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쉴리 프뤼돔 | 테오도르 몸젠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04 | 1905 | 1906 | 1907 | |
호세 에체가라이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 조수에 카르두치 | 러디어드 키플링 | |
<rowcolor=#cd9f51> 1908 | 1909 | 1910 | 1911 | |
루돌프 오이켄 | 셀마 라겔뢰프 | 파울 폰 하이제 | 모리스 마테를링크 | |
<rowcolor=#cd9f51> 1912 | 1913 | 1915 | 1916 |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로맹 롤랑 |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 |
<rowcolor=#cd9f51> 1917 | 1919 | 1920 | ||
카를 기엘레루프 | 헨리크 폰토피단 | 카를 슈피텔러 | 크누트 함순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아나톨 프랑스 | 하신토 베나벤테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1928 | |
조지 버나드 쇼 | 그라치아 델레다 | 앙리 베르그송 | 시그리드 운세트 | |
<rowcolor=#cd9f51> 1929 | 1930 | 1931 | 1932 | |
토마스 만 | 싱클레어 루이스 | 에릭 악셀 카를펠트 | 존 골즈워디 | |
<rowcolor=#cd9f51> 1933 | 1934 | 1936 | 1937 | |
이반 부닌 | 루이지 피란델로 | 유진 오닐 | 로제 마르탱 뒤 가르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4 | 1945 | |
펄 벅 | 프란스 에밀 실란패 |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8 | 1949 | |
헤르만 헤세 | 앙드레 지드 |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 윌리엄 포크너 | |
<rowcolor=#cd9f51> 1950 | 1951 | 1952 | 1953 | |
버트런드 러셀 |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 프랑수아 모리아크 | 윈스턴 처칠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1957 | |
어니스트 헤밍웨이 | 할도르 락스네스 | 후안 라몬 히메네스 | 알베르 카뮈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1960 | 1961 |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살바토레 콰시모토 | 생존 페르스 | 이보 안드리치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1964 | 1965 | |
존 스타인벡 |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
|
미하일 숄로호프 | |
<rowcolor=#cd9f51> 1966 | 1967 | 1968 | ||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 넬리 작스 |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 가와바타 야스나리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1972 | |
사뮈엘 베케트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파블로 네루다 | 하인리히 뵐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1975 | ||
패트릭 화이트 | 에위빈드 욘손 | 하뤼 마르틴손 | 에우제니오 몬탈레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1978 | 1979 | |
솔 벨로 |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1982 | 1983 | |
체스와프 미워시 | 엘리아스 카네티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윌리엄 골딩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1987 | |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 클로드 시몽 | 월레 소잉카 | 조지프 브로드스키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1990 | 1991 | |
나기브 마푸즈 | 카밀로 호세 셀라 | 옥타비오 파스 | 나딘 고디머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1995 | |
데릭 월컷 | 토니 모리슨 | 오에 겐자부로 | 셰이머스 히니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1998 | 1999 |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 다리오 포 | 주제 사라마구 | 귄터 그라스 | |
<rowcolor=#cd9f51> 2000 | ||||
가오싱젠 | ||||
}}}}}}}}}
- [ 21세기 ]
- ##
||<table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2003 || 2004 ||
}}}}}} ||
물리학 | 화학 | 생리학·의학 | 평화 | 경제학 |
<colbgcolor=#000><colcolor=#fff> 욘 포세 Jon Fosse |
|
|
|
2023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 |
본명 |
욘 올라브 포세 Jon Olav Fosse |
출생 | 1959년 9월 29일 ([age(1959-09-29)]세) |
노르웨이 로갈란 주 헤우게순 | |
국적 |
[[노르웨이|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베르겐 대학교 |
수상 경력 |
1998 뉘노르스크 문학상 1999 도블로우그상 2003 프랑스 국가공로훈장 2005 브라게상 2007 스위스 북유럽문학상 2010 국제 입센상 2014 유럽연합 문학상 2015 북유럽 이사회 문학상 2023 노벨문학상 |
종교 | 루터교회( 노르웨이 교회) → 퀘이커 → 가톨릭 #[1] |
[clearfix]
1. 개요
2023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노르웨이 희곡 작가.모국 노르웨이에서는 헨리크 입센 이후 최고의 극작가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모국인 노르웨이보다 해외에서 더 명성이 높은 작가로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하는 극작가이자 소설가다. 소설로 데뷔하기는 했지만, 극작을 시작한 이후 현대 연극의 최전선을 이끄는 동시대 최고 극작가의 반열에 올랐고, 현재는 주로 희곡에 집중해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2. 활동
그는 1959년 노르웨이의 해안도시 헤우게순에서 태어나 하르당게르표르에서 성장했다. 대학에서 비교문예학을 전공했고, 이후에는 문예창작을 가르치면서 작품활동을 병행했다. 1983년 장편소설 <레드, 블랙>으로 데뷔한 후 1989년 소설 <보트 창고>로 주목받기 시작한다. 소설로는 <병 수집가> <납 그리고 물> <멜랑콜리아 I-II> <저 사람은 알레스>, 중편소설 3부작인 <잠 못 드는 사람들> <올라브의 꿈> <해질 무렵>을 출간했다.1990년대 초반에 생계에 어려움을 느끼던 차에 희곡 집필 의뢰를 받은 것이 욘 포세에게 전환점이 됐다. 포세는 과거 한 인터뷰에서 "내가 이런 종류의 작품(희곡)을 시도해본 것은 그때가 처음이었는데 내 작가 인생에서 가장 큰 놀라운 경험이 됐다"며 "이런 종류의 글쓰기가 나를 위한 것이라는 점을 깨달았고 느꼈다"고 말했다.
