격렬하게 비난하였다.

주일을 두고 제8요일이라고 부르는 오래된 호칭이 증명한다. 제7일이자 주간 마지막인 안식일(토요일)과 비슷하게, 주일을 주간 제8일이라고 부름으로써 안식일의 인식을 이미 흡수했음을 보여준다.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것이 그리스도교가 유대교와 다른 것을 보여주는 상징이 된 듯하다. 한편 이슬람교는 그리스도교가 일요일, 유대교가 토요일을 안식일로 삼았기 때문에 이런 날짜들을 피해서 의도적으로 금요일을 안식일로 삼았다. 이에 영향을 받아 프랑스에서는 8일(8 jours)을 1주일(1 semaine)이라고 한다. 15일은 2주일. 물론 이는 일상적 표현일 뿐이고, 실제 1주일은 똑같이 7일이다.

한국에서는 일요일을 ' 주일'(主日)에 미사 예배를 위해 쉬는 서구의 전통을 받아들여 일요일을 휴일로 삼는다. 한편 이슬람교 문화권에서는 금요일 안식일이기 때문에 금~토에 쉰다.

3.3. 각 요일의 이모저모

이들 7개 요일을 크게 2개로 분류하면 월~금까지의 '주중'(週中, weekday), 토~일의 ' 주말'(週末, weekend)로 나눌 수 있다. 주중의 앞부분을 가리켜 '주초'(週初)라는 말도 쓰이긴 하는데 범위는 '월~화' 정도로 다소 불명확하다. 주말이 없는 삶을 표현할 때 주중인 금요일이 계속 이어진다고 월화수목금금금이라고 하기도 한다. 옛 일본군은 비슷한 뜻으로 月月火水木金金라는 군가를 만들기도 했다.

주중의 경우 학교에 가거나 일하러 간다는 것이 무슨 요일이든 똑같기 때문에 오늘이 무슨 요일인지 요일 감각히 희미해지는 경우가 은근히 많다. 그나마 학교는 수업 시간표가 요일마다 다르지만 직장의 경우에는 그렇지도 않다 보니 더더욱 그렇다. 그래도 금요일은 주말을 앞두고 있다고 불금(불타는 금요일)이라는 유행어가 있다.

주 5일제 학교에 도입되던 과도기에는 토요일에 쉬기도 하고 쉬지 않기도 했기 때문에 쉬는 토요일을 '노는 토요일'이라고 놀토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무슨 달 몇 번째 주 무슨 요일 식으로 휴일을 지정하는 요일제 공휴일이라는 개념도 있다. 한국에서는 현재 기준으로 그러한 공휴일이 없다.

3.4. 단어 '요일'

요일 개념은 칠요(七曜)에서 나왔기 때문에 일주일의 각 날의 이름은 '○+요일'이 아니라 '○요+일'로 해석하는 것이 올바르다.[14] 그러나 현재는 그런 어원의식이 희박해져서 '요일'이라는 단어가 표준어로 자리잡았다. '○요일'을 줄여서 부를 때 '○'라고만 하는 일도 많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재분석이다. 또한 언중이 "오늘이 무슨 요일이더라?"와 같이 쓰기도 하고. 이는 일본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한국과 일본에서 쓰이는 이 라는 한자는 오늘날에는 요일을 나타낼 때 말고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다른 사용 예라면 흑요석(黑曜石) 정도. 그럼에도 '요일'이라는 매우 자주 쓰이는 단어에 들어가기에 한국에서도 읽기 5급이며 일본에서도 칸켄 9급의 상용한자이다.

입말로 쓰일 때는 '욜'로 줄여지는 경우가 잦다. 월욜이나 일욜 같은 식으로.

한국에서 '요일'이 단어로 쓰이는 반면, 영어권에서는 '요일'에 정확히 대응하는 단어가 없다. ' day'가 요일의 뜻을 가지지만 요일 외에 유사한 의미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요일 개념을 정확히 가리키는 단어라 보긴 어렵다. 따라서 요일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day of the week'라고 풀어쓸 수밖에 없다. 가령 '오늘은 무슨 요일인가?'는 보통 "What day is it today?"라고 말하고 이 경우 청자도 보통 요일을 물어보는 걸로 이해하긴 하지만, "It is Mother's Day."와 같은 대답을 들을 가능성도 있다.[15] 같은 이유로 한국어 위키피디아 항목 '요일'에 대응하는 영어 위키피디아 항목은 Names of the days of the week이다. 요일 자체를 지칭하는 단일 단어가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사소한 문제.

