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d700>
야구의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투수의 기록 | 구종 가치 · 규정이닝 · 평균자책점 · 승리 투수 · 패전 투수 · 승률 · 탈삼진 · 완투 · 완봉 · 세이브 · 블론세이브 · 홀드 · WHIP · 퀄리티 스타트 · DIPS · FIP · K/BB · RA9 · pFIP · kwERA · SIERA · 게임 스코어 · ERA+ |
타자의 기록 | 규정타석 · 타석 · 타수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OPS+ · 안타 · 장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득점 · 도루 · 도루실패 · 사사구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타 · 삼중살 · 희생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BB/K · RC (RC27) · RE24 · IsoD(순출루율) · IsoP(순장타율) · XR · wOBA · wRAA · Offense · wRC+ · GPA · EqA · UEQR · DRS · UZR | |
투·타 공통 | 실책 · WAR · WPA · cWPA · BABIP · VORP · 컴투스 프로야구 포인트 · 웰컴톱랭킹 | |
관련 문서 | 세이버메트릭스 · 투승타타 · 윤석민상 ( 김혁민상) | |
관련 사이트 | 스탯티즈 · KBReport · 베이스볼 레퍼런스 · 팬그래프 닷컴 |
1. 개요
미국에서는 Completed Game으로 표기.선발투수가 처음부터 경기가 종료할 때까지 모든 투구를 하면 완투라고 칭한다. 그 때문에 5회에 콜드게임으로 끝났어도, 연장이 진행돼서 14회까지 갔어도 선발투수가 끝까지 던졌으면 완투로 기록된다. 하지만, 일단 구원 투수가 올라갔으면, 그 직후 경기가 진행되지 않고 콜드게임으로 종료됐어도 완투로 기록되지 않는다.
완투는 승패와는 무관하다. 그래서 완투승뿐만 아니라 완투패도 존재하며, 한국의 경우 완투 무승부[1]도 존재한다.
2. 선발 투수의 완투
초창기 야구에서 선발투수는 "닥치고 완투"가 기본이었지만, 투수 보직이 점점 분업화되고 타자의 기량이 점점 상향 평준화되면서 "가급적 완투를 하는 것이 좋다."로 바뀌어갔고, 선발투수의 건강, 그리고 야구의 상식에 의거한[2] 투구수 관리까지 하는 현대의 야구에서는 "6 ~ 7회까지만 막아내면 이익이다"로 바뀌어서 완투는 어쩌다 한 번씩 상황이 받쳐줄 때만 발생하는 드문 이벤트가 되었다. 실제로 2006년 이후 KBO에서는 한 경기도 완투한 투수가 없는 팀이 한두 팀 정도는 꼭 있다. 아주 드물게 전날 투수를 모두 소진해 버려서 신나게 쳐맞든 말든 그냥 내버려둬서 완투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이런 이닝 이터의 면모를 가진 선수들은 보통 팀의 에이스 자리를 맡으며, 불펜 소모를 줄이는 역할도 하게 된다. 외에도 어쩌다 한두 번 운빨로 완투를 하는 투수들도 있지만, 꾸준하게 완투 경기를 한다는 것은 그만큼 체력, 타자를 농락하는 두뇌, 투구수를 줄이는 경제적 투구 등이 뒷받침된다는 의미이므로 곧 그 투수의 실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단적으로 일본의 시즌 최고 투수에게 수여하는 사와무라상의 수상 조건 중 하나가 10완투이다.
