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4:32:11

흥인군

이최응에서 넘어옴
<colbgcolor=#29176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wiki style="font-size:0.90em; letter-spacing: -0.8px"
영조 현효대왕 도정궁 사손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정조 선황제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
 
 
 
 
 
 
순조 숙황제 상계군 전계대원군 남연군 풍계군 진안군
 
 
 
 
 
 
 
 
 
 
 
문조
익황제
철종
장황제
익평군 회평군 영평군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 흥선헌의대원왕† 완평군 완성군
 
 
 
 
 
 
 
 
 
 
 
 
 
 
헌종
성황제
고종
태황제
덕안군† 경은군 청안군 완림군† 완순군 완영군† 흥친왕 완은군† 인양군† 의양군 예양정 완창군
 
 
 
 
 
 
 
완효헌친왕† 순종
효황제
의친왕 의민황태자 풍선군† 영선군 경원군
 
 
청풍군 창산군
※ 실제 혈통이 아닌 족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선은 친자, 점선은 양자 관계임
※ 왕족 / 황족으로서 정식 봉호가 있는 사람만 기재함
※ 은신군은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후사를 이었으나 당시에는 장조 의황제의 아들로 간주하여 그 후손들에게 황족 작호를 수여함
※ † 기호는 사후 추증된 인물이며, 흥선헌의대원왕을 제외하면 대한제국 수립 이전 사망한 왕족임
}}}}}}}}}}}} ||

흥인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14대

심환지
제215대

이시수
제216대

이병모
제217대

서매수
제218대

이병모
제219대

김재찬
제220대

서용보
제221대

한용구
제222대

김재찬
제223대

남공철
제224대

이상황
제225대

심상규
제226대

이상황
제227대

조인영
제228대

권돈인
제229대

정원용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29대

정원용
제230대

조인영
제231대

권돈인
제232대

김흥근
제233대

김좌근
제234대

정원용
제235대

김좌근
제236대

정원용
제237대

김좌근
}}}
제237대

김좌근
제238대

조두순
제239대

이경재
제240대

김병학
제241대

정원용
제242대

김병학
제243대

홍순목
제244대

이유원
제245대

이최응
제246대

서당보
제247대

홍순목
제248대

김병국
제249대

심순택
제250대

김병시
제251대

김홍집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이경일
제311대

한용구
제312대

서용보
제313대

이시수
제314대

김재찬
제315대

한용구
제316대

김재찬
제317대

김사목
제318대

남공철
제319·320대

이상황
제321대

이존수
제322·323·324대

이상황
제325대

심상규
제326대

홍석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26대

홍석주
제327대

박종훈
제328대

김홍근
제329대

정원용
제330대

권돈인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1·332대

김도희
제333대

박종훈
제334대

김홍근
제335대

김홍근
제336대

이헌구
제337대

조두순
제338대

박회수
제339대

조두순
제340대

이유원
제341대

김병학
제342대

강로
제343대

이최응
제344·345대

김병국
제346대

송근수
제347대

김병국
제348대

김홍집
제349대

김병시
제350대

김홍집
제351대

김병시
제352대

김홍집
제353대

조병세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이서구
제350대

심상규
제351대

이존수
제352대

정만석
제353대

김이교
제354·355대

박종훈
제354·355대

박종훈
제356대

이지연
제357대

조인영
제358대

정원용
제359대

권돈인
제360대

김도희
제361대

박회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2대

박영원
제363대

김좌근
제364·365·366대

조두순
}}}
제367대

이경재
제368대

임백경
제369대

류후조
제370대

홍순목
제371대

한계원
제372대

박규수
제373대

김병국
제374대

김병덕
제375대

심순택
제376대

김병시
제377대

김유연
제378대

조병세
제379·380·381·382대

정범조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추존 장종의 증손[1]
흥인군 | 興寅君
대한제국 추존 장조의 증손
흥인군 | 興寅君
이름 이최응(李最應)[2]
출생 1815년 3월 27일
(음력 순조 15년 2월 17일)
사망 1882년 7월 24일 (향년 67세)
(음력 고종 19년 6월 10일)
봉호 흥인부정(興寅副正)
→ 흥인도정(興寅都正)
→ 흥인군(興寅君)[3]
시호 효헌(孝憲) / 충익(忠翼) / 문충(文忠)
양백(良伯)
산향(山響)
양조부 은신군
양조모 남양군부인 남양 홍씨
친조부 이병원[4]
친부 남연군
친모 군부인 여흥 민씨
부인 정경부인[A] 안동 권씨
정경부인[A] 연일 정씨
정경부인 안동 김씨
자녀 1남

1. 소개2. 일생3. 평가4. 대중매체5. 관련 항목

[clearfix]

1. 소개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문신(文臣). 남연군의 네 아들 중 셋째아들로, 흥녕군, 흥완군의 동생이자 흥선대원군의 형이다.