독일어에는 Wochentag 이라는 말이 있는데, 영어로 직역하자면 week-day 정도로 써볼 수 있다.

3.5. 표기

영어에서는 요일 이름은 언제나 대문자로 쓰는 관습이 있다. 이웃 언어여도 프랑스어는 그런 관습이 없는 것 같다.

영어 프랑스어 등 로마자 문화권에서는 줄여서 쓸 때 주로 세 글자까지만 쓴다. 일요일은 Sun(프랑스어는 Dim) 등. 같은 로마자 문화권이지만 독일어에서는 세 글자보다는 두 글자로 줄여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간혹 한 글자로 줄이기도 하나 영어 기준으로 화요일- 목요일(T), 토요일- 일요일(S)은 앞글자가 겹친다.

러시아 등 키릴 문자권에서는 문장의 첫 단어가 아닌 이상 첫 글자도 소문자로 쓴다. 대체로 달력에는 2글자로 줄여서 표기한다. 월요일부터 순서대로 пн - вт - ср - чт - пт - сб - вс.[16] 러시아 달력은 월요일부터 시작하며, 한 주를 세로로 표기하는 달력도 흔하다.

한국어 일본어에서는 '요일'을 제외한 부분 한 글자를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17] 한국의 경우 한글로도 한 글자씩이기에 한글로 쓰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요일 이름 부분을 음독으로 가나로 적은 달력은 드물다. 한국에서도 더 줄여서 초성으로 ㅇㅇㅎㅅㅁㄱㅌ 식으로 쓰는 경우는 없다. 중국어는 요일도 숫자로 쓰니만큼 日一二三四五六 식이다.

4. 연도별 요일

그레고리력에서는 날짜와 요일의 관계가 다소 불규칙하다. 1년은 365일로 7로 나누면 1이 남는 데다가 약 4년마다 윤년도 있기 때문. 이러한 변화를 표시하기 위하여 주일 문자(主日文字, dominical letter/Sunday letter)라는 것이 있다. 요일은 월요일부터 차례대로 G, F, E, D, C, B, A로 나타내며, 1월 1일의 요일을 표시하되 윤년이라면 1월 1일과 12월 31일의 요일을 같이 표시하는 방식이다.[18] 2018년은 월요일이므로 주일 문자로는 G가 된다. 왠지 '월화수목금토' 순으로 로마자를 진행시키는 것이 익숙할 듯한데 그 역순으로 진행된다. 쉽게 외우는 방법은 평년 기준으로 1월 1일, 1월 29일, 2월 26일, 3월 26일, 4월 23일, 5월 21일, 6월 18일, 7월 16일, 8월 13일, 9월 10일, 10월 8일, 11월 5일, 12월 3일, 12월 31일 순으로 외우는 것. 14개 날짜가 같은 요일이라는 점을 알면 요일을 찾기 쉽다.

<colbgcolor=#a9a9a9,#333333> 연도별 요일
평년 일요일(A) 월요일(G) 화요일(F) 수요일(E) 목요일(D) 금요일(C) 토요일(B)
윤년 일요일(AG) 월요일(GF) 화요일(FE) 수요일(ED) 목요일(DC) 금요일(CB) 토요일(BA)

평년/윤년으로 14종이 있다. 율리우스력에서는 28년의 주기를 지녀 28년 후의 요일은 언제나 동일하다.[19] 그레고리력에서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윤년 계산 공식에 따라 400년의 주기를 지닌다.[20] 1년이 지날 때마다 요일이 한 칸씩 바뀌기에 중간에 윤년 끼는 걸 생각하면 평년의 요일은 5~6년마다 돌아오기는 하지만, 윤년으로 2칸 바뀌면서 지나가버리는 일이 간혹 생기기에 정확한 주기는 그러하다.

세계력에서는 하루를 'World's Day'이라고 아무 요일도 아닌 것으로 빼고 윤년으로 추가되는 날도 그렇게 처리하여 매년 요일이 똑같게 만들었으나 널리 퍼지지 못했다.

