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0 18:15:20

수아킨

파일:수단 수아킨.jpg
구도심인 수아킨 섬의 풍경
파일:수아킨 수단 3.png
수아킨의 위성 사진. 가운데 아래 동그란 섬이 수아킨 섬이다.

1. 개요2. 역사
2.1. vs 아이다브2.2. 오스만 제국령 하베쉬 총독부2.3. 마흐디 운동의 진압 본부
3. 갤러리

1. 개요

아랍어 سواكن
베자어 Oosook
영어 Suakin / Sawakin

수단 공화국 동북부의 항구도시. 수와킨으로도 표기되며, 지명 아랍어 시장을 의미하는 '수크'가 와전된 결과로 추정된다. 하르툼에서 동북쪽으로 600여 km 떨어져 있다. 중세 ~ 근대 시기 에리트리아 마사와와 함께 수단 지역의 주요 항구였으나, 20세기 들어 북쪽 40km 지점에 세워진 포트 수단에 밀려 쇠퇴하였다. 현재 인구는 10만명이고, 매일 홍해 맞은편 제다와의 페리선이 운행한다. 시가지는 옛 중심이던 의 남쪽 방면 육지에 형성되어 있고, 동쪽 방면 육지에는 현대식 항구가 있다. 16- 19세기 오스만 지배를 거쳐 2018년 터키가 재차 99년간 수아킨 섬을 조차하려 하였으나 반려된 상태이다. 한편 수아킨 만은 수단의 몇 안되는 늪지대로, 2009년 람사르 습지에 등록되었다.

2. 역사

프톨레마이오스 홍해의 긴 항해 후 당도하는 곳으로 묘사한 '좋은 희망의 항구' 희망봉가 이곳으로 추정된다. 다만 고대 홍해의 주요 항구는 아스완의 외항이던 베레니케였다. 다만 이슬람 제국기에 들어 메카 성지순례가 중요해지며 메카 관문인 제다와 홍해를 사이에 두고 있는 수아킨은 수단 지역 순례객들이 거쳐 가는 도시로 성장하였다. 한편 이집트의 무슬림들은 순례 시에 수에즈 룩소르의 외항 알 쿠세이르, 메카/ 메디나와 모두 가까운 아이다브를 주로 거쳤다. 10세기 알 하다니는 수아킨을 언급하며 이미 고대의 마을이라고 묘사하였고, 현지 베쟈족이 거주하였다. 본래 기독교도였던 베쟈 족에 따라 기독교 도시였던 수아킨은 바누 칸즈 등 무슬림 부족들이 이주하며 서서히 이슬람화되었다. 12세기 무렵 남쪽의 바디가 버려진 후 수아킨은 수단 지역의 주요 항구가 되었고, 십자군- 몽골의 침공으로 시리아- 이라크의 무역로가 쇠퇴하며 홍해 무역이 활성화되자 더욱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2.1. vs 아이다브

파일:엘게이프 모스크 수단.jpg
육지 구역의 엘 게이프 모스크

13세기 수아킨의 무슬림 술탄 알라 앗 딘 알 아스바니는 이집트로 향하다 근해에서 침몰한 상선의 물품을 취하여 맘루크 왕조의 술탄 바이바르스의 분노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1264년 쿠스 총독이 장군 이크민 알라 앗 딘을 파견해 아이다브의 주민들과 함께 수아킨을 공격하였고, 술탄 알 아스바니는 도주하였다. 이후 수아킨과 아이다브의 갈등이 시작되었고, 1317년 수아킨은 공식적으로 맘루크 조에 복속하였다. 1332년 일대를 지난 이븐 바투타는 수아킨의 술탄 앗 샤리프 자이드 이븐 아비 누마이 이븐 아즐란이 메카 샤리프의 아들로, 현지 베쟈인 왕공의 사위가 된 후 계승하였다고 기록하였다. 1426년 이번에는 아이다브에서 선박 약탈 사건이 발생하자 맘루크 술탄 바르스바이가 도시를 파괴하였고, 그 난민들은 양분되어 동골라와 수아킨으로 항하였는데 후자의 행렬은 수아킨 주민들에게 학살당하였다. 한편 14세기부터 수아킨과 마사와에는 베네치아 상인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2.2. 오스만 제국령 하베쉬 총독부

파일:수아킨 수단 3.jpg 파일:수단 수아킨 성벽.jpg
1541년 포르투갈 측이 그린 수아킨 오스만 시기 수아킨 성벽

15세기 잠깐 아달 술탄국의 지배를 거친 후 1513년 포르투갈의 포위를 당하였다. 1517년 이집트를 정복한 오스만 제국은 명목상으로 맘루크 조에 이어 수아킨의 복속을 받았다. 다만 그 지배는 형식상에 그쳤고, 1541년에 도시는 수에즈 원정 중이던 포르투갈 함대에게 일시 점령되기도 하였다. 마침내 홍해 연안에 대한 지배력을 확립하기 위해 오스만 조정 1555년 하베쉬 주를 신설하며 수아킨을 그 주도로 삼았다.

오스만 지배 하에 수아킨에는 샤피이파 하나피파 모스크와 성벽이 재건되었고, 새로운 건물들과 도로가 세워졌다. 다만 17세기 이후 오스만 제국이 쇠퇴하고 인도양 무역을 오만 제국이나 서양 국가들이 통제하기 시작하며 수아킨은 쇠퇴하였다. 내륙의 센나르 술탄국과의 교류와 순례객들의 방문 정도만이 이어졌고, 19세기에 방문한 스위스 여행가는 시가지의 2/3이 폐허 상태라고 기록하였다.

2.3. 마흐디 운동의 진압 본부

파일:수아킨 수단 1.jpg
폐허로 남은 수아킨 섬의 구도심

1865년 이집트의 이스마일 파샤는 오스만 조로부터 수아킨을 넘겨받은 후 새로운 가옥과 모스크, 방앗간, 병원, ( 콥트교도 이주민을 위한) 교회 등을 세우며 도시 재건에 나섰다. 그러나 1876년 에티오피아와의 전쟁에서 패한 후 이집트는 일대를 점차 포기하였다. 그리고 1882년 마흐디 운동 당시 수아킨은 영국군의 주요 거점이 되었고, 영국 주둔군은 키치너 경의 지휘 하에 마흐디 군의 긴 포위를 견뎌내었다. 1884년 3월 이집트로 향하다 수아킨에 정박한 오스트리아 군단 역시 마흐디 운동 진압에 동원되었고, 이듬해 3월에 당도한 770인의 호주 민병대 역시 5월 중순까지 복무하였다. 1899년 마흐디 운동이 진압된 이후 영국 당국은 연이은 전투로 파괴된 수아킨을 복구하는 대신 북쪽의 포트 수단을 새로 개발하여 수단의 주요 항구로 삼았고, 1922년까지 모든 영국군이 철수하였다. 수단의 독립 후로도 수아킨은 방치되었다가 2010년대 들어 튀르키예(터키)의 지원으로 복구되고 있다.

3. 갤러리

파일:수단 수아킨 폐허.jpg
옛 이집트 은행 유구
파일:수단 수아킨 2.jpg
옛 세관 유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