1994년에 첫 희곡 ‘그리고 우리는 결코 헤어지지 않으리라’를 발표했다. 이후 ‘이름’ ‘누군가 올 거야’ ‘밤은 노래한다’ ‘기타맨’ ‘어느 여름날’ ‘가을날의 꿈’ ‘나는 바람이다’ 등의 희곡으로 극작가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의 희곡들은 전 세계 무대에 900회 이상 올랐다. ‘인형의 집’을 쓴 근대극의 확립자 헨리크 입센(1828~1906) 다음으로 가장 많은 작품이 상연된 노르웨이 극작가다.
소설과 희곡 외에도 에세이와 시에 이어 아동문학까지 장르를 넘어 종횡무진하는 글쓰기로 유명하지만, 현재는 주로 희곡에 집중해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1998년 ‘누군가 온다’가 프랑스에서 초연된 이후 2000년부터 독일에서 그의 작품이 지속적으로 공연돼 세계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2002년에는 독일의 권위 있는 연극 전문지 <테아터 호이테>는 욘 포세를 올해의 외국인 작가로 선정하기도 했다.
수상 경력도 화려하다. 그는 1998년과 2003년 노르웨이어로 쓰인 최고의 문학작품에 주어지는 뉘노르스크 문학상, 1999년 스웨덴 한림원이 스웨덴과 노르웨이 소설에 수여하는 도블로우그상, 2003년 노르웨이 예술위원회 명예상, 2005년 노르웨이 최고의 문학상인 브라게상 명예상, 2007년 스웨덴 한림원 북유럽 문학상, 2010년 국제 입센상, 2015년 북유럽이사회 문학상을 받았다. 아울러 2003년 프랑스 공로 훈장을, 2005년 노르웨이 국왕이 내리는 세인트 올라브 노르웨이 훈장을 수훈했다.
포세는 모국인 노르웨이보다 해외에서 더 명성이 높은 작가로, 최근 노벨상 시즌에는 꾸준히 문학상 후보로 거론돼왔다. 장편소설 <아침 그리고 저녁> <보트하우스> <저 사람은 알레스>, 중편소설 <3부작>, 희곡집 <가을날의 꿈 외> <이름/키타맨>, 동화 <오누이> 등이 이미 국내에 번역 출간돼 있다. 그의 작품들은 가족, 이별, 죽음, 사랑 등 보편적인 소재를 굉장한 문학성으로 형상화해 인간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묻는 것이며, 희곡들은 행간의 여백이 넓어 거의 시로 읽히기도 한다고 한다.
2022년에는 자신의 작품 중에 가장 길게 쓴 장편소설 ‘새로운 이름. 7부작 VI-VII’ 영어번역판으로 영국 부커 상 인터내셔널 부문 최종후보에 올랐다. ‘저주토끼’ 정보라 작가도 함께한 자리였다. 이른 저녁 4~5시부터 이튿날 아침 9시까지 글에 몰두했다고 한다. 욘 포세는 90년대부터 30여편의 희곡을 쓴 뒤 이제 “그정도면 충분하다”는 생각으로 다시 소설을 썼다고 당시 밝혔다.
욘 포세는 2023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노르웨이에서 노벨문학상이 배출된 것은 1903년 베에른스티에느레 비에른손, 1920년 크누트 함순, 1928년 시그리드 운세트 이후 95년 만에 처음이다. # 노벨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1100만 크로나(약 13억5000만원)와 메달, 증서가 수여된다.
극작을 주요 경력으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이는 하신토 베나벤테(스페인, 1922), 조지 버나드 쇼(영국, 1925), 루이지 피란델로(이탈리아, 1934), 유진 오닐(미국, 1936), 사뮈엘 베케트(1969), 다리오 포(이탈리아, 1997), 가오싱젠(프랑스·중국, 2000), 해럴드 핀터(영국, 2005), 페터 한트케(오스트리아, 2019) 등이 있다. 2022년의 아니 에르노(프랑스)까지 119명 수상 작가의 대표작이 희곡인 경우로 칠 때, 포세는 13번째 극작가 출신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되었다.
3. 작품
3.1. 소설
- 레드, 블랙 Raudt, svart (1983)
- 보트하우스 Naustet (1989)
- 아침 그리고 저녁 Morgon og kveld (2000)
- 오누이 Soster (2000)[2]
- 저 사람은 알레스 Det er Ales (2004)
- 3부작 Trilogien (2014)
- 7부작 새로운 이름: 셉톨로지 VI-VII Eit nytt namn - Septologien VI-VII (2021)
3.2. 희곡
- 그리고 우리는 결코 헤어지지 않으리라 Og aldri skal vi skiljast (1994)
- 이름 Namnet (1995)
- 기타맨 Gitarmannen (1997)
- 어느 여름날 Ein sommars dag (1999)
- 가을날의 꿈 Draum om hausten (1999)
- 겨울 Vinter (2000)
4. 기타
- 그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발표된 직후, 서점에서 그의 작품들은 판매량이 대폭 늘었다. 문학계에서 노벨상 특수는 연례행사나 마찬가지니 특이한 현상은 아니지만. 또한 여러 극단에서는 이전에 공연했던 그의 희곡들을 조만간 다시 무대에 올리거나, 아직 소개되지 않은 작품을 새로이 선보이는 것도 활발히 추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