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837><tablebgcolor=#008837><tablewidth=250>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중구(대구광역시)/행정|
동인청사 중구]] |
동구 |
서구 |
남구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북구(대구광역시)/행정|
산격청사 북구]]
|
수성구 |
달서구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62aa>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62aa><colcolor=#fff> 검단동 | 검단동 | ||
고성동 | 고성동1가 | 고성동2가 | 고성동3가 | ||
노원동 | 노원동1가 | 노원동2가 | 노원동3가 | ||
대현동 | 대현동 | ||
무태조야동 | 동변동 | 서변동 | 연경동 | 조야동 | ||
복현1동 복현2동 |
복현동 | ||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10%, #0062aa 10%, #0062aa); font-size: 1em;" ]]
산격동
|
||
칠성동 | 칠성동1가 | 칠성동2가 | ||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
[[북구청(대구)| 구청 ]]
침산동
|
||
관문동 | 금호동 | 노곡동 | 매천동 | 사수동 | 팔달동 | ||
관음동 | 관음동 | ||
구암동 | 구암동 | ||
국우동 | 국우동 | 도남동 | 동호동 | 학정동 | ||
동천동 | 동천동 | ||
읍내동 | 읍내동 | ||
태전1동 태전2동 |
태전동 |
1. 갑(甲) 선거구 지역
1.1. 고성동
관할 법정동은 고성동1~3가이다. 행정복지센터는 고성광명아파트 남편에 있다. 인구는 12,261명.[P]원래 태평로4가동(고성1가동)과 태평로5·6가동(고성2·3가동)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2] 1975년에 괄호 안의 이름으로 바꾸었으며, 1980년에 합동되었다. 고성동3가에 고성동우체국, DGB대구은행파크,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이 있다. 북대구우체국이 칠곡3지구로 이전한 관계로 고성동우체국이 이 지역 집배 루트의 중간보스를 하고 있어서 택배나 등기우편을 자주 반송시킨다면 눈에 익은 지역일 것이다. 그 외에도 북구 중에서 강북 지역과 무태 지역, 그리고 신천 기준 동쪽지역( 산격/ 복현/ 검단/ 대현)을 제외한 북구 일원의 전화 및 서구 원대동/비산동 일부 전화[3]를 관리하는 KT 북대구지사가 고성동3가 야구장 입구에 있다.
노후 주택가가 밀집한 지역이었으나 2020년대 들어 대구역 오페라 W(989세대), 힐스테이트 대구역 오페라(937세대), 대구 오페라 스위첸(854세대), 오페라 트루엘 시민의 숲(682세대) 등 대대적인 아파트 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북구청네거리 남쪽으로 3호선 북구청역이 고성동으로 통과하지만, 소재지는 길 건너 서구 원대동2가로 되어 있다. 어차피 서구와 양다리 걸친 위치이기 때문에, 낚시역명은 아니다.
- 1965년 행정동 태평로4가동, 태평로5·6가동 설치
- 1975년 태평로4가동을 고성1가동으로, 태평로5·6가동을 고성2·3가동으로 개칭
- 1980년 고성1가동, 고성2·3가동을 고성동으로 통합
1.2. 칠성동
관할 법정동은 칠성동1~2가이다. 인구는 21,630명.[P]대구역 북쪽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제일모직 등의 공장이 있었으나 철수하고 아파트단지 등으로 재개발되었다. 다만 일반적인 칠성동의 이미지는 칠성동1가에 있는 칠성시장이다. 그 외 경부선 대구역, 대구역 서희스타힐스(1,250세대), 침산 푸르지오 1차(1,149세대), 성광우방타운아파트(1,010세대), 삼성아파트(624세대), 오페라 삼정그린코아 더 베스트(578세대), 대구북부소방서, 대구오페라하우스, 이마트 칠성점이 있다. 학교는 옥산초, 경명여중, 경명여고, 칠성고가 있다.