5. 여담

  • 요일은 날짜가 바뀔 때마다 옆 요일로 바뀌지만 현행 그레고리력에서는 역사적으로 단 1번의 예외가 있었다. 그레고리력 개정이 이루어진 1582년 10월 4일 목요일의 다음 날은 10일이 삭제되었고 다음날 10월 15일은 원래대로라면 15일의 요일이었을 월요일이 아닌 바로 다음 요일인 금요일이 되었다.
  • 마비노기에서는 요일별로 이름이 붙어있고 자잘한 효과가 있다. 현실의 하루가 마비노기 세계에서 약 40일 정도라는 설정이어서 각각의 이름은 켈트식 요일 이름이 아니라 24절기에 해당한다.[21] 켈트식 요일은 게임상에서 등장하지 않는다.[22]
  • 한국의 공휴일 현충일, 광복절, 개천절은 같은 요일이고, 한글날 크리스마스는 앞의 세 공휴일보다 요일이 하루 빠르다. 대체휴일제가 정례화되지 않은 한국에서는[23] 휴일들이 주말과 겹치면 휴일이 무척 줄어들게 된다. 특히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과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에는 기본적으로 5일의 공휴일이 날아간다.
  • 직접 달력 프로그램을 짠다면 그레고리력을 기준으로 AD(서기)가 시작되는 1년 1월 1일의 요일은 월요일로 설정하면 된다. 현행 그레고리력에 맞춰 역으로 계산하면 1년 1월 1일은 월요일이기 때문이다. 단, 그레고리력은 1582년부터 시행되었기에 율리우스력 1년 1월 1일은 월요일이 아닐 수 있다.
  • '몇 번째 주'라는 표현이 사람마다 다를 때가 있는데 날짜에 따른 국제 표준인 ISO 8601에 따르면 목요일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어떤 해의 마지막 주는 그 해의 마지막 목요일이 포함된 주이고, 어떤 해의 첫 주는 그 해의 첫 목요일이 포함된 주인 것이다.
  • 한국에서 근로기준법 관련 판결에서 "1주일은 5일이다"라고 판결하여 화제가 된 적이 있다. "1주일은 5일이다"…7년만에 나온 '철 지난 판결'(2018.6.21.) 근로기준법 관련 판결으로, 주52시간제 이후의 개정 근로기준법에서는 7일이 맞다.
  • 음양오행의 관점에서 보면 한 주의 각 요일의 진행은 양과 음의 반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태양) - 월(태음) - 화(양) - 수(음) - 목(양) - 금(음) - 토(중성). 화와 목은 둘 다 양에 해당하지만 화 가 목보다 더 강한 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화가 여름이라면 목은 봄에 해당) 전체적으로 양과 음이 반복되는데 가장 강한 양음에서 점점 약한 양음으로 진행하여 토에서 평이한 중성으로 마무리 되는 것이다.

