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14388><tablebgcolor=#21438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14388><tablebgcolor=#214388>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네바다 | 네브래스카 | ||
노스다코타 | 노스캐롤라이나 | |||
뉴멕시코 | 뉴욕 | |||
뉴저지 | 뉴햄프셔 | |||
델라웨어 | 로드아일랜드 | |||
루이지애나 | 매사추세츠 | |||
메릴랜드 | 메인 | |||
몬태나 | 미네소타 | |||
미시간 | 미시시피 | |||
미주리 | 버몬트 | |||
버지니아 | 사우스다코타 | |||
사우스캐롤라이나 | 아이다호 | |||
아이오와 | 아칸소 | |||
알래스카 | 애리조나 | |||
앨라배마 | 오리건 | |||
오클라호마 | 오하이오 | |||
와이오밍 | 워싱턴 | |||
패티 머리
상원 임시의장 |
||||
웨스트버지니아 | 위스콘신 | |||
유타 | 인디애나 | |||
일리노이 | 조지아 | |||
캔자스 | 캘리포니아 | |||
켄터키 | 코네티컷 | |||
콜로라도 | 테네시 | |||
텍사스 | 펜실베이니아 | |||
플로리다 | 하와이 | |||
* 2023.01.08 네브래스카
벤 새스 사직 * 2023.09.29 캘리포니아 다이앤 파인스타인 사망 * 2024.08.20 뉴저지 밥 메넨데즈 사직 |
셰러드 브라운 관련 틀 | |||||||||||||||||||||||||||||||||||||||||||||||||||||||||||||||||||||||||||||||||||||||||||||||||||||||||||||||||||||||||||||||||||||||||||||||||||||||||||||||||||||||||||||||||||||||||||||||||||||||||||||||||||||||||||||||||||||||||||||||||||||||||||||||||||||||||||||
|
제46대 오하이오주 국무장관 | |||
제110-118대 연방상원의원 셰러드 브라운 Sherrod Brown |
|||
|
|||
<colbgcolor=#0044C9><colcolor=#fff> 본명 |
셰러드 캠벨 브라운 Sherrod Campbell Brown |
||
출생 | 1952년 11월 9일 ([age(1952-11-09)]세) | ||
미국 오하이오주 맨스필드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거주지 |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 ||
현직 |
제118대 연방상원의원 상원 은행·주택·도시위원회 위원장 |
||
재임기간 | 제46대 오하이오주 국무장관 | ||
1983년 1월 12일 ~ 1991년 1월 14일 | |||
서명 | |||
링크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44C9><colcolor=#fff> 부모 |
아버지 찰스 게일리 브라운 어머니 에밀리 브라운 |
|
형제자매 | 형 찰스 게일리 브라운 3세[1] | ||
배우자 |
라크 리키에 (1979년 결혼 1987년 이혼) 코니 슐츠[2] (2004년 결혼) |
||
자녀 | 2명[3] | ||
학력 |
맨스필드 고등학교 (
졸업) 예일 대학교 (러시아학 / B.A.)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 교육학 / M.A)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 행정학 / M.P.A.) |
||
직업 | 정치인 | ||
종교 | 루터교 | ||
정당 |
|
||
지역구 |
오하이오 (상원) 오하이오 제13선거구 (하원) |
||
의원 선수 |
3 (상원) 7 (하원) |
||
의원 대수 |
110,
113,
116 (상원) 103, 104, 105, 106, 107, 108, 109 (하원) |
||
소속 위원회 | 은행·주택·도시위원회 (위원장) | ||
경력 |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맨스필드캠퍼스 교수 오하이오주 민주당 대표 오하이오 주하원의원 (제61선거구) 제46대 오하이오주 국무장관 제103-109대 연방하원의원 하원 에너지·상업위원회 에너지·상업보건소위원회 간사 제110-118대 연방상원의원 상원 농업·영양·입업위원회 농업소위원회 위원장 상원 은행·주택·도시위원회 간사 공동 다중 고용주 연금지급위원회 공동위원장 제16대 상원 은행·주택·도시위원회 위원장 (2021년 2월 3일 ~ 현직) |
}}}}}}}}} |
[clearfix]
1. 개요
미합중국의 정치인으로 현직 오하이오 주 연방 상원의원이다.현재 주 전체를 대상으로 선출하는 선출직[4] 중 유일하게 민주당 소속이다.
2. 생애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교육학과 행정학을 전공한 이후 오하이오 주립대의 맨스필드 분교에서 1971년부터 강사로 활동하면서 교육자로 사회 생활을 시작했다.이후 지역 민주당 지도부와 접촉하면서 정계에 본격적으로 입문하게 됐고, 1974년 당시 최연소 주하원의원으로 선출되면서 선출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어 1982년에는 공화당의 버질 브라운(Virgil Brown)을 누르고 주 국무장관까지 올랐고, 4년뒤에는 득표율을 한단계 올리면서 무난하게 재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1990년에는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대통령의 증손자인 밥 태프트에게 패하면서 3선 도전에는 실패하고 주 정부와는 거리를 두게 되었다. 아무래도 오하이오 출신 전직 대통령 가문의 정치인[5]을 상대하다보니 지명도에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한편 밥 태프트는 이후 승승장구해 제67대 주지사까지 오르게 된다.