- 1965년 행정동 칠성1가동, 칠성2가1동, 칠성2가2동 설치
- 1998년 행정동 칠성1가동, 칠성2가1동을 칠성1동으로, 칠성2가2동을 칠성2동으로 개편
- 1999년 칠성1동, 칠성2동을 칠성동으로 통합
1.3.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관할 법정동은 침산동이다. 침산을 중심으로 서쪽에 1동이 있고 동쪽에 2,3동이 있다. 1965년 1,2동이 먼저 설치되었고 70년에 1동에서 3동이 분리되었다. 2,3동은 고성동, 칠성동과 함께 대규모 재개발이 이뤄진 주거지역인 반면 1동은 공단지역으로 노원동과 생활권을 공유한다.- 침산1동: 인구는 3,607명.[P] 공단지역이 넓게 있고 침산 밑에 주거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침산공원이 있다. 학교는 경상여고가 있다.
- 침산2동: 인구는 17,237명.[P] 신천에 접해 있으며 침산 코오롱하늘채 1~2단지(1,349세대), 침산 화성파크드림(1,202세대) 등 아파트가 많다. 옛 제일모직 공장 부지를 활용하여 대구삼성창조캠퍼스가 조성되어 있다. 이 외 기독교대구방송이 있다. 학교는 칠성초가 있다.
- 침산3동: 인구는 18,313명.[P] 북구의 중심지로 북구청, 대구북부경찰서, 북대구세무서,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북부지사, 대구광역시립북부도서관 등의 공공기관들과 한국전력공사 대구본부, 근로복지공단 대구북부지사 등 공기업들이 있다. 또한 우방건설 본사와 연합뉴스TV 대구경북본부, 화성파크드림갤러리, 기술보증기금 북대구지점도 있다. 성북로를 기준으로 남쪽은 대한동아 침산무지개 1~2차(1,311세대), 명성푸르지오(746세대), 침산 청구타운 1차(542세대) 등 대부분 아파트단지인 반면 북쪽은 침산 쌍용예가 2차(657세대) 정도를 제외하면 주택과 빌라가 혼재되어 있다. 학교는 달산초, 침산초, 대구일중, 침산중이 있다.
1.4.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관할 법정동은 산격동이다. 1965년 1~3동이 설치되었고 92년 1동에서 4동이 분리되었다.- 산격1동: 인구는 7,945명.[P] 대략 연암산 서북쪽이라고 보면 되지만 정확치는 않다. 연암산을 공원화한 연암공원이 있으며 그 안에 구암서원이 있으며 소형평수로만 구성된 산격주공아파트(1,862세대)가 있다. 학교는 대산초가 있다.
- 산격2동: 인구는 9,864명.[P] 동북로 북쪽이 모두 해당된다. 대구우편집중국, 대구종합유통단지, EXCO가 있으며 향토기업인 인터불고 엑스코, NC아울렛 엑스코점, 코스트코 대구점이 있어 상업시설이 많다. 반면 동북로와 가까운 쪽에는 산격대우아파트(1,702세대) 등 아파트와 주택이 많다. 학교는 북대구초, 산격중이 있다.
- 산격3동: 인구는 8,430명.[P] 경북대학교 캠퍼스의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경북대학교 북문이 있어 그 앞쪽은 이른바 경대북문이라는 제법 큰 상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만큼 원룸도 많다. 대구교육박물관이 있다. 학교는 산격초가 있다.
- 산격4동: 인구는 7,432명.[P] 대구광역시청 산격청사가 있다. 이 부지는 원래 경상북도청이 있던 자리였으나 안동으로 이전한 뒤 지금과 같이 사용되고 있다. 추후 대구광역시청이 두류동으로 통합 이전하게 되면 이 부지는 대구도심융합특구 문화산업허브로 사용될 예정이다. 바로 옆에 대구실내체육관이 있으며, 나머지 지역은 평범한 주거지역이다.
