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7:20

북한-몽골 관계

몽골-북한 관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만주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아메리카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기타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북러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북중러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내몽골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만주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러시아·몽골·중국
과거의 대외관계
여몽 관계 여요관계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북한 몽골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2.2. 21세기
3. 상호 교류4. 교통 교류5. 대사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북한 몽골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역사적 관계

북한의 2번째 수교국일 정도로 공산정권 시절에는 상당히 친밀했었다.[1] 이후 1980년대까지만 해도 꽤나 교류가 있던 상황이었고 북한 영화가 꽤나 인기를 끌기도 했지만 1990년대 이후 몽골이 민주화를 통해 체제를 전환하여 대한민국과 수교하고 북한의 경제가 몰락하면서 현재는 데면데면한 관계로 남아 있다.

2.1. 20세기

1995년 북한과 몽골은 농산물 수입검역협정에 체결했다. #

1996년 북한 외교부와 몽골 외무부는 평양에서 외교부문 협조합의서를 채택했다. #

1999년 7월 김대중 한국 대통령이 몽골을 방문하자 북한은 이에 불만을 갖고 몽골 정부를 비난했다. #

1999년 11월 몽골 총리는 북한을 방문했다. #

2.2. 21세기

2000년 몽골 학생이 남북한을 유학했다. #

2012년 9월 몽골 대통령은 북한의 경제개혁을 돕겠다고 밝혔다. #

2013년 차히아깅 엘베그도르지 당시 몽골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했으나 김정은이 만나주지 않아 정상회담을 하지 못했다. 이는 상당한 외교적 결례다.

방문 당시 엘베그도르지 대통령은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연설을 했는데 " 어떠한 폭정과 독재도 영원히 지속될 수 없습니다. 자유롭게 사는 것은 인간의 욕망이며, 이는 영원한 힘입니다."라는 등 평양 한복판에서 대놓고 독재를 비판하고 올바른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연설을 해서 화제가 되었다.[2]

2013년 4월 북한은 이란, 몽골에 원유와 식량을 요청했다. #

2022년 6월 북한은 몽골과 외교관계를 복원하기로 했다. #

2022년 11월 오흐나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이 김정은을 초청했다. #

2024년 3월. 몽골에서 북한-몽골 외교차관 회담이 열렸다. #

2024년 4월 오흐나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이 또다시 김정은을 초청했다. #

3. 상호 교류

코로나 팬데믹 이전까지 북한은 몽골에 매년 꾸준히 자국의 노동자들을 보냈다. 2016년 기준 1,000여명 정도의 북한 노동자가 몽골에 있으며, 대다수는 광산에서 일하고 있다. 몽골은 2018년 몽골 내의 북한 노동자들의 계약이 6월에 끝난다고 밝혔고 북한 노동자들의 철수 작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4. 교통 교류

현재 두 나라들을 잇는 항공 노선은 없다. 애초에 베이징, 선양, 블라디보스토크를 제외하면 평양발 국제선이 전무하고,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모든 국제선이 잠정 중단된 상태이다.

5. 대사관

북한은 울란바토르에, 몽골은 평양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6. 관련 문서



[1] 1948년 10월 15일 수교. 소련과의 수교 이후 단 3일 만에 수교하였다. [2] 엘벡도르지 전 대통령은 몽골의 민주화를 주도한 민주운동가 출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