하지만 이것이 오히려 연방 공직으로 나설 기회가 되었는데, 아예 거주지를 태어나 평생을 살아온 맨스필드에서 로레인으로 옮겨 연방 하원의원 선거에 도전하게 됐다. 당시 현직 의원이었던 8선의 돈 피즈가 은퇴를 선언하면서 지역구가 공석이 되었고, 민주당 세가 매우 강한 클리블랜드[6] 서부와 남부 교외를 선거구로 둔만큼 민주당 경선이 사실상 본선으로 취급받았다.
결국 경선에서 가까스로 승리하고 본선에서는 공화당의 마거릿 R. 뮬러(Margaret R. Mueller)를 큰 차이로 누르고 승리해 연방 하원에 입성했다. 이후 내리 6선에 성공하는데, 이 과정에서 1994년 민주당이 매우 오랜만에 연방 하원 다수당 지위를 상실하는 아픔을 같이 맛봤다.
하원의원 시절에는 결핵 퇴치 문제에 앞장서 관련 기금을 증액하는데 주력했으며 동성결혼을 막으려는 오하이오 주헌법 수정에 반대하고, 1996년 이성결혼만을 인정해 성소수자들을 전혀 배려하지 않은 결혼보호법(Defense of Marriage Act)에 대하여도 반대표를 던졌다. 하지만 하원 다수당을 공화당이 차지한 상황인지라 결국 의회를 통과했고, 동성결혼은 추후 2015년 연방대법원 판결로 인해서야 겨우 인정되었다.
2006년에는 무대를 바꿔 연방 상원의원 직에 도전하기로 했다. 공화당 소속으로 재선에 성공한 마이크 드와인 의원[7]과 중간선거에서 맞붙었는데 조지 W. 부시 행정부에 대한 심판론의 도움을 받아 무난히 승리를 거두면서 드디어 상원의원으로 입성에 성공했다. 이후 2012년과 2018년에도 재선에 성공, 3선 상원의원으로 재직 중에 있다.
현재 우경화가 캔자스나 미주리만큼 진행된 오하이오에서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란 예측이 있지만, 여론조사에서는 모든 공화당 유력주자들을 상대로 우세를 보이고 있고 브라운의 인기가 오하이오에서 매우 높기 때문에 주요 선거예측가들은 경합으로 보고 있는 상태였으나[8] 브라운 개인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의 지지율 변화가 일어나면서 낙선하고 말았다.
브라운 본인이 선거 과정에서 해리스가 8%p 정도 뒤지는 정도의 지지율 격차라면 개인기로 극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평했는데, 실제 해리스는 트럼프에게 11%p 차로 오하이오에서 트럼프에게 패했고, 브라운 본인도 4%p 차로 아쉽게 무릎을 꿇었다. 대략 7%p 정도 차이인 셈이니 브라운 본인 말이 맞은 셈.
본인도 2024년 11월 15일 폴리티코와의 인터뷰에서 모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며 2026년 보궐선거 출마에 대해서 운을 띄웠다. #
3.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82 | 미국 오하이오주 국무장관 선거 | 오하이오 |
|
1,739,602 (53.60%) | 당선 (1위) | 초선 |
1986 | 미국 오하이오주 국무장관 선거 | 1,805,833 (59.72%) | 당선 (1위) | 재선 | ||
1990 | 미국 오하이오주 국무장관 선거 | 1,604,058 (46.99%) | 낙선 (2위) | |||
1992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오하이오 제13구 | 134,486 (53.31%) | 당선 (1위) | 초선 | |
1994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93,147 (49.08%) | 당선 (1위) | 재선 | ||
1996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46,690 (60.49%) | 당선 (1위) | 3선 | ||
1998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16,309 (61.55%) | 당선 (1위) | 4선 | ||
2000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70,058 (64.59%) | 당선 (1위) | 5선 | ||
2002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23,025 (68.97%) | 당선 (1위) | 6선 | ||
2004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201,004 (67.43%) | 당선 (1위) | 7선 | ||
2006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오하이오 | 2,257,485 (56.17%) | 당선 (1위) | 초선 | |
2012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2,762,690 (50.70%) | 당선 (1위) | 재선 | ||
2018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2,358,508 (53.40%) | 당선 (1위) | 3선 | ||
2024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 (%) | 낙선 (2위) |
4. 여담
[1]
제30대
웨스트버지니아주 법무장관
[2]
1957년 7월 21일생. 미국의
칼럼니스트이자
데니슨 대학교
언론학 교수.
[3]
딸 엘리자베스는
콜럼버스 시의회의 임시의장이었고 7년 동안 시의회의원이었다.
[4]
마이크 드와인 주지사, 프랭크 라로즈 국무장관,
J. D. 밴스 연방 상원의원이 모두 공화당 소속이다.
[5]
태프트 대통령은 오하이오 주의
신시내티 출생이다.
[6]
오하이오주가 사실상 레드 스테이트화 된 지금도 클리블랜드만큼은 시장이 민주당 소속이고, 시의원 17명도 모두 민주당 소속이다.
[7]
낙선 이후 주 법무장관(혹은 검찰총장)을 거쳐 현재 오하이오 주지사를 지내고 있다.
[8]
2018년의 조 맨친(웨스트버지니아)이나 2020년의 수전 콜린스(메인)와 비슷한 상황이라는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