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0:06:46

윈난성

윈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운남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같은 한자를 쓰는 일본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운난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베트남 지역 안남에 대한 내용은 베트남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e1c25>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e1c25> 베이징시
· 톈진시
· 허베이성
· 산시성
· 내몽골 자치구
랴오닝성
· 지린성
· 헤이룽장성
화둥 지구
상하이시
파일:1px 투명.svg
· 장쑤성
· 저장성
· 안후이성
· 푸젠성
· 장시성
· 산둥성
· 타이완성
중난 지구
허난성
· 후베이성
· 후난성
· 광둥성
· 광시 좡족 자치구
· 하이난성
· 홍콩 특별행정구
· 마카오 특별행정구
시난 지구
충칭시
· 쓰촨성
파일:1px 투명.svg
· 구이저우성
파일:1px 투명.svg
· 윈난성
파일:1px 투명.svg
· 티베트 자치구
시베이 지구
산시성
파일:1px 투명.svg
· 간쑤성
파일:1px 투명.svg
· 칭하이성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ffff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ffff00; font-size: 0.7em; color: #ffff00"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e1c25>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8, 자치주 8
현급행정구
시할구 17, 현급시 18, 65, 자치현 29
쿤밍시
성도
昆明市
청궁구
呈贡区
우화구
五华区
판룽구
盘龙区
관두구
官渡区
시산구
西山区
둥촨구
东川区
진닝구
晋宁区
안닝시
安宁市
푸민현
富民县
이량현
宜良县
쑹밍현
嵩明县
스린 이족 자치현
石林彝族自治县
루취안 이족 먀오족 자치현
禄劝彝族苗族自治县
쉰뎬 후이족 이족 자치현
寻甸回族彝族自治县
취징시
曲靖市
치린구
麒麟区
잔이구
沾益区
마룽구
马龙区
쉬안웨이시
宣威市
루량현
陆良县
스쭝현
师宗县
뤄핑현
罗平县
푸위안현
富源县
후이쩌현
会泽县
위시시
玉溪市
훙타구
红塔区
장촨구
江川区
청장시
澄江市
퉁하이현
通海县
화닝현
华宁县
이먼현
易门县
어산 이족 자치현
峨山彝族自治县
신핑 이족 다이족 자치현
新平彝族傣族自治县
위안장 하니족 이족 다이족 자치현
元江哈尼族彝族傣族自治县
바오산시
保山市
룽양구
隆阳区
텅충시
腾冲市
스뎬현
施甸县
룽링현
龙陵县
창닝현
昌宁县
자오퉁시
昭通市
자오양구
昭阳区
수이푸시
水富市
루뎬현
鲁甸县
차오자현
巧家县
옌진현
盐津县
다관현
大关县
융산현
永善县
쑤이장현
绥江县
전슝현
镇雄县
이량현
彝良县
웨이신현
威信县
리장시
丽江市
구청구
古城区
융성현
永胜县
화핑현
华坪县
위룽 나시족 자치현
玉龙纳西族自治县
닝랑 이족 자치현
宁蒗彝族自治县
푸얼시
普洱市
쓰마오구
思茅区
닝얼 하니족 이족 자치현
宁洱哈尼族彝族自治县
모장 하니족 자치현
墨江哈尼族自治县
징둥 이족 자치현
景东彝族自治县
징구 다이족 이족 자치현
景谷傣族彝族自治县
전위안 이족 하니족 라후족 자치현
镇沅彝族哈尼族拉祜族自治县
장청 하니족 이족 자치현
江城哈尼族彝族自治县
멍롄 다이족 라후족 와족 자치현