2. 일생

1815년 2월 17일 한성부에서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6대손이자 원종의 셋째 아들 능창대군의 양7대손인 이채중(李采重)의 3남으로 태어났다.[7] 어머니는 인현왕후의 큰아버지 민정중의 4대손 민경혁의 딸 여흥 민씨다. 왕실의 후손이었지만 종친의 대우는 그의 고조부 안흥군의 대에서 끝났고 그의 가족은 단지 왕족 출신 양반일 뿐이었다. 그러나 생후 10개월만인 1815년 12월 9일 아버지 이채중이 정조(조선)의 이복 동생이자 숙종(조선)의 3남 연령군의 양손자인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해 남연군으로 봉해지고 종친으로 편입되면서 이최응 역시 왕족이 되었다. 1829년 1월 1일에 흥인부정(興寅副正)으로 봉해졌으며 1830년 흥인도정(興寅都正)으로 승격했다.

동생인 흥선대원군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대원군의 친형이라서 상당한 권력이 있었다. 1865년(고종 2년)에 둘째 조카인 고종이 왕좌에 올랐던 시절 동생인 흥선대원군이 주도했던 경복궁 중건 때 영건도감제조를 지냈다. 흥선대원군이 문호 개방 및 통상 수호 조약에 반대하자 문호 개방 및 통상 수호 조약을 지지하면서 동생과 대립했다. 결국 유림들의 반대로 사직했는데, 이 때부터 흥선대원군과의 관계가 나빠졌다. 이후 조카 며느리인 명성황후와 친밀해졌고 흥선대원군이 실권을 잃는데 도움을 줬다. 1873년 동생이 실권을 잃자 명성황후의 도움으로 호위대장,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라[8] 고종의 국사(國事) 보좌를 맡았다. 1880년 통리기무아문의 신설로 총리 대신에 임명되었으나 다음 해에 유림들의 반대로 물러나 영돈녕부사가 되었다.

1882년 잠시 경기도 광주부 유수로 임명받았다가 다시 영돈녕부사 직을 맡았다. 동년에 임오군란이 일어나 동생인 흥선대원군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던 구식 군대 군인들에게 명성황후 지지자 및 문호 개방 주동자라는 이유로 살해당했다. 황현은 《 매천야록》에 흥인군의 최후에 대해 상당히 처참하게 기록해놓았다. 임오군란 때 병사들이 집을 둘러싸자 도망가려고 담장을 타 넘다가 떨어져 고환이 터져 비참하게 최후를 맞았다고 적었다.[9] 슬하에 완영군 이재긍이라는 아들을 하나 두었는데, 그는 후사 없이 25살이란 나이에 요절했다. 그렇게 대가 끊길 뻔했지만 먼 방계[10]의 손자 뻘인 아이를 이재긍의 아들로 입양시켜 가계는 이어졌다. 문제는 그 사람이 그 유명한 을사오적 멤버 이지용이다.

3. 평가

흥선대원군의 형제임에도 평가는 당시나 지금이나 영 좋지 못하다. 당장 생전부터 평이 안 좋음을 알 수 있는 게, 임오군란 당시 구식 군인들이 그렇게 추종해 마지않던 흥선대원군의 형임에도 타겟이 되었다는 것 자체가, 흥선대원군의 형이라는 쉴드도 안먹힐 정도로 평이 나빴음을 보여준다. 그나마 흥선대원군도 답 없는 악당이었으면 그러려니 하겠지만 흥선대원군은 실책만큼이나 성과도 분명하다보니 흥인군만 비교된다.

