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정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국회의원 ( 경기 시흥시∙군포시) | ||||||||||||||||||||||||||||||||||||||||||||||||||||||||||||||||||||||||||||||
선거구 개편 황철수[1] |
→ |
제14대 제정구 |
→ |
선거구 분리 제정구[2] 유선호[3] |
|||||||||||||||||||||||||||||||||||||||||||||||||||||||||||||||||||||||||||
대한민국 국회의원 ( 경기 시흥시) | |||||||||||||||||||||||||||||||||||||||||||||||||||||||||||||||||||||||||||||||
선거구 개편 제정구[4] |
→ |
제15대 제정구[5] |
→ |
제15대 김의재 |
<colbgcolor=#0000a8><colcolor=#fff> 대한민국 제14·15대 국회의원 제정구 諸廷坵 | Je Jeong-gu |
|||
출생 | 1944년 3월 1일[6] | ||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척정리 척곡마을[7] # | |||
사망 | 1999년 2월 9일 (향년 54세)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여의도성모병원 | |||
호 | 세명(世明) | ||
본관 | 칠원 제씨[8] | ||
형제 |
형 제정호(諸廷浩)[9] 남동생 제정무(諸廷戊)[10], 제정원(諸廷源)[11] |
||
가족 |
배우자 신명자(申明子)[12] 장녀 제아름[13], 차녀 제아미(諸峨眉)[14], 3녀 제빈나[15] |
||
종교 | 천주교[16] ( 세례명: 바오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0a8><colcolor=#fff> 학력 |
대흥국민학교 (졸업) 고성중학교 (졸업) 진주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 정치학 / 학사) 서강대학교 대학원 ( 종교학 / 석사과정 수료) |
|
의원 선수 | 2 | ||
의원 대수 | 14[17], 15[18] | ||
최종 당적 |
[19] |
||
경력 |
천주교정의평화위원회 이사 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 한겨레민주당 대표 주거연합 대표 한국도시연구소 이사 민주개혁정치모임 상임위원회 간사 민주당 당무기획실장 국회 건설위원회 위원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위원 도시빈민연구소 소장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한국 빈민운동의 대부로 불리는 인물이다. 본관은 칠원 제씨(漆原). 호는 세명(世明), 종교는 가톨릭이며, 세례명은 바오로이다.
2. 생애
1944년 3월 1일,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척정리 척곡마을에서 아버지 제병근(諸炳根, 1888. 10. 13 ~ 1955. 8. 10)과 어머니 밀양 박씨 박수연(朴守蓮, 1915. 10. 7 ~ 1994. 3. 12)[20] 사이의 4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대흥초등학교, 고성중학교, 진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4수 끝에 1966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에 입학하였으나, 입학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학생운동에 뛰어들었다가 이듬해 제적되었다.그 뒤 1973년에 복학했다가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긴급조치 위반으로 투옥되어 1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형집행정지를 처분 받아 출소하였다. 그리고 1980년에야 대학을 졸업하고 1984년에 비로소 사면, 복권되었다.
1972년 청계천 판자촌에서 야학교사로 소외계층을 가르친 것이 계기가 되어 빈민운동에 투신하였다. 도시 빈민의 벗, 철거민의 대부로 불릴 만큼 도시 철거민들의 정착 문제에 힘을 쏟았다. 이렇게 빈민운동에 헌신한 공로로 1986년에 일생의 동지인 정일우 신부와 함께 막사이사이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막사이사이상 수상 직후에도 왕십리 철거민들 앞에서 이른바 ' 전두환 개xx'로 알려진 연설을 하다가 경찰에 연행되었는데, 진술서에 '전두환 개xx'는 빼자는 경찰과 실랑이를 하다가 이미 국제적으로 알려진 인사이기도 해서 결국 훈방 조치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대한민국 제5공화국 말기에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로서 1987년 6월 항쟁을 주도하였다. 대선을 앞두고 김대중이 평화민주당을 창당하고 재야 세력이 평민당으로 입당하자 원칙 없는 야합이라며 비판하기도 했다. 이후 양김 세력에 속하지 않는 재야 인사들의 정계 진입을 돕기 위해 한겨레민주당을 창당하기도 했다. 윤석양 이병이 폭로한 노태우 정부의 사찰 대상 중 한 사람이기도 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시흥시- 군포시 지역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1] 철거민 반대 투쟁을 이끈 운동가였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국회에서는 건설위원회에[22] 소속되었는데, 의원 생활 2년만에 국회의원 중에서 최고의 전문성을 가졌다는 평을 듣기에 이른다. 빈민 운동을 하면서 알게 모르게 쌓은 지식도 있고, 정치에 임하는 자세가 워낙 성실하다보니 가능했던 듯.