孟连傣族拉祜族佤族自治县
란창 라후족 자치현
澜沧拉祜族自治县
시멍 와족 자치현
西盟佤族自治县
린창시
临沧市
린샹구
临翔区
펑칭현
凤庆县
윈현
云县
융더현
永德县
전캉현
镇康县
솽장 라후족 와족 부랑족 다이족 자치현
双江拉祜族佤族布朗族傣族自治县
겅마 다이족 와족 자치현
耿马傣族佤族自治县
창위안 와족 자치현
沧源佤族自治县
추슝 이족 자치주
楚雄彝族自治州
추슝시
楚雄市
루펑현
禄丰市
솽바이현
双柏县
머우딩현
牟定县
난화현
南华县
야오안현
姚安县
다야오현
大姚县
융런현
永仁县
위안머우현
元谋县
우딩현
武定县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红河哈尼族彝族自治州
멍쯔시
蒙自市
거주시
个旧市
카이위안시
开远市
미러시
弥勒市
젠수이현
建水县
스핑현
石屏县
루시현
泸西县
위안양현
元阳县
훙허현
红河县
뤼춘현
绿春县
핑볜 먀오족 자치현
屏边苗族自治县
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
金平苗族瑶族傣族自治县
허커우 야오족 자치현
河口瑶族自治县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文山壮族苗族自治州
원산시
文山市
옌산현
砚山县
시처우현
西畴县
마리포현
麻栗坡县
마관현
马关县
추베이현
丘北县
광난현
广南县
푸닝현
富宁县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西双版纳傣族自治州
징훙시
景洪市
멍하이현
勐海县
멍라현
勐腊县
다리 바이족 자치주
大理白族自治州
다리시
大理市
샹윈현
祥云县
빈촨현
宾川县
미두현
弥渡县
융핑현
永平县
윈룽현
云龙县
얼위안현
洱源县
젠촨현
剑川县
허칭현
鹤庆县
양비 이족 자치현
漾濞彝族自治县
난젠 이족 자치현
南涧彝族自治县
웨이산 이족 후이족 자치현
巍山彝族回族自治县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德宏傣族景颇族自治州
망시
芒市
루이리시
瑞丽市
량허현
梁河县
잉장현
盈江县
룽촨현
陇川县
누장 리쑤족 자치주
怒江傈僳族自治州
루수이시
泸水市
푸궁현
福贡县
궁산 두룽족 누족 자치현
贡山独龙族怒族自治县
란핑 바이족 푸미족 자치현
兰坪白族普米族自治县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迪庆藏族自治州
샹그릴라시
香格里拉市
더친현
德钦县
웨이시 리쑤족 자치현
维西傈僳族自治县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의 성
윈난성
[ruby(云南, ruby=Yúnnán)][ruby(省, ruby=Shěng)] | Yunnan Provinc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20px-China_Yunnan.svg.png
성정부 소재지 윈난성 쿤밍시 우화구 화산난루78호
云南省昆明市五华区华山南路78号
지역 시난
면적 394,000km²
하위 행정구역 8지급시 8자치주 14구 14현급시 72현 29자치현
시간대 UTC+8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인구 4,742만명
인구밀도 198명/km²
민족 구성 한족 66.58% | 이족 11.11%
백족 3.55% | 합니족 3.36%
장족 2.7% | 태족 2.69%
묘족 2.46% | 회족 1.51%
HDI 0.666 (2017)
서기 왕닝(王宁)[1]
성장 왕위보(王予波)
GRDP 전체 $4,260억 (2021)
1인당 $9,023 (2021)[2]
행정구역 약칭 云 | 滇
행정구역코드 530000
지역전화번호 0871
우편번호 650000 ~ 674600
ISO 3166-2 CN-YN }}}}}}}}}
홈페이지