매천야록》에 따르면, 영의정을 지낼 때 일본과 조약을 맺을 것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누군가가 "일본과 화해하는 게 좋겠습니다"라고 말하자 "옳다"라고 했는데 또 누군가가 "아닙니다. 왜놈들과 싸워야 합니다"라는 의견에도 "옳다"라고 했다고 한다. 그러자 다른 사람이 "싸웠다가 지면 어쩔 건데요?"라고 반문하자 또 "옳다"라고 했고, 또 다른 사람이 "싸워도 이기지 못하면 그 때 가서 화해하죠"라고 하자 또 "옳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결국 그 회의는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끝났는데, 이 이야기가 도성에 퍼진 이후 유유정승(唯唯政丞)[11]이라는 별명이 붙었다고 한다.

그리고 물고기 어(魚)와 노나라 노(魯)자를 구별하지 못할 정도로 무식해서[12] 과거 시험에서 시험관으로 임명되었음에도 뭐가 잘 되었고 뭐가 잘못된 건지 구별을 못해서 응시생들은 운이 좋으면 붙었고 운 없으면 떨어졌다고 한다. 게다가 흥인군이 시험관으로 임명되었다는 정보가 퍼지면 응시생 중 문장 솜씨가 부족한 사람들은 야! 신난다~를 외쳤다고 한다. 흥선대원군은 형이 욕심만 많고 이렇게 무식했기 때문에 집권 전부터 형을 대놓고 무시했다고 한다. 하여튼 《매천야록》에서 묘사한 흥인군은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4. 대중매체


  • 파일:풍운 흥인군.png

    〈풍운〉의 흥인군

    1982년 KBS 드라마 〈 풍운〉에서는 김성원이 연기했다. 점잖으나 약간 싱거운 사람으로 나왔다. 임오군란 때 몸을 피하라는 김병국( 민지환 분)의 조언을 무시하고 집에 있다가 찾아온 구식 군인들에게 살해당했다. 죽기 전에 나름 근엄하게 뒷짐지고 "썩 물러가라!"고 한 게 압권이다.

  • 파일:조선왕조 흥인군.png

    <colbgcolor=#94153e> 〈조선왕조 500년 - 대원군〉의 흥인군

    1990년 MBC 드라마 〈 조선왕조 500년 - 대원군〉에서는 김기일이 연기했다. 아래 소개할 〈 명성황후〉처럼 아주 우스꽝스럽지는 않으나 좀 실없는 사람으로 묘사되었다. 철종( 최수종 분) 시절 파락호로 지내는 흥선군( 임동진 분)을 걱정하며 안동 김씨 눈 밖에 나지말고[14] 제대로 살라고 꾸중한다. 고종 즉위 이후엔 흥선대원군이 바로 종친을 등용하지 않는 것을 답답해하며 기생 초월[15]( 김영란 분)을 만나 앞으로 흥선대원군이 어떻게 정치를 할 것인지 들은 게 있나 싶어서 떠보려하나 제대로 된 답을 듣지 못한다. 고종 친정 무렵부터 민씨 정권에 협력하였고 동생과는 척을 진다. 역사대로 임오군란 때 살해당하는데 한밤중에 집 안에서 부인 손을 잡고 도망치다가 찌질하게 혼자 살려고 부인을 마루에 패대기치고 출구를 찾아 두리번거리다 구식 군인이 던진 창에 맞아 죽는 것으로 나왔다.

  • 파일:찬란한 여명 흥인군.png

    〈찬란한 여명〉의 흥인군

    1995년 KBS1 드라마 〈 찬란한 여명〉에서는 이신재가 연기했다. 재물과 권세에 눈이 먼 탐욕스러운 모습으로 나왔다.