1995년 김대중이 정계에 복귀하고 나서 야권이 분열하여 민주당에서 새정치국민회의가 떨어져 나갔으나 제정구는 양김 세력을 비판하며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류하지 않았다.[23]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재선된 뒤 민주당 원내총무를 지냈으며, 국민통합추진회의를 결성하여 사무총장을 맡았다. 1997년 민주당과 신한국당이 합당할 때 정권 교체를 주장하던 통추 주류와 결별하고 삼김청산을 주창하며 한나라당에 합류하였다.[24] 보수 정당 합류 뒤에도 소장파 의원들을 규합하여 정치개혁을 위해 노력하고 동북아평화센터 설립에도 참여하는 등, 정파색에 휩쓸리지 않는 의정 활동을 보였다.
1998년, 폐암 진단을 받고 투병하면서도 정기국회 국정감사에서 서면 질의서를 제출하는 등 선량으로서의 의무를 성실하게 수행하다가 이듬해인 1999년, 5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사망 직후에 국민훈장 모란장이 추서되었다. 여담으로 제정구의 영결식 때 당시 한나라당 원내총무였던 이부영이 "제정구 의원은 김대중 대통령 때문에 억장이 터져 DJ암으로 죽었다."라는 공격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물론 이부영은 4년 뒤에 김영춘, 이우재, 안영근, 김부겸 등과 열린우리당을 만드는데 참여한다. 이는 아이러니라고 할 수 없는 게 원래 김대중이 대선 패배로 정계은퇴 후 다시 정계에 복귀하면서 국민회의를 창당, 통합 민주당을 뇌사상태로 빠뜨린 원인 제공을 했고, 그 결과가 통합민주당과 신한국당의 합당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DJ가 당선을 위해 국민회의를 상당히 우향우 하면서 신한국당과의 이념차이 역시 옅어져, 재야와 민주당계 정당에서 DJ와 동교동계에 비판적인 시각이 상당했다. 실제로 꼬마 민주당에 남았던 노무현도 마찬가지로 대통령 시절에도 동교동계와 갈등을 빚었다. 제정구 의원이 훗날까지 살아 있었다면 향후 행보를 짐작하게 할 수 있는 대목이기도...
그의 지역구였던 시흥시, 군포시는 보좌관 출신이었던 조정식, 백원우 등의 지역구가 되기도 했다.
여담으로, 복음자리는 1977년에 그가 신림/시흥동 지역 철거민들을 이끌고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은행동 일대에 세운 마을이었으나, 2007년부터 복음자리 일대에 신천동 LH 휴먼시아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거의 철거되었다.[25] 현재 복음자리가 남긴 유산으로는 작은자리 사회복지관과 복음자리 딸기쨈[26]이 있다.
2021년, 고향 고성에 제정구 커뮤니티 센터가 개관하였다.