파일:attachment/윈난 성/Yunnan_China_2008.png
사진은 윈난성의 성도 쿤밍 쿤밍역.

1. 개요2. 지리 및 기후3. 행정구역4. 특산물5. 역사6. 식물7. 민족8. 역대 영도인9. 기타10.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윈난성()은 중국 서남부에 위치한 성급 행정구역이다. 한국 한자음으론 운남성이다. 윈난성을 가리키는 중국 내 약칭은 뎬츠(滇池) 호수에서 따온 뎬(滇).[3] 혹은 윈(云). 성 이름인 '윈난(雲南)'은 한나라 대에 이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인 운남군(雲南郡)에서 유래했다.

서북쪽에는 티베트 자치구, 북쪽에는 쓰촨 성, 동쪽에는 구이저우 성, 동남쪽에는 광시좡족자치구 베트남, 남쪽에는 라오스, 서남쪽에는 미얀마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직접 경계를 접하진 않지만 태국과도 가까운 위치에 있다.[4] 동남아시아와 가까우며 면적 394,100km2[5], 2020년 기준으로 인구는 약 4,700만명.[6] 성도는 쿤밍(昆明) 시. ##

2. 지리 및 기후

이곳은 90% 이상이 고원, 구릉, 산지 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곳의 지형은 대체로 북고남저, 북쪽의 해발고도가 높고 남쪽이 낮은 지형으로, 대만, 미국 플로리다 주의 남부, 쿠바 등과 비슷한 위도[7]에 있지만 해발고도가 대체로 높은 편이라 대부분의 지역이 고산 고원지대에 해당되어 덥지 않은 편이다. 쿤밍시[8]만 해도 사계절이 과 같다 하여 춘성(春城)이라고도 불린다. 물론 남쪽 끝의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는 고도가 낮아 그냥 열대기후이고[9] 고도에 따라 기후가 달라져서 아열대기후, 온대기후, 냉대기후인 곳도 있다. 쿤밍과 다리, 리장 등이 온대기후, 그 중에서 아열대 고원기후에 속하고, 서북쪽 지역( 샹그릴라시)이 냉대기후에 속하며 이곳을 통해 티베트고원과 연결된다. 메콩강 살윈강 상류가 윈난성에 속한다. 그 외에도 홍강(훙허, 홍하) 상류, 주강의 지류인 난판강의 상류, 양쯔강(진사강)의 상류, 중류도 윈난성을 지난다.

파일:attachment/윈난 성/Mayry.png

메이리쉐 산 혹은 매리설산(梅里雪山)은 윈난성에서 가장 높은 으로, 최고봉의 높이가 무려 6,740m나 되는 산이다. 티베트 불교에 있어서는 4대 신산 중 하나이며, 그 중 으뜸인 성지다. 순례자들은 메리설산에서 2번째로 높은 '멘츠무'(선녀)봉 꼭대기 근처까지 수시간을 올라가 신성한 폭포에 몸을 씻고 온다. 그리고 매리설산의 최고봉인 '카와커보'[10]봉은 1902년부터 1996년까지 10여차례가 넘는 등반 시도가 있었지만, 전부 실패하고 눈사태 등으로 20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왔다.[11] 1996년 이후로는 중국 정부는 위험성과 성지라는 이유로 최고봉의 등반을 금지하고 있다. 아직까지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 중 하나다. 미정복 봉우리 참조.

기후조건도 괜찮고[12]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거리도 가까워 교역 거점, 교통의 요충지로서 괜찮은 조건을 갖고 있는 것치고는 개발이 많이 되진 않은 듯하다.사실 교통 요충지라기엔 너무 높다 지역총생산 순위도 중국 전체에서 하위권이라고 한다. 31개 성중 24위. 그래도 위안인 건 티베트보단 낫다는 것과, 미세먼지에 거의 시달리지 않는다는 점.

해발고도가 높지만 서북부 일부를 제외하면 위도가 낮아 눈이 내릴 일이 거의 없는 윈난 성이지만, 2016년 한파 및 폭설 사태 당시에 성도 쿤밍에 2016년 1월 25일 눈이 내릴 정도였기 때문에 한파를 완전히 비껴가지는 못했다. 하지만 중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추위가 약했다(지도 참고).

3. 행정구역

파일:윈난성 행정구역.svg
윈난성의 행정구역 지도

4. 특산물

차마고도가 이곳에서 시작하며, 특산물로는 가 유명한데, 그 중에서도 보이차의 주산지로 유명하다. 같은 공법을 사용한 후발효차라고 해도 윈난성에서 생산된 차가 아닐 경우 보이차라는 상표를 붙일 수 없을 정도.

또한 대중적으로는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아열대 고원기후라는 특징을 살려 커피도 생산되고 있다.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아라비카종만을 생산하는데다가 생두의 품질이 뛰어난 편이라 전문가들 사이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곳의 커피 소비량이 높아지자 차에 비해 단가가 높은 커피를 심기 위해 오래된 교목 차나무 등을 베어버리거나 차나무 자생지를 훼손하는 등 각종 부작용이 생기고 있다고 한다.

최근에는 커피 수출 규모가 차 수출 규모를 앞질렀다고 한다. 윈난성에서 충칭으로 집결된 수출용 커피가 불과 15일만에 독일까지 운송된다고. 기존에는 해상운송으로 30~50일이 걸렸는데, 2015년 7월 1일부터 중앙아시아를 경유하는 화물철도노선이 개통되어 15일만에 유럽으로 갈 수 있게 되었다. #

4.1. 요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윈난 요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역사

춘추전국시대 말기 초나라 장군 장교가 여기를 정벌했다가 초나라로 돌아가지 못하고 그대로 눌러앉아 이곳 풍속을 따르고 전왕을 자처한 것이 중원 세력과의 첫 접점 기록이다.[13] 이후 한나라 한무제 시기 처음으로 중국의 통일왕조 치하에 들어왔고 익주에 편입되었다.