  • 파일:명성황후 흥인군1.png

    〈명성황후〉의 흥인군

    2001년 KBS2 드라마 〈 명성황후〉에서는 이영후가 연기했다. 개념을 안드로메다로 날려버린 발언들을 생각없이 하고 다니며, 목소리만 크고 어리숙한 인물로 등장했다. 이런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자연스럽게 이 드라마에서 개그 캐릭터 기믹을 맡았다. 특히 신정왕후 조씨( 김용림 분)와 철인왕후 김씨( 유혜영 분) 면전에서 풍양 조씨 안동 김씨를 까는 장면과, 동생 흥선대원군( 유동근 분)의 대역사였던 경복궁 중건 중 화재 사건으로 전소되자 왕실이 번성하려는 듯 활활 타오른다.며 실없는 소리를 동생 면전에서 늘어놓는 장면은 보는 사람이 손발퇴갤할 정도다. 전자에선 보다 못한 동생이 직접 "형님!"이라며 버럭했으며, 그러자 오히려 "너무 분하고 억울해서 그랬다"고 눈물을 짰다. 후자에선 동생이 "천민들도 그따위 헛소리는 안 한다"며 형이고 뭐고 빡쳐서 "삭탈 관직하고 의금부에 가두라"고 일갈했다. 이외에도 눈치 없거나 생각 없는 언행으로 동생에게 욕 먹거나 무시당하는 장면이 자주 나왔다. 임오군란 때 흥인군이 끔살당하자, 흥선대원군이 장례도 못 치르게 하면서 형수인 흥인군 부인( 엄유신 분)에게 '사람도 아닌 짐승을 묻을 수 있냐, 대역죄로 다스리지 않는 것만으로도 고마운 일이지. 맘 같아선 사지를 절단내 효수하고 싶다'라며 막말까지 한다.[16] 임오군란 때 폭동을 일으킨 군인들이 대궐로 습격할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대궐을 빠져나와 집으로 도망갔으나, 막상 군인들이 대궐로 가기 전에 흥인군의 집부터 습격하는 바람에 그 뒤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7]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매천야록》 기록처럼 아주 멍청한 사람으로 나오지 않는다. 오히려 종친의 좌장격 인물로 청나라 사신으로 다녀온 적도 있었다는 사실을 소개하고 있고,[18] 흥선대원군에게 불만을 가지고 조카 고종과 협력하며 흥선대원군이 실각된 후 '유유정승'이라 불린 《매천야록》 기록과는 달리 고종이 친정하는 조정의 중심 인물로서 국정 현안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게 피력하는 인물로 나온다. 임오군란 때 병사들에게 맞아죽는 최후는 같다.[19] 여기서의 묘사가 실록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실제 흥인군은 그렇게까지 사람 자체가 우둔했다기보다는, 아무래도 서화에도 능한 교양인이었던 동생에 비해[20] 교양이 부족했던 면이 《매천야록》 등의 야사에서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 흥인군 역시 철종때에 동생과 함께 종친이 본받아야 할 모범적인 인물로 칭송받았다는 기록이 있다.[21]

이두호가 그린 만화 '이두호의 가라사대'에서 정말로 추하게 죽는다. 난군이 들이닥치는데도 곳간 열쇠를 찾느냐 열중하여 열쇠를 찾아 좋아라 기뻐하는데 난군들이 들이닥쳐 "이최응이 여기 있다!", "죽여라!" 라고 소리치자 열쇠를 든 채로 굳어버린다. 이후, 피투성이 시체로 한 컷 나오면 난군들에게 참살당하여 시체 형체조차 남지 못했다고 서술된다.

이두호가 그린 객주에선 등장은 없고, 임오군란 이후에 민겸호 대신 이최응이 나섰다는 말에 난군들이 무어라? 이최응? 그놈이나 민겸호나 차이가 없다면서 버럭거리는 대사에서 짧게 언급된다. 그만큼, 극중 난군들에게 민씨 일가와 더불어 죽일 놈으로 취급되는 셈.

