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08:12:26

한겨레민주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창당) 한겨레민주당 (해산)
신한민주당
(개별 합류)[1]
평화민주당
(개별 합류)[2]
사회민주당
(개별 합류)[3]
민주당(1990년)
(개별 합류)[4]
통일민주당
(개별 합류)[5]
민주당(1991년)
(개별 합류)[6]
평화민주당
(개별 합류)[7]
}}}}}} ||
파일:한겨레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한겨레민주당
공식 명칭 <colbgcolor=#fff,#1F2023>한겨레민주당(民主黨)
슬로건 우리 모두가 주인인 한겨레민주당
새롭고 성실하게! 그리고 책임있게!
등록일 1988년 4월 6일
해산일 1991년 3월 13일
해산 전 대표 제정구
의석 수
0석 / 299석 (해산 직전)
당 색
주황색 (#FF7F50)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 ~ 중도좌파
중앙당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길 34 (청진동, 삼송빌딩)
당원 수 9,780명
(1991년 3월 13일 기준)[8]

1. 개요2. 역사
2.1. 창당2.2. 13대 국회의원 선거2.3. 총선 이후
3. 역대 선거결과4. 역대 지도부5. 기타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한겨레민주당은 1988년 4월 6일부터 1991년 3월 13일까지 존속하였던 민주당계 정당이다. 중앙당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진동 종로3길 34 삼송빌딩에 위치했다.

2. 역사

2.1. 창당

1988년 창당하였다.[9]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 김대중 양 김의 분열로 의원들은 탈당을 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당선되자 조순형, 유인태, 제정구, 원혜영, 김부겸 등과 함께 3김의 지역할거 정치 및 민주정의당의 관권 정치에 저항하는 제3의 당을 구상했고, 그 산물이 한겨레민주당이었다.

대표최고위원에는 예춘호가 선출되었다.[10] 창당 전당대회에서 자주, 민주, 통일이 핵심을 이루는 10대 강령과 5대 기본 정책을 채택했다.

2.2. 13대 국회의원 선거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예춘호, 조순형, 원혜영, 장광근, 김부겸 등이 입후보하였다. 당시 통일문제나 경제적 불평등의 해결책을 제시하겠다고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당시 선거 대책 사무소를 취재한 자료가 있다. # 개별 후보자 외에 한겨레민주당 당 차원의 공보물도 보인다. 후보들의 공보물을 보면 각양각색으로 되어 있다.
파일:한겨레민주당 정당공보물.png
당시 정당 공보물

선거에서는 전라남도 신안군 박형오 딱 1명만 당선되어 겨우 등록 무효를 면하는 신세가 되었다. 그런데 박형오 후보자는 이미 선거기간 중에 당선되면 평민당에 입당한다는 밀약이 있었으며, 예정대로 13대 국회 개원 직후인 6월 11일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여 원외정당으로 전락했다. 애초에 박형오는 親DJ 인물로, 그가 당선된 것도 자력이 아니라 순전히 평화민주당 한화갑 후보의 등록 무효로 인해[11] 대타로 출마했던 것이다.[1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거대 양당이 비례대표 의석을 획득하기 위해 위성정당을 내세웠다가 선거 직후 합당한 것과 비슷한 이치.

그렇게 해서 신안군에서는 평화민주당 성향 표가 쏠렸다. 만약 한겨레민주당이 전남 신안 선거구에 공천을 안했더라면 민주정의당 김복수 후보의 무투표 당선이라는 일대 사건이 일어날 뻔한건데, 실제 선거 결과를 보면 박형오는 77.66%밖에 얻지 못했고, 민정당 김복수가 무려 22.33%를 얻었다. 결국 신안군에서의 민정당 지지세가 의외로 있었던거고, 민정당이 무투표 당선으로 가져갔더라면 교두보 삼아 공략에 나섰을지도 모를 일.[13]

2.3. 총선 이후

총선 참패 이후 예춘호 대표는 정계를 은퇴하였고 남은 당원들은 1990년에 '민주연합추진위원회'[14] 측과 합당하려 했다. 그러나 '민주연합추진위원회' 측에서는 진보정당의 재건을 먼저 해야 한다고 한 반면 한겨레민주당 측에서는 야권 통합을 먼저 해야 한다고 하는 의견 차이를 보여 합당은 무산되었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자 조순형, 원혜영 등 당 지도부가 민주당에 입당하였고, 이듬해에 한겨레민주당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15]

김대중과 김영삼의 분열로 인해 생긴 정당으로 정작 한겨레민주당 참여 인사 대부분은 민주당으로 갔으며[16], 후대의 진보정당들과의 접점은 전혀 없다.