1.5. 대현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과거 수성면에 속했던 곳이다. 인구는 16,056명.[P] 1975년 10월 1일 동구 신암3동·신암6동이 북구에 편입되면서 대현1동·대현2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3] 1979년 5월 1일, 대현2동이 대현2·3동으로 분할되었으나 인구 감소로 1998년 10월 12일 부로 대현2동에 다시 흡수되었으며, 2011년 7월 4일에 대현1·2동이 합동되었다.원래 동구에 속했던 곳이라 상수도 등 기반 시설들은 대부분 동구 쪽과 공유하고 있으며 전화 국번도 동구와 공용한다. 칠성교, 공고네거리에서 경대교로 가는 길목에 있는 동네다. 경북대학교 공과대학과 재정 기숙사[14]가 대현동 소재이며, 흔히 쪽문이라고 불리는 곳이 대현동이다. 아파트단지는 대현 한신휴플러스(751세대), 대현뜨란채아파트(736세대), 대현 e편한세상(527세대) 등이 있고 동대구시장과 농협중앙회 경북지역본부 쪽으로 대현3지구의 재개발이 진행되면서 센트럴파크 대현(1,106세대)이 건설되었으며, 경북대학교에 붙은 쪽은 빠른 속도로 원룸촌이 되고 있다. 학교는 신암초가 있다.
버스 정류장 이름이 될 정도로 역사가 오래 된 강남약국/강남당약국이 있다. 둘 중 원조는 길 건너 동구 신암2동의 강남약국으로, 버스정류장 이름을 보면 대현동 강남당약국 앞은 '강남약국 건너'이며, 맞은편 동구 신암2동의 강남약국 앞은 '강남약국 앞 1,2'정류장이다. 하지만 지금은 대현동 동대구시장 입구의 강남당약국이 성업 중이다.
전철노선이 직접 지나가는 동네가 아니지만, 대현동 중에서 동대구시장 일대 및 칠성교와 만나는 쪽에는 신천(칠성교)을 건너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칠성시장역을 이용할 수 있다. 공고네거리 쪽에서는 신천역도 이용할 수 있다. 신천역에서는 경북대학교 셔틀버스 정류장이 있다.
- 1965년 행정동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설치
- 1970년 행정동 신암1동에서 신암5동이, 신암3동에서 신암6동이 분리
- 1975년 신암3동과 신암6동이 북구로 이관, 신암3동을 대현1동으로, 신암6동을 대현2동으로 각각 개칭[15]
- 2011년 대현1동과 대현2동을 대현동으로 통합
1.6. 복현1동, 복현2동
관할 법정동은 복현동이다. 1990년 1,2동으로 분동되었다.- 복현1동: 인구는 6,985명.[P] 경북대학교 캠퍼스의 10% 정도가 해당된다. 만성 정체가 발생하는 복현오거리가 있다. 복현오거리 막창골목이 있으며 빌라와 저층 아파트가 굉장히 많다. 학교는 경진초가 있다.
- 복현2동: 인구는 29,212명.[P] 마찬가지로 복현오거리에 접해 있으며 1동과 달리 복현 푸르지오(1,199세대), 복현 블루밍브라운스톤 명문세가 1~2단지(788세대), 광명아파트(730세대), e편한세상 복현(620세대), 복현자이(594세대), 복현 아이파크(585세대), 복현 서한타운 2차(553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굉장히 많다. 이 지역도 개발된 지가 오래되었기 때문에 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복현 푸르지오, 복현 아이파크, 복현자이의 재개발 3대장이 있다. 주요 시설로 대구글로벌교육센터, 공항교강변공원, 대구안식원, 영진전문대학교, 영진사이버대학교가 있다. 학교는 문성초, 복현초, 대구북중, 복현중, 성화중, 경상고, 성화여고, 영진고와 특수학교인 대구이룸고, 대구성보학교가 있다.
1.7. 검단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과거 성북면에 속했던 곳이다. 인구는 5,797명.[P]금호강이 곡류하는 모퉁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검단일반산업단지가 위치해 있지만 서구 비산동에 있는 비산염색공단과 달서구에 있는 성서산업단지에 밀려 인지도가 듣보잡이다.
경부고속도로가 지나가며, 강 건너가 동구 불로동이기 때문에 대구국제공항과 인접하여 소음 피해가 큰 곳이다. 금호강 건너편으로 북구 동변동과 동구 불로동이 바로 보이지만, 검단동과 불로동을 연결해 주는 다리가 없다.[19] 따라서 공항교로 우회하여 불로삼거리로 가던지, 혹은 공항교 끝에 있는 금호강변로를 이용해야 한다. 검단동에서 무태로 가려면 대구종합유통단지나 산격대교로 우회해야 한다.