5. 관련 항목


[1] 남연군의 양아버지 은신군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봉사손이었다. 그러나 계대 문제로 조선 시대 당시에 은신군의 후손들은, '우리는 연령군의 제사를 챙길 뿐, 엄연히 사도세자(장조)의 자손'이라고 인식했고, 왕실에서도 그들에게 영조 - 사도세자의 후손 자격으로 군호를 주었다. 20세기 중반부터는 연령군을 조상으로 인정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연령군, 낙천군, 은신군 문서 참조. [2] 형제들의 이름을 보면 규칙을 찾을 수 있는데, 첫째는 흥녕군 이창응(李昌應), 둘째는 흥완군 이정응(李晸應), 셋째는 흥인군 이최응(李最應), 막내가 흥선군 이하응(李昰應)인데 이최응을 제외하고는 전부 가운데 이름자의 부수가 날 일(日)자다. 이최응의 最의 부수는 갈 왈(曰)인데, 아무래도 남연군이 이름을 지을 때 비슷한 글자를 골라서 붙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흥완군과 같은 항렬의 왕족들의 이름들도 마찬가지인데 먼저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의 이름은 '영(, + 大)'이며 철종은 왕이 된 이후 원범에서 '변(, + 弁)'으로 개명했다. 은전군의 양손자 완평군 역시 초명은 '병(, + 丙)'이었다가 '승응(( + 升)應)'으로 바꿨으며 완평군 이전의 은전군 양손자였던 경평군의 이름 역시 '호(, + 告)'였다. 은언군의 큰손자이며 상계군의 양자이자 풍계군의 친자 익평군의 이름 역시 '희(, + 羲)'였고 철종의 큰형인 회평군도 원래 이름은 원경이었는데 '명(, + 月)'로 고친 것이다. 영평군 역시 원래 이름은 '욱(, + 立)'이었다가 후일 '경응(( + 京)應)'으로 개명했다. [3] 봉호는 여주시의 옛 지명인 흥양부(興陽府)에서 유래했다. 형제들의 봉호도 마찬가지. 왕자 군이 아닌 종친 군의 봉호는 보통 생모의 관향(본관)으로 지었다. 흥인군 형제들의 생모는 여흥 민씨이다. [4]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5대손. [A] 사후 추증. 생전에는 군부인이었다. [A] 사후 추증. 생전에는 군부인이었다. [7] 둘째형 흥완군이 태어나고나서 음력 기준으로 정확히 1년 1일만에 태어났다. [8] 왕실 종친이 영의정에 오른 것은 성종 구성군 이후 매우 오랜만이었다. [9] 저상일월의 기록은 조금 다른데, 병사들이 그의 집을 습격해 벌벌 떨고 있는 그를 살해하였고, 혹시라도 그가 다시 살아날까 두려워 항문으로 장창을 찔러넣어 창날이 뺨과 머리를 뚫고 나오는 것을 확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10] 400년을 거슬러 올라가 세종대왕의 적5남 광평대군의 가계에서 골랐다. [11] '유유(唯唯)'는 "예, 예"라고 대답하는 소리를 나타내는 한자어다. [12] 흥인군 본인이 실제 이 정도 수준이었다기보다는 무식함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실록을 보더라도 성종실록이나 정조실록을 비롯해 어와 로도 구분하지 못한다는 표현이 여러 번 나온다. [13]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 [14] 실은 안동 김씨 눈 밖에 나지 않으려고 파락호 행세를 하는 것이지만, 흥인군은 그런 행태가 오히려 찍히는 짓이라고 생각했다. [15] 흥선대원군이 파락호 시절 자주 찾던 기생. [16] 여흥부대부인이 이 말을 듣고 제정신이 아니라며 기겁했다. [17] 군인들의 흥인군 살해 장면이 코믹하면서 다소 잔혹하게 묘사되었다. 끌려나온 흥인군이 몸을 가누지 못하며 헛주먹질과 팔을 휘저으며 "썩 물러나지 못할까?" 라며 우스꽝스럽게 소리치다가 군의들의 웃음과 김장손의 발길질에 넘어지고 목숨을 구걸하다가, 철퇴로 내리치고 쓰러진 흥인군을 여러 군인들이 달려들어 난도질했다. [18] 당연하겠지만 위에처럼 멍청하기만 한 인물이면 절대 보내지 않는다!!! 저 정도로 멍청한 사람이 만일 사신으로 가면 청나라에서 "조선은 왜 이런 멍청한 왕족을 사신으로 보낸거냐? 우릴 무시하냐?" 라고 반응할 수 있었다. [19] 다만 그냥 몽둥이에 머리를 얻어맞은 듯한 모습으로 나온다. [20] 흥선군의 난은 석파란이라 하여서 훗날 독립운동가들이 자금을 모으기 위해 석파란을 위조할 정도였다. 흥선군이 김정희의 제자였으니 더 설명은 필요없다. [21] "엎드려 원하건대, 환첩(宦妾)은 한결같이 우리 조종의 법으로 단속하여 제어하고, 종친(宗親)의 기거(起居)는 한결같이 남연군·흥인군·흥선군을 본받도록 하소서." - 철종실록, 철종 3년 7월 10일. 부교리 김영수의 상소에서. 남연군과 그 아들들인 흥인군 형제는 다른 종친들에 비해 신중하고 사려깊은 처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기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