삼국지연의에서 맹획으로 나오고 정글과 독천으로 뒤덮인 남만이라고 부르는 동네가 바로 이곳이다.[14] 칠종칠금의 배경이 되는 곳이다. 촉한의 남만 토벌은 사실이지만 독사와 전갈이 득시글대는 정글로 묘사되는 연의의 서술은 나관중의 창작인데, 중세까지 중국인들이 윈난을 어떤 이미지로 생각했는지 정도는 참고할 수 있다. 실제로는 연의에서 한족 관리 출신으로 나오는 고정이 월수군 수족의 왕이었고, 맹획은 한족 출신으로 윈난성 일대에서 가장 영향력과 세력을 갖춘 호족으로서 독립 국가를 세우려고 반기를 들었다가 225년 촉한 제갈량에 의해 평정되면서 남중은 촉한의 통치에 들어온다. 일종의 준자치구가 됐다고 보면 될 듯. 하지만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운남 지역은 촉한에 순순히 굴복하지 않아 반란이 여러번 터졌다. 이는 촉한이 오나라에 비해 국력이 후달려 이민족에 대해 방임에 가까운 정책을 폈기 때문이다. 이후 이곳에서 소수나마 군마가 나온 덕분에 촉한의 기병 전력 보충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

이곳은 서진 시기인 271년에 익주에서 영주(寧州)로 나뉘었고 옛 촉한 남중 지역의 4군을 거느렸는데, 그 땅은 대략 현재의 윈난성 지역에 해당한다. 동진, 유송, 남제 영주 관할에는 지금의 윈난성 전역, 구이저우성 중서부 지역이 있다. 중기 이후 폐지되었다가 서위( 북주)가 554년 남영주(南寧州)를 세웠다가 수나라 초에 남영주총괄부를 두었다 폐지하고, 그 땅은 남조의 전신인 육조가 차지했다. 한편 당나라는 이 지역의 남영주총괄부를 이어받아 남은 지역을 남영주(南寧州)라고 칭하고, 치소를 미현(지금의 윈난성 취징시 서북쪽)으로 했으며 634년에는 낭주(郎州)로 개명했다가 717년 남영주로 다시 개칭했고 당현종 천보말년인 754년 이곳도 남조에 점령되어 석성군으로 바뀌었다.

중세에는 남조, 다리 왕조( 대리국)가 있었던 곳인데 몽골 제국이 멸망시킨 후 운남등처행중서성(雲南等處行中書省)을 세웠다. 원나라는 이 지역에 이후 부하라 출신 색목인 관리 아잘 샴숫딘 우마르를 파견하여 쿤밍시를 건설시켰다. 아질 샴숫딘은 쿤밍 시를 다스리는 동안 모스크를 두 개 건설하였는데, 한동안 이 지역은 원나라 무슬림들의 중심지가 되었다. 원나라 말기 운남에 고립되어 있던 몽골 괴뢰정권인 양왕(梁王)의 정권을 명나라 홍무제가 멸망시켰을 때, 이 지역에서 몽골 황족들을 도우면서 정권을 잡고 있던 대리 단씨는 양왕국을 배신하고 명나라에 붙어 그 공으로 재독립을 꿈꾸었다. 하지만 대리의 은광산에 눈독을 들인 홍무제 주원장은 기대를 무참히 짓밟고 운남등처승선포정사사(雲南等處承宣布政使司)를 세워 1390년에 직할령으로 만들어버렸다. 명나라는 대리 단씨를 비롯한 바이족을 귀속시킨 이후로도 대리국의 왕족들에게 계속해서 총독, 진무 같은 벼슬을 주면서 현지의 토사(土司)로 삼았다고 한다.