6. 일주일과 관련된 작품들

  •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월요일도?
  • 럼블피쉬 - '월화수목금토일'
  • 마이티 마우스 - ‘에너지’
  • '버스 달리다'[24] - '안경 도둑', '어른의 제복'
  • 수호(feat. 아이유) - '월화수목 금토일'
  • 세븐데이즈(1, 2, 3번 다)
  • 아빠와 딸의 7일간
  • 아이유 - ‘ 금요일에 만나요
    요일별로 언급하면서 금요일에 만나고 싶다고 한다.
  • 원 위크
    사랑하는 약혼녀와의 결혼을 앞둔 벤은 어느 날 갑자기 암으로 시한부 선고(1주일)를 받는다. 지금 당장 치료를 시작해도 생존확률이 희박하다는 의사의 말에 모든 것이 힘겨울 뿐인데… 병원을 나온 그는 우연히 평소에 그토록 갖고 싶었던 모터사이클을 사게 된다. 사랑하는 연인과 가족 그리고 세상 모든 것을 두고 홀홀 단신의 대륙 횡단 여행을 시작하게 된다.
  • 월요일이 사라졌다 - 1가정 1자녀 정책이 엄격히 시행되는 세상에서 일곱 쌍둥이가 살아남기 위해 한 사람인 것처럼 행세한다. 쌍둥이들의 이름은 월화수목금토일에서 따왔으며, 자신의 날에만 외출할 수 있다.
  • 이이즈카 마유미 - 2집 마지막 노래 'Everyday'
    (1절 1~2소절)Monday "안녕"하고 또다시 아침이 시작돼/Tuesday 키운 거베라가 붉게 피었어/(2절 1~2소절)Wednesday 말이 모자라서 분했어/Thursday 그걸로 좋다고 당신이 웃어줘/(3절 1~2소절)Friday 혼자 심호흡을 해/Saturday and Sunday 나는 작고도 무한대야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 암흑칠본창의 이름
    모두 요일의 영어 단어에서 따 왔다.
  • 일본 군가 - 月月火水木金金
  • 제국의 아이들 - 'Mazeltov'
    가사 중 일부가 Monday Tuesday / Wednesday Thursday / Friday Saturday Sunday... 응?
  • 주일은 쉽니다 - 일주일을 의인화하여 만든 네이버 베스트 도전 웹툰
  • 쥬얼리 - 'Vari2ty'
  • 크로스 채널
  • 클레오 - '동화'
    나의 월요일엔 그대 생각에 하루를 시작/화요일엔 그대와 만나 커피 한잔을/또 수요일엔 보고싶어 전활하죠/(중략)/(2절)나의 목요일엔 그대에게 어울리는 선물을/또 금요일엔 보고싶어도 그냥 망설이죠/토요일엔 그대와 슬픈 영활보며 기대죠/(중략)/일요일엔 그대 생각을 해요(후략)
  • 휘성 - '7days'
  • 일주일간 친구
  • Janne Da Arc - 'D DROP'
  • Avicii - 'Waiting for Love'
    Monday left me broken/Tuesday I was through with hoping/Wednesday my empty arms were open/Thursday waiting for love, waiting for love/Thank the stars it's Friday/I'm burning like a fire gone wild on Saturday/Guess I won't be coming to church on Sunday(후략)
  • 송지은 - 'I Wanna Fall In Love'
    하루종일 무얼해도 짝사랑이 생각난다는 내용의 노래다.
    주말이 저무는 밤 잠들기 싫은 일요일/Oh 바쁘고 힘겨워 쉴 새 없이 보낸 월요일도/길을 걷다 널 너무나 닮은 사람 한참을 따라갔던 내 모습 어이없던 화요일도/하루 종일 니가 생각나/(중략)/밤 늦게 집에 온 지난 수요일 밤도/지겹게 비가 내려 창밖만 내다봤던 목요일도/친구들과 불태운 금요일도/아무런 약속 없이 보낸 토요일도 난 그래/하루 종일 니가 생각나/(후략)
  • 정국 - 'Seven'
  • Queen - 'In Only Seven Days'. 'Lazing on a sunday afternoon'
  • 러시아 민요 Неделька( 네델카)
  • 레바 - '1주일'
    사망일이 1주일 남은 사람에게 저승사자가 보인다는 단편선