북쪽에 있는 검단들은 거의 허허벌판이지만 주변에 대구종합유통단지가 있고 금호강 건너편에는 이시아폴리스가 있으며 무엇보다 대구 도심 지역에 남은 몇 안 되는 노른자 땅으로 손꼽힌다. 대구시는 1974년 검단제2산업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했으나 무산됐고, 1995년 종합물류단지 계획도 영남권 내륙화물기지가 경북 칠곡군에 건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서 민자투자 유치 실패로 흐지부지됐다. 이후 대규모 테마파크 조성, 로봇산업클러스터 부지,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지, 시외버스터미널 부지[20]로 거론된 바 있지만 구체화되지 못했다. 검단들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주민들은 개발 계획에 대한 불확실성과 실내골프연습장, 시내버스 차고지[21], 검단동CNG충전소, 자동차재활용정비공장 건립으로 농경 환경의 악화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대구시의 개발 계획이 확정된 것도 아니고 무산된 것도 아닌 애매한 상황이라 농사를 포기해야 할 지, 계속해야 할 지 문제라고 한다.
결국 대구광역시는 뒤늦게 검단들의 난개발을 막기 위해 2013년 4월부터 2016년 4월까지 3년간 개발행위 허가 제한[22]을 내용으로 한 고시를 발표한 바 있다. 대구시는 2013년 9월부터 2014년 5월까지 검단들 개발을 위한 타당성조사 연구 용역을 진행했는데 연구용역 완료를 한 달 앞둔 2014년 4월 용역을 일시 정지했다. 그 이유는 검단교(가칭)와 대구종합유통단지와 이시아폴리스를 잇는 도로[23]에 대한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완료 후 검단들 타당성조사 재시작 시기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인데 예비타당성 조사를 8월 중에 마무리 짓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지만 기획재정부의 검토 결과에 따라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결국 늘어지고 늘어져 2030년 완공 예정이며, 이와 함께 금호워터폴리스 계획도 수립되어 진행 중이다.
도축장도 이 동네에 있는데, 현재의 서구 중리동 퀸스로드 자리에 있다가 이쪽으로 이전했다. 버스 정류장 이름도 "검단동대구축협"이다. 학교는 성광중, 성광고가 있다.
- 1965년 행정동 검단동 설치(법정동:검단동)
1.8. 노원동
관할 법정동은 노원동1~3가이다. 인구는 11,233명.[P]1998년 노원1·2가동을 노원1·2동으로 개칭하고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을 노원3동으로 합동했으며 2009년 노원1·2동, 노원3동을 노원동으로 합동하였다. 과거 달서면에 속했던 곳이다. 1975년에 서구 원대동2가(일부)·원대동4가·원대동5가·원대동6가가 북구에 편입되어 노곡동의 노와 원대동의 원을 따서 노원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지금 행정복지센터는 원래 노원1·2동 행정복지센터다. 노원3동 행정복지센터는 팔달시장역 옆에 있다가 합동으로 폐소된 후 재개발 지구에 들어가면서 철거되었으며, 현재 이쪽 주변으로 대구노원 한신더휴(1,580세대)가 있다.
북구에 편입됐지만 여전히 침산(오봉산)으로 인하여 서구와 생활권 면에서 더 밀접하다. 노원로를 사이에 두고 북쪽은 3공단, 남쪽은 시가지가 펼쳐져 있다.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노원동3가에 있다. 동명과 전혀 일치하지 않는(그 대신 도로명과 일치하는) 팔달시장도 노원동3가에 있다. 3공단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일부분은 침산1동 관할이다. 2014년 12월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복현동에서 이전해 왔다.