그 밖에도 명나라 대에는 이 지역 먀오족 야오족이 반란을 일으키자 반란 진압 구실로 나하추가 이끄는 귀순 몽골군들을 대거 파견하여 열대성 질병으로 죽게 만든 적도 있고 당대 인도차이나 반도의 패자로 올라선 미얀마 따웅우 왕조의 침략을 받았으나, 이 지역 후이족들이 자체적으로 격퇴하였다. 19세기 중반 청조 말에는 할아버지 대에 한족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한 두문수(杜文秀)가 바이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켜 평소 바이족과 사이가 나쁘던 나시족을 학살하고 잠시나마 윈난 성을 거점으로 술탄으로 즉위하여 평남국을 건국하는 등, 우리가 생각하는 ' 중원'의 역사와는 사뭇 다른 역사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윈난성은 중국의 세력이 약한 지역이었고, 확실하게 중화제국에 편입되어 중국의 영토로 인식된 역사는 원나라 이래로 꽤 짧은 편이다. 그리고 윈난 서북쪽 고지대는 티베트인의 영역이었다. 하지만 민족, 역사, 지역색이 뚜렷하게 다른 소수민족 지역에 비해서는 한족을 비롯해 수많은 민족이 섞여있기 때문에 분리주의는 거의 없다.

위안스카이 집권, 호국전쟁 발발 이후에는 탕지야오가 창시한 전계군벌이 지배했고 북양정부에 노골적으로 적대하며 맞서는 반독립적인 지역(자체적인 윈난 화폐, 윈난 애국주의 교육 등)으로 남았다. 이후 룽윈(용운)이 지배권을 잡았으나 장제스(장개석)가 영도하는 국민정부의 영향력이 강대해지면서 중앙에 고개를 숙여야 했다. 중일전쟁 중에는 중앙에 복종하여 항일전을 수행했으며 일본군 버마를 점령했을때 버마와의 접경 지역 일부가 점령당하는 고초를 겪는다. 국공내전 중에 룽윈을 비롯하여 전계군벌 세력이 숙청되면서 중앙에 반감을 품고 공산당에 투항하게 되어 중화인민공화국이 지배하게 되었고, 일부 중화민국군 병력이 국공내전 이후에도 버마로 넘어가 이곳을 공격하는 게릴라전을 이어가서 1950년대에는 충돌이 자주 벌어지기도 했다.

6. 식물

당연히 열대지역이라 열대성 수종들이 많이 나고, 송로버섯도 난다.

열대과일들이 매우 많이 나지만 해발 1,800~2,100m 정도의 고산지대의 경우 네팔, 부탄, 인도 시킴주, 윈난이 원산지인 시킴꽃사과나무를 극히 드물게 볼 수 있다.[15] 그러나 중국의 윈난성과 쓰촨성 두 지역의 고유종인 운남꽃사과나무[16](Malus yunnanensis)가 있고 이의 변종인 비치꽃사과나무[17](Malus yunnanensis var. veitchii)는 후베이성, 쓰촨성, 구이저우성이 원산지다.

또한 비슷한 위도의 대만에서도 대만 토착종인 대만임금(Malus doumeri)이 자생하는데 얘도 운남꽃사과나무랑 같이 열대 지역에 적응한 종으로 일본 오키나와에도 대리백적목(Malus tschonoskii)가 자생하며, 더 많은곳(중국 안후이성, 후난성,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장시성, 윈난성, 저장성, 푸젠성)이 원산지인 광악임금(Malus leiocalyca)이 있다.

7. 민족

각종 문화권에 걸쳐있는 지역인 만큼 소수민족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으로 중화민족의 축소판이라 할 정도로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서 인정하는 56개의 민족들 중 무려 25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18] 서북부의 디칭 자치주에는 샹그리라라는 이름의 현이 있는데 거기에는 티베트족이 거주하며, 그 밖에도 나시족, 하니족, 바이족[19](다리 시에 거주) 등등이 있다. 또한 현재 라오스의 라오족들과 미얀마의 버마족, 태국의 타이족들도 인도차이나에 정착하기 이전에는[20] 윈난성에서 일부 살았다고 하며[21] , 현재도 윈난성 일대에 남은 타이족과 버마족, 라오족들이 소수 살고있다고 한다.

이 민족들이 사용하는 언어들을 큰 계통, 어족으로 나눠도 중국어, 티베트어가 속한 중국티베트어족, 태국어가 속한 크라다이어족(타이카다이어족), 몽몐어족(중국식으로는 먀오-야오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등으로 다양하다. 윈난성의 민족들 중 한족을 제외한 나머지 소수민족들의 인구가 성 전체 인구의 약 1/3을 차지한다고 한다. 비록 지리적으로 수도 베이징에서 굉장히 멀리 떨어져 있지만, 윈난 성의 한족은 오어 광동어가 아닌 보통화, 또는 같은 계열의 북방방언에 속하는 중국어를 쓴다. 이것은 쓰촨 성과 비슷한데, 이곳과 쓰촨 성의 한족이 중국의 북부 지방(관화 사용권)에서 이주해온 사람들 또는 그 후손들이기 때문이다.