통산 1만패에 빛나는 모 메이저리그 팀의 경우 특정 에이스 세 명만 나오면 중간계투 따위 없는, 다시 말해 불펜 노는 날이 되어버린다. 더욱 무서운 건 그 세 명이 평균 투구수가 100~110구 정도이며 그렇게 던져도 구위나 제구력이 떨어지는 일이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그라운드볼을 엄청나게 뽑아내면서도 9이닝당 많게는 8개 꼴로 삼진을 솎아내면서 9이닝당 볼넷이 1~2개밖에 안된다. 답이 없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부터는 MLB에서도 완투를 좀처럼 보기 힘들어졌다. 완투가 한 번도 없는 팀도 그리 드물지 않을 정도. 심지어 노히터 중인 투수가 강판당할 때도 있다. 이런 흐름 속에 2022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역대 3번째 포스트시즌 노히터가 팀 노히터로 기록되는 진풍경이 나타나기도 했다. KBO에서도 이러한 흐름이 나타나는 것은 동일하다. 9이닝 퍼펙트를 기록 중이던 윌머 폰트가 10회말 퍼펙트 승리 기회를 잡았는데도 가차없이 강판당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나마 완투 문화가 살아있는 곳은 NPB. 전반적으로 타자보다 투수들의 수준이 더 높으며, 6선발 체제가 기본인 덕에 선발 투수가 100구 이상을 던지며 긴 이닝을 맡는 것이 미덕으로 통하며 아직도 에이스급의 선수들이 4~5회 남짓한 완투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일본에서도 사사키 로키가 8이닝 퍼펙트로 막는 중인데도 팀이 무득점 중이자 9회 직전에 강판당하는 등 기록보다 투구수 관리를 신경쓰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프로와는 달리 선수층이 얇은 아마추어 경기에서는 특정 선수 한 명이 독보적으로 잘 하는 팀이 많기 때문에 여전히 자주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대부분 혹사의 대상이 되며, 이로 인해 아마추어에서는 완투+4번타자까지 북치고 장구치고 하다가 정작 프로에 온 후로는 몸이 망가진 상태라 별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는 선수들도 많다. 한국은 물론 일본에서도 이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고, 미국도 유망주 풀이 워낙 넓기 때문에 눈에 잘 안 띌 뿐 아마추어 시절의 혹사로 선수 생명이 일찍 끊어지는 이들이 꽤 된다.
3. 완투와 관련된 기록
3.1. 메이저 리그
MLB 양대리그의 시즌별 완투 1위 목록. 80년대를 기점으로 20-30 완투가 점점 없어지다가 2000년부터 10완투 이상은 2008년의 CC 사바시아[3]와 2011년의 제임스 실즈밖에 없다. 그 이전의 기록을 보면 얼마나 지독하게 투수들이 갈려져 나갔는지 볼 수 있다. 로빈 로버츠, 워렌 스판과 같은 소수의 선천적 고무팔 투수를 제외하고 시즌별 완투 기록을 세운 대부분의 투수들이 오래 버티질 못했다. 그렇다고 그 대가로 지금의 MLB 선수들처럼 평생 먹고 살 수 있는 돈을 벌은 것도 아니다. 아프면 그냥 진통제 먹고 뛰던, 낙후된 인권과 스포츠 과학이 빚어낸 잊혀진 비극이라고 할 수 있다.오로지 사이 영만이 700 완투 이상을 기록했는데, 이건 데드볼 시대 당시에도 정말 믿기지 않는 기록이어서 그의 엄청난 체력이 자주 회자됐다.
여담으로, 최후의 100완투 투수가 바로 랜디 존슨이다.
3.2. KBO 리그
KBO 리그에서는 완투는 아닌데 완봉인 경기도 두 경기가 있었다. 선발 투수가 한 타자를 상대하고 허리를 삐끗해 교체되어 올라온 선수가 나머지 27명의 타자를 전부 잡아 승리하기도. 공식적으로는 완투가 아니라 합작 완봉승으로 기록하고, 노히트 노런항목에도 나오지만 이런 식으로 합작 노히트 게임이 나온 적도 있다.박철순이 1982년 3월 28일 MBC를 상대로 완투승을 거둔 것이 KBO 최초의 완투 기록이자 완투승 기록이다.
KBO 리그에서 가장 많은 완투를 한 선수는 전 롯데 자이언츠 선수인 윤학길이다. 무려 100완투를 했으며 통산 117승 중 75승이 완투승이다. 2위는 최동원의 80완투.
MBC 청룡에서 활동한 투수 오영일은 1984년 5월 1일 전주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MBC 청룡 VS 해태 타이거즈 경기에서 무려 9실점을 하고도 완투승을 기록해 역대 KBO 최다 실점 완투승을 기록했다. 공동 2위 기록인 8실점 완투승도 이 선수가 기록했다.
완투경기는 경기의 결과 및 투구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완투승: 선발 투수가 끝까지 던지고 이겼다. 위에 언급된 오영일의 사례처럼 몇 점을 내주더라도 선발로 등판해서 경기 끝날 때까지 마운드를 지켜서 이겨내면 완투승 기록이 남는다.
- 완투패: 끝까지 던졌는데 점수를 내주고 졌다. 팀이 선공인 경우[4] 8이닝만 던지고도 패전을 기록할 수 있다.