3. 역대 선거결과

연도 선거 종류 지역구 비례대표 정원 당선 비율 비고
1988년 제13대 총선 1/299 0/4 0/299 1.3%

4. 역대 지도부

파일:한겨레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예춘호
권한대행
조순형
제2대
제정구
}}}}}}}}}}}}}}}

5. 기타

  • 여담으로 비슷한 시기에 창간한 한겨레신문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단지 우연히도 이름이 비슷했을 뿐. 이 때문에 한겨레신문은 창간을 홍보하는 지상파 TV 광고에 '한겨레민주당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라는 멘트를 집어넣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민주당계 정당
제5공화국 ~ 문민정부
(1981 ~ 1998)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제5공화국 이전
민권당(관제) 민주한국당(관제)
신한민주당 민주한국당(관제)
정당등록취소 통일민주당 신한민주당 신민주당
한겨레민주당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 정당등록취소 정당 해산
통일민주당
민주당 3당 합당
정당 해산 신민주연합당
민주당 신정치파일:1px 투명.svg 개혁당
새정치국민회의 민주당 신민당으로 합당
개혁신당
통합민주당
한나라당으로 합당
문민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제1공-노태우) 진보정당(문민-이명박) 보수정당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파일:1px 투명.svg 제12대 국회
원내 구성
''' 1985.5.13. ~ 1988.5.2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148석
야당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svg
103석
21석
3석
무소속
1석
재적
276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160석
야당
50석
22석
9석
무소속
29석
재적
270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파일:1px 투명.svg 제13대 국회
원내 구성
''' 1988.5.30. ~ 1992.5.2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125석
야당
파일:평화민주당 로고.svg
71석
60석
35석
무소속
8석
재적
299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후반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218석
야당
파일:평화민주당 로고.svg
71석
파일:민주당 1990년 흰색 로고.svg
8석
무소속
2석
재적
299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194석
야당
파일:민주당(1991년) 흰색 로고.svg
64석
7석
5석
무소속
15석
재적
285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파일:조순형 투명.svg 조순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08080,#ddd> 일생 일생
논란 논란 및 사건사고
물은 셀프
가족 조부 조인원 · 아버지 조병옥 · 형 조윤형 · 아내 김금지
기타 조순형/여담 · 너 노사모지 · 한겨레민주당
}}}}}}}}} ||



[1] 예춘호 등. [2] 박형오 등. [3] 장광근 등. [4] 장광근, 제정구, 조순형 등. [5] 조순형 등. [6] 김부겸, 원혜영, 유인태 등. [7] 박형오 등. [8] 등록 당시 당원 수는 1,035명이었다. [9] 당시 보도 영상이 있다. # [10] 당시 한겨레민주당 지도부 중에서 국회의원 경험이 있는 사람은 예춘호 대표(6~7, 10대/전직 국회의원)와 조순형 의원(11~12대/현직 국회의원) 정도였고, 나머지는 전부 재야에서 활동하던 사람들이었다. [11]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으로 인해 피선거권을 박탈당했는데 이게 아직도 사면 복권되지 않은 상태였다. [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한화갑의 피선거권이 회복되자 박형오는 예정대로(?) 토사구팽 당했다. 그렇게 정계에서 사라졌다가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전라남도의회 의원으로 출마했다가 낙선했고, 2011년에는 포항에서 무허가 소금을 판매하여 경찰에 입건된 적도 있다. 2019년 1월 지병으로 별세. [13] 그리고 이 일은 7회 지선의 봉화군수 선거, 22대 총선에 세종시 갑 선거구에서 한번 더 재현된다. [14]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 나온 민중당의 전신격 단체이다. [15] 사유는 지속적인 이탈로 인한 법정 지구당 수(전체 지역구의 1/5)에 미달. 이 규정은 2004년에 시도당 제도로 개편되면서 5개 이상의 시도당을 유지해야 존속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16] 이후 이들은 1995년 야권 분열 과정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통합민주당으로 흩어지게 되며, 이 중 조순형, 원혜영 등은 국민회의로, 제정구, 김부겸, 장광근 등은 통합민주당을 거쳐 한나라당으로 간다. 제정구는 1999년에 지병으로 별세하였고, 김부겸은 2003년에 한나라당을 탈당해 열린우리당 창당에 합류하면서 다시 민주당계 정당으로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