미얀마에 거주하는 중국계 무슬림( 후이족) 판사이(Panthays)도 윈난 성이 기원이다. 원나라 때 부하라에서 윈난성에 정착한 무슬림들이 버마와 중국 쓰촨성을 잇는 무역로를 개척한 것이 그 기원으로,[22] 판사이는 미얀마어로 “ 페르시아인”을 의미한다. 미얀마에 거주하는 중국계 중 가장 규모가 크다고 한다.

8. 역대 영도인

파일:중국 국장.svg
윈난성 영도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성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윈난성 인민정부 주석
초대
천겅
윈난성 인민위원회 성장
초대 제2대 대리
천잉추 위이촨 류밍후이
제3대
저우싱
윈난성 혁명위원회 주임
초대 제2대 제3대
탄푸런 저우싱 자치윈
제4대
안핑성
윈난성 인민정부 성장
초대 제2대 제3대
류밍후이 푸차오주 허즈창
제4대 제5대 제6대
리자옌 쉬룽카이 친광룽
제7대 제8대 제9대
리지헝 천하오 롼청파
제10대
왕위보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초대 제2대 제3대
쑹런충 셰푸즈 엔훙옌
제4대 제5대 제6대
저우싱 자치윈 안핑성
제7대 제8대 제9대
푸차오주 가오옌 링후안
제10대 제11대 제12대
바이언페이 친광룽 리지헝
제13대 제14대 제15대
천하오 롼청파 왕닝 }}}}}}}}}}}}}}}

9. 기타

성룡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영화 <대병소장>이 여기서 촬영했다고 한다.

윈난 돌연사 증후군(Yunnan sudden death syndrome)에서 윈난이 바로 이 곳을 말하는 거다. 이 곳에서 장마철만 되면 학명이 Trogia venenata인 독버섯에 중독되어 돌연사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오는 데서 그렇게 부른다. 다만, 그 원인이 버섯 자체의 독 때문인지 아니면 버섯에 축적된 바륨 때문인지는 의견이 분분한 상태. 아무튼 이 때문에 현지민들은 외지인들에기 윈난성에서 버섯은 함부로 먹지 말라고 경고한다.[23] 2016년엔 윈난성에서 딸의 의대 합격을 축하하기 위해 엄마가 버섯 요리를 했는데 그 버섯이 독버섯이어서 딸이 사망한 사건도 있었다.

2014년 3월 1일, 중국 최대의 정치행사인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개최를 불과 이틀 앞두고 쿤밍 철도역에서 10여 명의 괴한들이 무차별 칼부림을 자행해 29명이 사망하고 130여 명이 부상하는 테러가 일어났다. 중국 정부는 이를 위구르 분리독립세력의 소행으로 단정하고 수사에 착수하고 독립운동단체에 의한 추가 테러 가능성을 염려해 전국의 보안을 강화했다. 참조 기사

일본 시마네현 운난시(雲南市)와 한자가 같지만, 운난시의 도시명은 구 이즈모국(出国)의 남부(部) 지역에 위치하는 데에서 유래한다.

홍하(紅河)에는 하니족 이족자치주가 세워져있다. 본래 장가군의 서남부지역이었는데 촉한에서 그쪽을 흥고군으로 분리하면서 만들어졌다. 청말부터 국민정부시절까지 광산업으로 잘나갔던 적이 있었다. 개구(个旧)에선 1910년대부터 아연채굴이 이뤄졌는데 지금도 아연이 많이 나오고 있다. 몽자(蒙自)에서는 주석채굴이 이뤄진다.

자오퉁시 옌진현이라는 도시는 평지도 없는 계곡에 그냥 만들어져서 유명하다.