- 완봉승: 점수를 내주지 않고 이겼다. 단, 이는 구원 투수가 기록할 수도 있긴 하다.[5]
- 완봉: 투수가 점수를 내주지 않고 1회의 첫 아웃부터 마지막 아웃까지 경기를 마무리한 경우이며, 강우콜드에 의한 '완봉 무승부'는 비교적 자주 발생한다.[6]
- 완투완봉: 선발 투수가 완투와 동시에 완봉을 기록한 경우
- 완투완봉승: 선발 투수가 완투와 동시에 완봉을 기록하고, '승리'도 기록한 경우
- 노히트 노런: 안타를 맞지 않고 점수도 내주지 않고 이겼다. 볼넷, 몸에 맞는 공, 야수의 실책 등 안타가 아닌 방법의 출루는 허용할 수도 있다. 메이저리그에서는 이것을 공식 기록으로 넣지 않고 이것의 하위 개념인 노히터를 넣는다. 바로 아래 참조.
- 노히터: 9이닝 이상 진행된 경기에서 무안타로 틀어 막고 경기가 종료되었다. 승패는 무관하며 완투가 아니어도 가능하다.[7] 타자가 1루에 살아나가거나 점수를 내주긴 했지만, 그 방법이 안타가 아니면 된다. 다만, 특별히 언급이 없다면 노히터는 승리한 경우를 의미한다.
- 노히터 패전: 안타를 하나도 안 맞았는데 다른 방법으로 실점을 허용하고 졌다. 그런데 실점이 노히터 경기에서 나오고, 그 와중이 자신의 팀은 점수를 못내고 있다면.... 켄 존슨의 노히터 패전. 상대팀 입장에서는 무안타 승리 를 기록하게 된다.
- 노히터 무승부: 안타를 하나도 안 맞고 무승부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참고로 MLB 에서는 원칙적으로 무승부가 없지만, 시범경기에서 노히터 무승부가 나왔다. 관련기사
- 퍼펙트 게임: 단 한 명의 상대 선수도 1루로 보내지 않고 27번의 공방으로만 승리하는 경우. MLB에서는 완투가 아니어도 성립되긴 하는데 역대 퍼펙트 게임 중 완투가 아닌 사례가 없었다. 일본프로야구에서는 일본시리즈 역사상 가장 논란이 될 법한 경기인 야마이 다이스케- 이와세 히토키 합작 퍼펙트게임이 있긴 하지만 일본에선 합작 기록을 인정하지 않기에 비공식이다. KBO 리그에서는 2022년 현재까지 퍼펙트 게임 사례가 없다. 다만 이용훈이 2011년 KBO 퓨처스리그에서 기록을 세운 바 있다. 윌머 폰트가 2022시즌 개막전에서 9이닝 퍼펙트를 달성했으나 팀이 점수를 내지 못 해(...) 10회에는 올라오지 않아 공식 퍼펙트 게임이 아닌 정규이닝 퍼펙트에 만족해야 했다. 뒤이어 올라온 김택형이 볼넷을 허용하면서 팀 퍼펙트도 아깝게 무산되고, 팀 노히트노런을 기록했다.
3.3. 일본프로야구
단일 시즌 최다 완투 기록은 1947년 벳쇼 타케히코(당시 등록명은 벳쇼 아키라)가 기록한 47완투(등판 55회)이며, 2017 시즌 종료 후를 기준으로 현역 선수 중에서는 마쓰자카 다이스케가 72완투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1세기 단일 시즌 최다 완투 기록 역시 2005년 마쓰자카 다이스케의 15완투이다. 2위는 2011년 다나카 마사히로의 14완투.해가 지날수록 조금씩 줄어들고는 있지만 여전히 메이저 리그나 KBO 리그에 비하면 확실히 완투가 많은 편이다. 엔트리도 28인으로 메이저리그나 KBO 리그에 비해 넉넉해서 6선발 로테이션을 돌리는 팀들이 많고 에이스급 투수들은 한계투구수도 120개 정도로 설정될 정도로 완투를 염두에 둔 운용을 한다. 2017시즌 최다 완투는 노리모토 다카히로로 8완투를 기록했고, 5번 이상 완투를 한 투수가 양 리그 합쳐 5명이나 된다. 반면 같은 해 KBO리그의 개인 최다 완투 횟수는 겨우 2회였고, 리그 전체의 완투를 다 합쳐도 겨우 24번밖에 없었다.
2020시즌 주니치의 오노 유다이는 6경기 연속 완투를 포함해 10완투를 기록했다. 그 중 완봉승은 6회, 당당히 사와무라상을 수상했다. 코로나로 120경기만 치러졌던 단축시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에이스의 면모를 선보였다.