- 1965년 행정동 원대1·2가동, 원대3가 1동, 원대3가 2동 설치
- 1966년 위 행정동들을 각각 폐지 및 개편하여 원대1·2·4가동, 원대3가동, 원대5·6가동으로 재설치
- 1975년 원대1·2·4가동의 법정동 원대동 4가와 원대동2가 일부, 원대5·6가동이 북구로 이관 및 노원1·2가동, 노원3가동으로 개칭
- 1979년 노원3가동을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으로 분리
- 1998년 노원1·2가동을 노원1·2동으로 개칭,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을 노원3동으로 통합
- 2009년 노원1·2동, 노원3동을 노원동으로 통합
2. 을(乙) 선거구 지역
2.1. 무태조야동
관할 법정동은 동변동·서변동·연경동·조야동이다. 인구는 33,783명[P]으로 북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다.조야동만 유일하게 과거 달성군 달서면에 속했으며, 나머지는 달성군 성북면에 속했던 곳이다. 조야동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들은 옛 지명인 "무태"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야동의 경우 1938년에 편입한 이후 줄곧 대구시에 속했으며, 1963년에 일반구가 설치되면서 서구에 소속되었다가 1975년 북구에 편입되었다. 하지만 조야동은 동변동, 서변동과 함께 전화 국번을 동구와 공용한다. 동변동·서변동·연경동은 1938년에 성북면에서 공산면으로 넘어갔다가 1957년 동변동과 서변동이 대구시에 편입되었다. 1963년 일반구가 설치되면서 북구에 소속되었다. 처음부터 독립된 행정동으로 출범했었으나 1975년에 동서변동으로 합동하였다. 연경동의 경우 한동안 공산면에 속했다가 1981년 대구직할시의 출범과 동시에 공산면 자체가 통째로 달성군에서 동구로 편입되면서 덩달아 동구에 속했다가, 1987년 북구에 편입되었다.[26] 이 때 동서변동이 연경동을 포함하게 되면서 무태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98년 무태동과 조야동이 합동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연경동과 조야동은 무태 쪽과 이격되어 있어서 각각 행정복지센터 민원분소가 있다.
동변동과 서변동 일대, 이른바 동서변동은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동서변지구로 조성된 지역이다. 또한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가 끝난 후 분양한 선수촌 아파트단지가 있다. 대구국제공항과 거리상 멀지 않은 곳에 있는 관계로 서변동과 동변동 일대로도 아파트 위로 대구국제공항을 오가는 여객기들이 다니기 때문에 아파트 층수가 대부분 15층으로 낮은 편이다.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와 크고 아름다운 신천수질환경사업소 또한 서변동에 있다. 연경동은 농촌으로 개발제한구역이었다가 이웃 동구 지묘동과 함께 연경지구로 개발되었다. 조야동에는 대구 기독교방송의 AM 라디오 송신소가 있다.[27] 학교는 동변초, 서변초(+조야분교), 성북초, 연경초, 동변중, 서변중이 있다.
연경동의 경우 여객기가 대구국제공항으로 착륙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면 비행기가 날아오며, 보너스로 가끔 날아다니는 F-15 K는 덤.[28][29] 항공기들은 연경동을 항공 루트로 사용하기 때문에 연경동은 무태조야동 일대 중에서 비행기 소음이 매우 심하다.
- 1965년 행정동 동변동, 서변동, 조야동[30] 설치
- 1975년 행정동 조야동이 북구로 이관, 동변동, 서변동을 동서변동으로 통합
- 1987년 동구 공산동 소속의 법정동 연경동을 북구 동서변동에 편입함과 동시에 무태동으로 개칭
-
1998년 무태동과 조야동을 무태조야동으로 통합
2.2. 관문동
관할 법정동은 금호동·노곡동·매천동·사수동·팔달동이다. 인구는 33,285명.[P]동네가 크게 세 곳으로 나뉘는데, 칠곡에 속하는 매천동과 팔달동 일대, 최근 금호지구로 개발되고 있는 금호동과 사수동 일대, 그리고 특별한 개발 없이 근대화된 자연부락이 있는 노곡동으로 나뉜다. 그래서 행정복지센터도 사수동과 노곡동에 분소를 두고 있다.
매천동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가장 아래쪽에 있는 팔달동에는 대구 시내와 칠곡을 잇는 관문인 팔달교가 있는데 그래서 행정동 이름도 관문동이다. 매천동에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이 있다. 칠곡지구의 초입인 만큼 두산위브 2001(1,108세대), 매천 센트럴파크(928세대), 한신더휴 웨스턴팰리스(919세대), 한신더휴 이스턴팰리스(683세대), 청구장미아파트(518세대), 매천 화성파크드림(500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많다. 그리고 태전고가차도를 통해 칠곡1지구로 곧바로 연결된다.[32]
금호동은 중앙고속도로 옆에 기다랗게 끼여 있는 동네이며, 아래쪽에 금호JC가 있다. 금호동에는 동구 봉무동의 봉무사격장을 이전한 대구국제사격장이 있다. 서쪽 끝에 있는 사수동은 북구에서 유일하게 달성군과 만나는 곳으로 금호택지지구로 지정되어 개발되었다. 여기서 조금만 더 나가면 경부선 지천역이 나오고, 와룡대교가 개통되면서 서구 상리동 및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와 연결되었다.
