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4 08:01:12

함대

대한민국 해군의 지휘 제대(梯隊)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0080><colcolor=#fff> 계급 대위 소령 중령 대령 준장 소장 중장 대장
육상 부대 중대 편대 대대 전대 전단, 기지 (방어)사령부 함대, 잠수함사령부, 항공사령부 해군 작전사령부 해군참모총장
지휘관 중대장 편대장 대대장 전대장 전단장, 사령관 함대사령관, 잠수함사령관, 항공사령관 해군작전사령관
함정 4급함 3급함 2급함 1급함 - - -
지휘관 정장 함장 - - -
해병 부대 중대 대대 연대, 여단 여단 사단 해병대사령부 -
지휘관 중대장 대장 대대장 연대장, 여단장 여단장 사단장 해병대사령관
※둘러보기: 군사학교 }}}}}}}}}

1. 개요2. 한국의 해군 함대3. 타국의 함대4. 역사상 실존 함대5. 가상 함대

1. 개요

①해군에 해군함대(이하 “함대”라 한다)를 둔다.
②함대는 예속 또는 배속부대에 대한 작전·훈련과 관할구역안에서의 군 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해군함대령

함대는 관용적인 표현과 군사적인 표현 두 가지가 있다.

관용적인 표현에서 함대란 군함의 집단을 나타내는 일종의 단위로, 그 수에 제한은 없고 이론적으로 2척 이상의 군함이 모이면 함대라 칭할 수 있다.

군사적인 표현으로서의 함대란 함정은 물론 기타 육상부대와 때에 따라 항공기, 해병대가 포함되는 더 거대한 집단이다. 구 소련군처럼 통합군의 성격을 보이는 군의 해군일 경우, 해군이란 이름 없이 그냥 함대라고 부른다.[2] 보통은 제독 함대사령관이 지휘하며 사령관을 보좌하기 위한 참모들이 배속된다. 당연히 고속정 몇척밖에 없는 영세한 해군은 그보다 낮은 지위의 장교가 함대를 이끌기도 한다. 실례로 해군의 규모가 작아 단일 함대로만 구성된 국가들의 경우 해군을 의미하는 Navy와 함대를 의미하는 Fleet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SF 판타지 작품에서는 우주선을 모아서 함대로 만든 우주함대, 공중전함 같은 것을 모아서 만드는 공중함대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바다가 있고 아직 재래식 해군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해군의 함대와 구별되도록 앞서 언급한 명칭을 부르며, 재래식 해군이 없거나 유명무실하다면 그냥 함대로 통칭한다. 이러한 작품에 나오는 함대의 구성은 아직 현실에 우주함대나 공중함대가 없기 때문에 해군의 함대 구성을 사용한다. 우주군이라는 별도의 군사 조직으로 나오기도 한다.

SF나 판타지가 아닌 현실의 공군에서도 이 함대란 용어를 사용할 때가 있다. 가령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공군 루프트바페는 Luftflotte라는 편제를 썼는데 이를 '항공함대'라고 직역할 때가 있다. 한편으로 군용기가 아닌 민간항공 분야에서도 특정 항공사가 운용하는 항공기 집단이나 특정 기종 집단을 가리켜 함대에서 유래한 Fleet, 혹은 Airline Fleet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함대가 아니라 기단(機團)이라고 번역한다.

2. 한국의 해군 함대

대한민국 해군 해군작전사령부 예하에 3개의 함대를 두고 있으며, 각 함대 사령관은 소장이다. 그리고 잠수함으로 구성된 잠수함사령부가 함대와 동격이다.

각 함대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보다시피 대한민국 해군의 함대는 잠수함사령부를 제외하고는 일종의 연안 방어 부대에 가까운 성격을 띠는데, 이는 함정 숫자가 현재도 부족한 탓에 대형 함을 한곳에 모아 놓았다가 필요한 곳에 집중 투입하는, 이른바 기동전단 개념 때문이다. 따라서, 이름 있는 함정 대다수는 해군작전사령부 예하의 전단들에 속해 있고, 유사시 작전사령부에서 대형함들을 필요에 따라 보내준다. 각 함대에서 가장 큰 함정은 대구함,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이다.[3] 제7기동전단 정조대왕급, KDDX, CVX[4] 등이 추가되어 2~3개 전단 규모의 기동함대로 개편될 가능성이 크다.