2023시즌 요미우리의 토고 쇼세이는 4번의 완투를 기록했는데, 그 중 무려 두 번이나 140구 이상을 던졌다.[8] 심지어 9월 주니치전에서 140구를 던지며 10이닝 무실점을 기록했으나, 양 팀 모두 단 한점도 내지 못하며 노 디시전, 완투로 기록되지 못했다.
일본프로야구 통산 완투 1위에 빛나는 가네다 마사이치는 1951년부터 1964년까지 1959년 단 한 해를 제외하고 빠짐없이 20완투 이상을 기록한 바 있다.
4. 완봉
링크 참조5. 완투 순위
- MLB 완투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순위 | 선수명 | 완투 수 |
1 | 사이 영 | 749 |
2 | 퍼드 갤빈 | 646 |
3 | 팀 키프 | 554 |
4 | 키드 니콜스 | 532 |
5 | 월터 존슨 | 531 |
6 | 바비 매튜스 | 525 |
미키 웰치 | ||
8 | 올드 호스 레드번 | 488 |
9 | 존 클락슨 | 485 |
10 | 토니 뮬렌 | 468 |
11 | 짐 맥코믹 | 466 |
11 | 거스 웨이힝 | 449 |
13 | 피트 알렉산더 | 436 |
14 | 크리스티 매튜슨 | 435 |
15 | 잭 포웰 | 422 |
16 | 에디 플랭크 | 410 |
17 | 윌 화이트 | 394 |
18 | 아모스 루시 | 393 |
19 | 빅 윌리스 | 388 |
20 | 토미 본드 | 386 |
- KBO 완투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순위 | 선수명 | 완투 수 |
1 | 윤학길 | 100 |
2 | 최동원 | 81 |
3 | 장호연 | 79 |
4 | 선동열 | 68[9] |
5 | 김시진 | 67 |
6 | 이강철 | 65 |
7 | 송진우 | 64 |
조계현 | ||
장명부 | ||
10 | 이상군 | 62 |
- NPB 완투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순위 | 선수명 | 완투 수 |
1 | 가네다 마사이치 | 365 |
2 | 빅토르 스타르핀 | 350 |
3 | 스즈키 게이시 | 340 |
4 | 벳쇼 다케히코 | 335 |
5 | 고야마 마사아키 | 290 |
6 | 야마다 히사시 | 283 |
7 | 와카바야시 다다시 | 263 |
8 | 요네다 데쓰야 | 262 |
9 | 노구치 지로 | 259 |
10 | 히가시오 오사무 | 247 |
11 | 후지모토 히데오 | 227 |
12 | 하세가와 료헤이 | 213 |
13 | 사나다 주조 | 211 |
14 | 가지모토 타카오 | 202 |
15 | 무라야마 미노루 | 192 |
16 | 나카오 히로시 | 184 |
16 | 무라타 쵸지 | 184 |
18 | 이나오 가즈히사 | 179 |
19 | 호리우치 츠네오 | 178 |
20 | 가와사키 도쿠지 | 172 |
[1]
별로 큰 의미가 있는 건 아니지만, 우천에 의한 완투 무승부는 흔하다. 하지만
전설의 반열에 오른 경기도 존재한다.
[2]
100구 이상 던진 투수가 체력 소모때문에 안타를 맞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은 상식을 넘어 통계적으로도 증명이 되었다.
[3]
시즌 중반에 트레이드되어 기록이 쪼개졌다. 클리블랜드에서 3번, 밀워키에서 7번 완투했다.
[4]
즉 투구를 이닝 뒷부분에 하는 경우. 보통 원정 경기일 경우.
[5]
투수 1명이 기록하면 완봉승이라고 표현하고 2명 이상의 투수들이 돌아가면서 상대 타선에 점수를 내주지 않고 이기면 '영봉승' 내지는 '팀 완봉승'이라는 표현을 쓴다.
[6]
투수 개인 기록에 대한 설명이며, 팀 기록의 경우엔 등판한 투수의 숫자와 관계없이 무실점일 경우 완봉으로 기록된다.
[7]
MLB에서 역대 최다투수 노히트는 2003년 휴스턴 애스트로스가 양키스타디움에서 기록한 6명 합작 기록.
[8]
5월 9일 요코하마전 143구, 8월 3일 야쿠르트전 149구
[9]
NPB 0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