조야동 옆에 외따로이 있는 노곡동은 원래 달성군 달서면에 속한 곳이었다. 일찌감치 대구부에 편입되었으며, 일반구 설치 후 서구에 소속되었다가 1975년에 북구에 편입되었다. 한동안 독립된 행정동으로 존재했었으나 1998년 칠곡2동에 합병되었고, 2003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정작 강북 지역보다 노원동의 3공단에 가깝다. 그런데 노곡동 쪽 전화 국번은 칠곡 지역 국번 중 하나인 310국을 쓴다.[33] 이 동네는 말이 관문동이지 버스를 타면 노곡교를 타고 노원동, 침산동 투어를 한 다음에 칠곡지구로 넘어가기 때문에 같은 칠곡지구로 분류하기는 어려운 동네이다. 그리고 관광명소로 유명한 금호강의 하중도가 노곡동에 있다.
관내 학교는 관문초, 매천초, 사수초, 삼영초, 팔달초, 사수중, 팔달중이 있다.
- 1965년 행정동 노곡동,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일부
- 1975년 서구 노곡동이 북구로 이관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노곡동, 칠곡출장소
- 1982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1동과 칠곡2동 설치
- 1983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3동 추가설치
- 1998년 칠곡2동에 노곡동 편입
- 2003년 행정동 칠곡2동을 관문동으로 개칭
2.3. 태전1동, 태전2동
자세한 내용은 태전동(대구) 문서 참고하십시오.관할 법정동은 태전동이다. 칠곡중앙대로를 기준으로 서쪽이 1동, 동쪽이 2동이다. 인구는 1동 21,695명, 2동 22,645명.[P]
칠곡지구에서 가장 먼저 개발된 곳으로 칠곡지구 남쪽에 해당된다. 4번 국도가 들어오는 곳이다. 아파트단지와 저층 주거지역이 혼재되어 있다.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태전1동: 한신중앙아파트(892세대), 칠곡 관음타운(772세대), 한일아파트(680세대), 태전역 광신프로그레스(532세대), 북구립 태전도서관, 태전공원, 대구과학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태전초, 태현초, 강북고, 영송여고
- 태전2동: 태전역, 매천역, 태전 휴먼시아 1단지(1,937세대), 협성휴포레 강북(756세대), 삼성아파트(735세대), 관천초, 태암초, 관천중, 매천중, 매천고
- 1965년 칠곡군 칠곡읍 태전동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 1982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1동, 칠곡2동설치
- 1983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3동 설치
- 1995년 칠곡1동에서 태전동 분리
- 2003년 태전동을 태전1동으로 개칭, 칠곡1동을 태전2동과 구암동으로 분리, 칠곡3동을 읍내동과 동천동으로 분리
2.4. 구암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구암동 행정복지센터는 강북중학교 건너편에 있다. 인구는 31,973명.[P]원래 구암동은 칠곡1동의 일부였으나 2003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칠곡의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칠곡3지구의 개발로 아파트가 많다. 칠곡3지구의 개발로 인해 구암동은 칠곡2지구와 칠곡3지구에 걸쳐 소재하며 동 행정복지센터는 칠곡3지구 쪽에 있다. 북구를 관할하는 북대구우체국과 대구강북경찰서, 강북소방서가 구암동에 있으며[36] 롯데시네마 프리미엄칠곡도 있다. 북대구우체국은 고성동에서 이전해 왔다. 학교는 강북초, 구암초, 운암초, 강북중, 구암중, 동평중, 운암중, 구암고, 운암고, 함지고가 있다.