각 함대는 전단급 부대인 해상전투단 아래 각 함종별(호위함·초계함·고속정)로 예하 함정들을 묶어 둔 전투전대( 대령이 지휘한다.) 3개와 지원을 위한 전대들(기지방호전대·훈련전대·군수전대) 및 관할 해역 및 도서 지역 등의 감시를 위한 여러 부대들을 휘하에 둔다. 바다에서만 움직인다는 생각을 많이 하지만, 예하 항만 및 육상 시설 관리 및 유지, 조기경보전대 전탐감시대 등을 활용한 도서 지역 방어, 관할 구역의 예비군 관리 등의 임무도 맡고 있으며, 동해합동작전지휘소 같은 민통선 안쪽의 육상 부대를 관리하기도 한다.

소장이 지휘한다는 점에서 지휘관 계급으로는 육군 사단과 동격이지만, 함대 하나의 작전 범위가 바다 하나로 매우 넓기 때문에 실제로는 군단과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 공군도 마찬가지로, 공군의 연락장교나 공군항공지원작전단 소속 파견대는 함대급으로 간다. 육군이 함대에 보내는 연락 장교도 군단에서 오고 관할 지역에 육군의 군단 편제가 없는 3함대라도 제2작전사령부에서 연락 장교를 보내지, 휘하 사단에서 보내지 않는다.

3. 타국의 함대

3.1. 미합중국 해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서태평양 서대서양 동태평양 남아메리카
제1함대 파일:second fleet.png
제2함대
파일:external/www.trophyexpress.com/3rdfleet.jpg
제3함대
파일:4th fleet.jpg
제4함대
인도양 동대서양 서태평양 함대사이버사령부
파일:5th fleet.png
제5함대
파일:6th fleet.jpg
제6함대
파일:United_States_Seventh_Fleet_insignia,_2016.png
제7함대
파일:1920px-United_States_Tenth_Fleet.png
제10함대
}}} }}}}}} ||

대양이나 지역명칭이 붙는(해역함대) 지역별 해군구성군사령부는 대장, 숫자 함대(서수함대)는 통상 중장이 사령관으로 보임되나, 제4함대만은 규모가 작은 관계로 소장이 사령관으로 보임된다. 또한 4, 5, 10함대는 함대사령관이 그 지역의 해군구성군사령관까지 겸임한다.

3.2. 러시아 해군

3.3. 해상자위대

흔히 각 호위대군을 함대급 부대로 착각하지만, 호위대군은 전단급이며 네 개의 호위대군은 호위함대 소속으로 존재한다. 이 호위함대 잠수함대, 항공집단 등이 모여 자위함대를 구성하는데, 자위함대는 함대의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해군작전사령부에 상당하는 부대다.

3.4. 인민해방군 해군

4. 역사상 실존 함대

5. 가상 함대



[1] 한국에서 함대란 곧 군함들의 집단을 뜻하며, 상선들의 집단은 보통 선단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영단어 'Fleet'은 군함은 물론 상선들의 집단에도 쓸 수 있는 단어다. [2] 소련과 러시아는 육군 해군이란 명칭 대신 지상군, 공군, 방공군, 전략로켓군, 해군 비승함 직별이 속한 소비에트 군대와 해군 함선들이 속한 소비에트 함대로 구분했다. [3] 원래는 광개토대왕함은 1함대, 을지문덕함은 2함대, 양만춘함은 3함대에 배속되었으나,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2함대가 증강되면서 양만춘함도 2함대로 넘어갔다가 2015년에 1함대로 재배속, 그러다가 2023년에 DDH-1의 노후화와 북괴도발 대응으로 인한 DDH-2 파병중지로 광개토대왕과 양만춘이 청해부대로 또 재배속되어 현재 1함대와 3함대에는 DDH-1이 없으며, 2024년부로 을지문덕도 청해부대로 재배속되어 2함대에서 곧 사라질 예정이다. [4] 23년부로 사업중지에 가까운 상태라서 나올 가능성이 불명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