10. 출신 인물



[1] 1961년생. 1955년생으로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사령원을 지낸 왕닝과는 한자까지 똑같지만 동명이인 주의 [2] 증권시보 [3] 운남성 지역의 홍차를 의미하는 단어인 운남 전홍(云南 滇紅)에 들어가는 한자이다. [4] 현대의 태국인들의 조상은 중국 윈난성에서 남쪽의 태국으로 이주해온 사람들이라고 한다. 실제로 지금도 다이족이라는 태국계 거주민들이 시솽반나(西双版纳) 등에 거주하며 오랜기간 동안 명목상이었지만 다이족의 왕국도 1950년까지도 존속했으며(공산당이 시행한 토지개혁으로 왕족들이 태국으로 도피하면서 사라졌다.), 자치구까지 존재한다. 실제로 윈난성 징홍(景洪)에서 태국국경까지 메콩강을 따라서 운행하는 선박들이 있다. [5] 남한 면적의 4배로 일본보다도 땅이 넓다. [6] 스페인, 또는 남한과 비슷한 인구이다. [7] 북쪽부터 플로리다 주 남부≥윈난성 북부≥대만≒윈난성 중남부≥쿠바 [8] ##. 타이베이와 거의 비슷한 위도. [9] 사바나 기후가 나타난다. 시솽반나, 허커우, 루이리 같은 남쪽 국경도시들은 그냥 중국의 동남아시아라고 봐도 될 정도로 풍경이 흡사 동남아 밀림도시에 온 것과 비슷한 느낌을 받고, 날씨 또한 동남아 국가들의 일반기후처럼 덥고 습하다. [10] 티베트어로는 카와 까르뽀(ཁ་བ་དཀར་པོ།, kha-ba-dkar-po)라고 한다. '카와'는 눈(雪), '까르뽀'는 흰색이라는 뜻. [11] 특히 1991년에 중일합동등반대가 6,700m 지점에서 눈사태로 17명 모두 사망하였다. [12] 1년 내내 , 가을 같은 기후조건이면서 해발고도도 1,800m~3,000m 사이라서 고산병이 발생할 수는 있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아 적응에 큰 어려움도 없고 적응만 잘 되면 정말 살기 좋은 기후인 곳이 대부분이다. [13] 참고로 장교는 초장왕의 후손으로 기이하게도 도적단 두목이었다가 초나라의 장군이 되었다가 반역자가 되었다가 다시 장군이 된 특이한 케이스다. 군재도 제법 있었는지 반란을 일으켰을 때는 초나라의 수도를 함락하기도 했고 초나라와 이 지역 사이에는 진나라도 있었는데 진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중간에 있는 지역도 점령했다고. 다만 초나라 본토와 이 지역 사이가 너무 멀어서 기껏 점령한 땅은 다시 진나라가 회수한다. [14] 남만이란 개념 자체는 중국 남부 및 남방의 지역, 나라를 통틀어 일컫는 개념이다.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남만 세력'이 이곳이다. 엉뚱하게도 중세 시대 일본에서 이 남만 개념을 받아들여서, 교토의 귀족들(그들은 교토를 낙양이라고 불렀다.) 은 현재의 규슈 지역을 남만이라고 칭했고 그 이후 에도시대에는 포르투갈, 네덜란드 상인들을 남만인이라고 칭했다. 서양 사람들의 상선이 동남아시아를 돌아서 남쪽에서 올라왔기 때문이다. [15] 거의 한라산에서 흰땃딸기 보는 난이도. [16] 사실 얘는 사과나무속 수종 중에서 극히 드물게 열대기후에 맞춰 진화한 수종이라 약간 큰 숲을 가면 자생하는 놈들을 매우 많이 볼 수 있다. [17] 구분 방법은 잎뒷면 털의 유무 차이와 비치꽃사과나무는 운남꽃사과나무보다 잎의 갈라짐이 약하다. [18] 영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 참조. [19] #1, #2 [20] 의외로 인도차이나에서 거주한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옆동네인 광시 좡족 자치구에 다수 존재하는 좡족이 이들과 직접적으로 관련있다. [21] 대부분은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 베트남 북부를 통해 이동했다. [22] 사천성과 버마를 연결하는 무역로는 전한 시절에도 존재하긴 했으나 원주민들의 무관심으로 규모와 수익이 적어 주목받지 못했다. [23] 이 때문에 윈난성에서는 버섯 조리 시간이 타지에 비해 월등하게 길다. [24] 양쩡신은 자신의 동향 출신 회족들이 위구르인들과 덜 충돌할 줄 알았으나, 자신이 부하로 데려온 회족 중 일부가 카슈가르시에서 위구르인 여성들을 데리고 하렘을 만들려던 게 발각되어, 위구르인들의 소요를 막기 위해 직접 처형한 적이 있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