7. 관련 캐릭터



[1] 가장 가까운 말을 찾아본다면 '이레'(7일)라는 말이 있으나, 완전히 대응하지는 않는다. [2] 대신 2주에 해당하는 보름이란 단어가 존재한다. 1주를 삭망월 기준의 1/4 에 해당하는 기간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2주 = 보름 이라는 개념은 자연스럽게 받아 들여진다. [3] 반면 1달은 같은 달 특정 날짜마다 반복되는 스케줄이 있는 경우가 별로 없다. 월급날 정도. [4] 그레고리력에서 1달은 최대 31일까지 있으므로 7*4 = 28일을 제외한 3일이 금토/일 식으로 겹쳐있으면 6주에 걸쳐서 존재할 수도 있긴 하다. 그런 경우에는 주로 앞 달의 4~5주차 / 뒷 달의 1주차로 처리하는 경우가 잦다. 반대로 2월에 한해 최저 28일이면 딱 4주에 들어갈 수도 있다. 그 외 일반적으로는 4주차까지 치고 며칠 남는다. [5] 양력 4월 25일 [6] 쉬면서 목욕하라는 의미로. [7] 旬은 '열흘 순' [8] 겨울휴가 [9] 프랑스 대혁명 당시의 혁명력은 날짜 하나하나에도 이름이 붙어있었다. [10] 헬리오스/-일요일, 셀레네/ 루나-월요일, 아레스/ 마르스-화요일, 헤르메스/ 메르쿠리우스-수요일, 제우스/ 유피테르-목요일, 아프로디테/ 베누스-금요일, 크로노스/ 사투르누스-토요일. [11] 토요일은 사바트에서 따온 명칭을 쓰고 일요일을 두고는 '주님의 날'이라는 어휘를 만들었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순서(1~5, 혹은 일요일을 첫날로 해석하고 2~6)에서 따온 이름을 쓴다. [12] 하필 티르나 오딘 등 게르만 신들의 이름을 사용한 것은 게르만인들이 로마 문화와 접한 뒤, 로마인들의 신령을 자신들의 전통 신령에 대응하여 이해했기 때문이다. 현대의 종교학자들은 이런 '게르만적 이해'를 가리켜 '인테르프레타티오 게르마니카(Interpretatio Germanica)'라는 어휘를 만들었는데, 영어 요일명은 인테르프레타티오 게르마니카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13] Mitt(중간)+woch(주)=Mittwoch(수요일) [14] 일본어에서 '일' 부분이 훈독인 것도 그래서일 수 있다. [15]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해 "What day of the week is it today?"라고 물으면 요일을 물어보는 것임이 명확해진다. 다만 일상생활에서 이렇게 말한다면 기계적인 사람처럼 느껴질 수 있다. [16] 단어의 처음 두 글자를 그대로 적은 것이 아니라 단어의 자음자를 순서대로 따온 것이다. 토요일에 해당하는 суббота에서 у는 모음이고 с와 б는 자음임을 생각해 보자. 예외가 있는데 화요일(вторник)과 수요일(среда)의 경우 어두에 자음 두 개가 연달아 나오기 때문에 어떻게 하든 결과가 똑같이 나온다. [17] 때문에 근래 한국에서 한자 사용이 줄어 한자를 아는 이들도 줄고 있지만 요일 한자는 대체로 다 알고 있다. 기초적인 의미라 익히기 쉽기도 하지만 요일 한자를 모르면 일상에 적잖은 지장이 있기 때문이다. 요일 한자 7개 모두 가장 낮은 급수인 8급(어문회 기준)에 배정된 한자이다. [18] 평년은 1월 1일과 12월 31일의 날짜가 같으므로 적을 필요가 없다. [19] G-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A-[반복\] [20]
(D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
(D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
(D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
(DC-B-A-G-FE-D-C-B-AG-F-E-D-CB-A-G-F)-
(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A-G)-
(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A-G)-
(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A-G)-
(FE-D-C-B-AG-F-E-D-CB-A-G-F-ED-C-B-A)-
(AG-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
(AG-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
(AG-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
(AG-F-E-D-CB-A-G-F-ED-C-B-A-GF-E-D-C)-
(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D)-
(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D)-
(CB-A-G-F-ED-C-B-A-GF-E-D-C-BA-G-F-E-DC-B-A-G-FE-D-C-B-AG-F-E-D)-
(CB-A-G-F-ED-C-B-A-GF-E-D-C-BA-G-F-E)-[반복\]
[21] 알반 에일레르(춘분) - 벨테인(입하) - 알반 헤루인(하지) - 루나사(추수) - 알반 엘베드(추분) - 삼하인(입동) - 임볼릭(입춘)으로 대응된다. 삼하인과 임볼릭 사이에 있어야 하는 알반 아르후안(동지)가 게임상에서 등장하지 않는다. 1주일이 7일이라 360/45=8 하면 한 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22] 위에서 인용한 영어 위키백과 요일 명칭 문서를 참고하면 설정상 많은 모티프를 가져온 아일랜드(= 에린)의 요일 이름은 Diu srol / Diu luna / Diu mart / Diu iath / Diu eathamon / Diu triach / Diu saturn이다. [23] 2013년에 추석, 설날, 어린이날에, 2021년 공휴일인 국경일까지 대체휴일이 의무적으로 들어가도록 지정되었다. [24] 사하라 미즈의 단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