칠곡3지구 개발로 아파트가 상당히 많아서 500세대가 넘는 대형 단지만 해도 부영3~7단지, 그린빌1~4단지, 칠곡 동서영남(810세대), 칠곡 미래타운(720세대), 칠곡 한라타운 2차(630세대) 등이 있다. 소형평수 아파트인 동화골든빌부터 중대형 평수 아파트인 화성그랜드파크까지 골고루 있는데, 전자는 전용면적 7~8평밖에 안 되는 경우도 있으며 후자는 전용면적 37평이 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거의 블록 단위로 초등학교가 있다. 즉, 아파트단지 한 두 개마다 초등학교가 딸려있다.
- 1965년 칠곡군 칠곡읍 구암동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 1982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1동, 칠곡2동설치
- 1983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3동 설치
- 1995년 칠곡1동에서 태전동 분리
- 2003년 칠곡1동을 태전2동과 구암동으로 분리
2.5. 관음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1994년 칠곡1동에서 분리되었으며, 아파트보다 빌라 혹은 일반주택이 많은 곳이다. 인구는 14,726명.[P]옆에 중앙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칠곡IC가 있다. 2009년 7월 관음변전소 남쪽에 관음공영차고지가 설치되었으나,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2010년 9월부터 가동이 시작됐다. 주요 시설로 칠곡2차한양아파트(1,354세대), 어울아트센터, 신전뮤지엄, 관음공원이 있다. 학교는 관남초, 관음초, 관음중이 있다.
- 1965년 칠곡군 칠곡읍 관음동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관음동(법정동)
- 1982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1동 설치
- 1994년 칠곡1동에서 관음동 분리
2.6. 읍내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4,499명.[P]칠곡3동의 일부였으나 2003년에 분리되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과거 칠곡읍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곳이며, 그 흔적으로 칠곡초등학교, 칠곡중학교, 칠곡 향교[39], 교동초등학교, 교동중학교가 있다.[40] 지금도 칠곡 지역의 상업중심 역할을 한다. 읍내동은 칠곡네거리부터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까지 칠곡1지구와 3지구 입구를 아우르며 굉장히 넓게 뻗어 있는 동이다. 주요 시설로 칠곡 코스모스 한양(792세대), 칠곡산호한양아파트(768세대), 칠곡 e편한세상(608세대), 칠곡 한서타운(593세대), SD아이프라임 강북(573세대), 목련아파트(530세대), 북구립 구수산도서관, 구수산, 구수산공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가톨릭병원, 동아아울렛 강북점, 칠곡농협 하나로마트, 킴스클럽 강북점이 있다.
2011년 11월에 국내 최다 마애암각군이 발견되었다. 대구 칠곡중앙대로 129길에 있는 안양마을에 있는 한 절에서 발견된 것으로 추정. 절벽 아래에 불상과 탑을 여럿 새긴 것인데 삼국시대 말기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곳의 안양마을은 강북지역어서 도남동과 함께 유일한 시골의 풍경을 가지고 있다.
학교는 교동초, 대천초, 칠곡초, 칠곡중, 대중금속공고가 있다. 대중금속공고는 원래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었으나 2015년 3월 2일 학정동으로 들어가는 진흥교 근처 산 쪽으로 이전하였다. 그 외에 읍내정보통신학교가 있다.
- 1965년 칠곡군 칠곡읍 읍내동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 1983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3동 설치
- 2003년 칠곡3동을 읍내동, 동천동으로 분리
2.7. 동천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하며, 동천동 행정복지센터는 동천역 인근에 있다. 인구는 25,901명.[P]2003년 이전까지 행정동 칠곡3동으로 읍내동과 묶여있었으나 2003년에 분활되면서 원래 지명인 동천동으로 행정동이 바뀌었다. 2009년 동천동의 북쪽이 국우동으로 분리됐다.