3.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A8><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rowcolor=#fff><rowbgcolor=#0000A8>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종로 |
[[한겨레민주당| |
15,031 (12.3%) | 낙선 (4위)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시흥·군포 |
|
48,406 (47.1%) | 당선 (1위) | 초선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시흥 |
|
25,584 (42.9%) | 재선[27]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13대 총선 (서울 종로구) | 14대 총선 (경기 시흥시·군포시) | |
|
||
15대 총선 (경기 시흥시) | }}}}}}}}} |
4. 소속 정당
<rowcolor=#fff> 소속 | 기간 | 비고 |
[[한겨레민주당| |
1988 - 1991 |
창당 정계 입문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91 | 정당 해산 |
|
1991 | 입당 |
|
1991 - 1995 | 합당[28] |
|
1995 - 1997 | 합당[29] |
|
1997 - 1999 |
합당[30] 임기 중 별세 |
5. 둘러보기
경기도 제14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수원 권선 갑 | 수원 권선 을 | 수원 장안 | 성남 수정 | 성남 중원·분당 |
김인영 | 남평우 | 이호정 | 이윤수 | 오세응 | |
문희상 | 공석 | 이석현 | 안동선 | 원혜영 | |
부천 남 | 광명 | 송탄·평택 | 평택군 | 동두천·양주 | |
박규식 | 손학규 | 김영광 | 이자헌 | 공석 | |
안산·옹진 | 과천·의왕 | 시흥·군포 | 구리 | 미금·남양주 | |
공석 | 박제상 | 제정구 | 정주일 | 이성호 | |
여주 | 오산·화성 | 파주 | 고양 | 하남·광주 | |
이규택 | 정창현 | 박명근 | 이택석 | 정영훈 | |
가평·양평 | 용인 | 안성 | 이천 | ||
이한동 | 안찬희 | 이웅희 | 이해구 | 이영문 | |
김포·강화 | |||||
김두섭 | |||||
* 안양 갑
이인제 사퇴 (1995.6.10.) * 광명 윤항렬 작고 (1993.1.25) * 동두천·양주 임사빈 사퇴 (1995.6.10.) * 안산·옹진 장경우 사퇴 (1995.6.10.) |
|||||
◀
제13대
제15대 ▶
|
}}} }}}}}} |
경기도 제15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수원 장안 | 수원 권선 | 수원 팔달 | 성남 수정 | 성남 중원 |
이태섭 | 김인영 | 남경필 | 이윤수 | 조성준 | |
오세응 | 홍문종 | 김일주 | 최희준 | 이석현 | |
부천 원미 갑 | 부천 원미 을 | 부천 소사 | 부천 오정 | 광명 갑 | |
안동선 | 이사철 | 김문수 | 최선영 | 남궁진 | |
광명 을 | 평택 갑 | 평택 을 | 동두천·양주 | 안산 갑 | |
조세형 | 원유철 | 허남훈 | 목요상 | 김영환 | |
안산 을 | 고양 덕양 | 고양 일산 | 과천·의왕 | 구리 | |
천정배 | 이국헌 | 이택석 | 안상수 | 전용원 | |
오산·화성 | 시흥 | 군포 | 하남·광주 | ||
이성호 | 박신원 | 김의재 | 유선호 | 정영훈 | |
이천 | 파주 | 용인 | 안성 | 김포 | |
황규선 | 이재창 | 이웅희 | 이해구 | 박종우 | |
연천·포천 | 여주 | 가평·양평 | |||
이한동 | 이규택 | 김길환 | |||
* 수원 장안
이병희 작고 (1997.1.13.) * 수원 팔달 남평우 작고 (1998.3.13.) * 안양 만안 권수창 작고 (1997.7.18.) * 광명 을 손학규 사퇴 (1998.4.29.) * 시흥 제정구 작고 (1999.2.9.) |
|||||
◀
제14대
제16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9D68><tablebgcolor=#009D6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9D68><tablebgcolor=#009D6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강수림 | 이철 | 유인태 | 임춘원 | 박계동 |
김종완 | 김원웅 | 원혜영 | 제정구 | 이규택 | |
최욱철 | 정기호 | 김원기 | 홍영기 | 황의성 | |
홍기훈 | 박석무 | 이기택 | 강창성 | 김옥천 | |
이동근 | 국종남 | 강희찬 | 박일 | 박은태 | |
장기욱 | 김말룡 | 양문희 | 이장희 | 최병욱 | |
장정곤 | 김유진 | 서호석 | 장광근 | 박명서 | |
한원석 | 김용덕 | 정양숙 | 고홍길 |
}}} }}}}}} |
6. 관련 문서
[1]
과천시·시흥군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
[2]
시흥시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
[3]
군포시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
[4]
시흥시·군포시 선거구의
제14대 국회의원 이다.
