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30 08:22:10

이집트-리비아-수단 공화국 관계

이집트-리비아-수단 공화국 관계 관련 틀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다자관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이집트·수단 공화국·에티오피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이집트·리비아·수단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리비아 국기.svg
동서관계
파일:베르베르기.svg
베르베르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이집트·리비아·수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유럽·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이집트·수단·에티오피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이집트·리비아·수단
}}}}}}}}} ||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이집트 리비아 수단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고대2.2. 19세기2.3. 20세기2.4. 21세기
2.4.1. 2010년대2.4.2. 2020년대
3. 경제 교류4. 문화 교류5. 관련 기사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이집트, 리비아, 수단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3국 모두 아랍 문화권에 속해 있으며 아랍 연맹 이슬람 협력기구, 아프리카 연합에 가입돼 있다. 3국은 고대부터 이집트 문명에 속했고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역사적 관계

2.1. 고대

고대에는 나일강을 중심으로 이집트 문명이 생겨났다. 리비아와 이집트는 이집트 문명권에 속했다. 수단은 이집트 문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집트와 리비아에는 고대 그리스와도 교류가 활발했었다.

2.2. 19세기

19세기 이후, 이집트와 수단은 영국의 지배하에서 앵글로 이집트 수단이라고 불리며 영국의 지배를 받았다. 그리고 리비아는 이탈리아의 지배를 받았다.

2.3. 20세기

이집트가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났지만, 수단 일대는 영국의 지배하에 놓였고 리비아는 이탈리아의 지배하에 놓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리비아는 리비아 왕국이란 국명으로 이탈리아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그리고 수단 공화국도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했다. 3국은 독립 이후, 공식적으로 수교했다.

중동 전쟁 당시에 3국은 이스라엘과 전투를 치렀다.

2.4. 21세기

2004년 10월 18일, 수단, 이집트, 리비아, 차드, 나이지리아의 정상들이 다르푸르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했다. #

2008년 9월 25일, 이집트에서 무장괴한들이 관광객들을 납치해 수단에서 리비아로 이동했다. #

2.4.1. 2010년대

2010년대 초에 아랍의 봄이 이집트와 리비아, 수단에도 퍼지며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다. 이집트와 리비아는 반정부시위가 일어났고 리비아는 카다피 정권이 무너지고 이집트는 잠시 무르시 정권이 출범했다. 리비아는 리비아 내전이 일어났고 이집트는 무르시 정권이 무너지고 엘시시 정권이 들어섰다. 수단은 2010년대 말에 바시르 정권이 무너졌다. #1 #2

2012년 5월 12일, 이집트-리비아 국경에서 이집트를 떠나려던 이집트인과 수단인 30여명이 지뢰 폭발로 부상당했다. #

무슬림의 순진함이란 영화를 두고 이집트와 리비아, 수단에서 시위가 일어났다. #

2019년 4월 14일에 엘시시 대통령이 칼리파 하프타르 리비아국민군 최고사령관을 만나 지지를 표명했고, 4월 17일에 수단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

2.4.2. 2020년대

2023년 수단 내전이 일어나자 이집트와 리비아가 수단을 각각 지원했다. #

6월 15일, 수단 피란민들이 이집트와 리비아 등 주변국들로 내전을 피하기 위해 피난을 떠났다. #

7월 13일, 이집트, 에티오피아, 남수단, 차드, 에리트레아, 중아공, 리비아 등 7개국이 수단의 군벌 충돌에 대해 중재에 나서기로 했다. #

3. 경제 교류

이집트와 리비아, 수단 3국은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지대에 가입돼 있다. #

4. 문화 교류

이집트와 리비아, 수단 3국은 아랍 문화권에 속한 국가들이기 때문에 아랍어가 공용어이고 종파에서는 이슬람교 순니파에 각각 속해 있다. 3국은 일상생활에서 아랍어 방언이 널리 쓰인다.

5. 관련 기사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