[5]
임기 중 사망
[6]
음력 2월 7일.
[7]
칠원 제씨 집성촌이다.
[8]
판서공파(判書公派) 18세 정(廷) 항렬.
[9]
1941년 5월 28일생이다.
경상국립대학교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성생명보험 전무감사 등을 역임했다.
[10]
1949년 10월 21일생이다.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보험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한국화재보험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11]
1952년 10월 17일생이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을 졸업하고
천주교 인천교구 소속
신부, 세례명은 베드로. 2024년 1월 6일 선종하였다.
[12]
고령 신씨 귀래정공파 신호승(申浩丞)의 딸로 1953년 12월 5일생이다.
[13]
1977년 2월 25일생이다. 아버지 제정구 의원의 비서관 및 보좌관으로 근무했었던
백원우 전 의원의 6급 정책비서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 그 뒤 제58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을 48기로 수료하였다. 현재는
변호사로 근무 중이다.
[14]
1978년 10월 11일생이다.
[15]
1980년 10월 25일생이다.
[16]
부인도
베로니카라는 세례명을 가진 천주교 신자이다.
[17]
민주당 소속으로 당선.
[18]
통합민주당 소속으로 당선 후
신한국당과의 합당에 따라
한나라당 소속으로 전환, 1999.2.9 임기 중 사망.
[19]
신한국당과 본인 소속 당인
통합민주당의 신설합당에 따라 소속되었으며 실제로 '삼김 정치 청산'을 명분으로 합류를 긍정하는 등의 언행으로 인해
민주당계와
진보정당 진영으로부터 '배신'과 '야합'이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도시 빈민과 철거민을 위한 시민운동에 오래도록 헌신한 진보 인사로서 진영 논리와 당파성에 얽매이지 않는 의정 활동을 수행했다.
[20]
박복용(朴伏用)의 딸이다.
[21]
1989년에 시흥군이 폐지되면서 군포읍이 군포시로 승격, 다만 이때 한정으로 시흥시와 하나의 선거구로 묶였다. 단일 선거구의 신설은 안산동이 안산에 편입되고 난 1996년의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때부터.
[22]
현
국토교통위원회. 참고로 국토위는 예나 지금이나 지역구에 치적성 사업을 벌이기가 좋아서 경쟁률이 치열한 곳이다. 물론 이 당시에도 재개발이나 건축 관련해서만 다루던 것은 아니고, 기본적인 개발계획부터 주택공급, 세금 등등 부동산, 도시계획에 관련된 모든것을 다룬다고 봐도 무방하다. 어쩌면 제정구 의원이 한평생을 철거민, 빈민운동에 헌신해온만큼 개발과정에서 소외된 빈민들의 목소리를 내고자 건설위를 선택한 것도 이상한 건 아니다.
[23]
앞선 1994년에
김영삼으로부터
민주자유당 입당 제의를 받았으나 이 역시 비판하며 거절한 바 있다.
[24]
이를 두고 삼김정치 청산을 목적으로 독재정권의 후신과 야합했다는 비판이 있었다.
[25]
아이러니하게도 이 지역들은 철거민들이 모여 만들어진 역사와는 정반대로 재개발에 대한 열망으로 인해 18대 총선 이후로는 선거 때마다
보수정당 후보의 손을 들어줬다. 신천동과 은행동에 아파트 단지와 지하철이 들어서면서 이 지역의 땅값이 엄청나게 뛰었는데 이 때문에 지역사회 전반에 걸쳐 재개발에 대한 기대가 꽤 커진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보인다.
[26]
가톨릭 신자라면
성당에서
미사 끝나고 부녀회가 파는 것을 본 일이 있을 것이다. 현재는
대상그룹에 인수되었다.
[27]
1997년 통합민주당, 신한국당 합당으로 한나라당 합류.
1999.2.9 임기 중 사망. [28] 신민주연합당과 신설 합당 [29] 개혁신당과 신설 합당 [30] 신한국당과 신설 합당
1999.2.9 임기 중 사망. [28] 신민주연합당과 신설 합당 [29] 개혁신당과 신설 합당 [30] 신한국당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