구암동, 국우동과 함께 칠곡3지구로 불리는 곳이며, 팔거역 인근에 칠곡3지구 상업지역과 홈플러스 칠곡점, 메가박스 대구세븐밸리(칠곡)이 이곳에 있다. 같은 칠곡으로 묶이지만 팔거천을 사이에 두고 5번 국도가 지나가는 읍내동, 관음동, 태전동 등과는 생활권이 다소 다른데, 팔거천 서쪽은 상대적으로 단독주택 비중이 높으며 동아아울렛이 있는 칠곡네거리가 상업 중심지인 반면, 동천동, 구암동, 국우동은 동암로를 끼고 홈플러스~ 대구강북경찰서가 있는 상업지역이 중심이다. 칠곡3지구 상업지역의 규모가 꽤 큰 까닭에 국우터널 너머의 무태·조야동 시민들이 종종 찾기도 한다. 아파트단지의 덩치도 꽤 큰 편으로 화성 센트럴파크(1,440세대), 칠곡 보성 서한타운(1,244세대), 부영 그린타운(1,194세대), 동화골든빌아파트(1,123세대), 칠곡 화성타운 3차(1,116세대), 칠곡 영남타운 2차(974세대), 영남 네오빌아트(813세대), 칠곡 네스빌(512세대) 등이 있다. 학교는 동평초, 북부초, 함지초가 있다.
- 1965년 칠곡군 칠곡읍 동천동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 1982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1동, 칠곡2동설치
- 1983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3동 설치
- 2003년 칠곡1동을 태전2동과 구암동으로 분리, 칠곡3동을 읍내동과 동천동으로 분리
- 2009년 동천동에서 국우동 분리
2.8. 국우동
관할 법정동은 국우동·도남동·동호동·학정동이며, 국우동과 학정동에 시가지가 구성되어 있다. 인구는 30,374명.[P] 2009년 동천동에서 분리되었으며, 법정동인 국우동에 행정복지센터가 있다.학정동에는 학정역, 학정청아람아파트(943세대), 칠곡 1~2차 한라하우젠트(766세대),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근로복지공단 대구병원과 제50보병사단 사령부가 있으며, 북구와 달서구 예비군훈련장이 있다. 학정동 위에 있는 동호동은 칠곡군 동명면과 인접해 있으며 경상북도인재개발원,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이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칠곡경대병원역과 동호차량사업소 또한 이 곳에 들어섰다. 국우동은 호국로를 경계로 양분되어 있는데, 남쪽에는 구암동 및 학정동과 같이 개발된 그린빌5~6단지와 부영1단지아파트(900세대)가 있는 반면 북쪽에는 힐스테이트 데시앙 도남 1~4단지를 비롯하여 도남지구가 조성되고 있고 군부대들이 많다. 북동쪽 끄트머리에 있는 분지인 도남동은 대구의 강북 지역에서 안양마을과 더불어[43] 유일하게 농촌의 풍경을 간직하고 있다. 학교는 국우초, 도남초, 학남초, 학정초, 대구체육중, 학남중, 대구국제고, 대구체육고, 학남고가 있다.
연경동과 함께 대구국제공항과 대구 공군기지의 루트로 자주 활용되고 있고, 그래서 소음 피해가 검단동, 복현동, 연경동과 함께 매우 큰 지역들 중 하나로 꼽힌다.
- 1965년 칠곡군 칠곡읍 국우동, 도남동, 동호동, 학정동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 1983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3동 설치
- 2003년 칠곡3동을 읍내동, 동천동으로 분리
- 2009년 동천동에서 국우동 분리
3. 북구 행정구역 변천사
- 1965년 행정동제 실시
행정동 설치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칠성동1가 | 칠성1가동 | 행정동제 실시 |
칠성동2가 | 칠성2가1동, 칠성2가2동 | ″ |
태평로4가 | 태평로4가동 | ″ |
태평로5가, 태평로6가 | 태평로5·6가동 | ″ |
침산동 | 침산1동, 침산2동 | ″ |
산격동 |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 ″ |
복현동 | 복현동 | ″ |
검단동 | 검단동 | ″ |
동변동 | 동변동 | ″ |
서변동 | 서변동 | ″ |
- 1970년 침산1동에서 침산3동 분리
- 1975년 행정동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칠성1가동 | 칠성1가동 | 명칭유지 |
칠성2가1동 | 칠성2가1동 | ″ |
칠성2가2동 | 칠성2가2동 | ″ |
태평로4가동 | 고성1가동 | 명칭변경 |
태평로5·6가동 | 고성2·3가동 | ″ |
서구 원대1·2·4가동 일부, 원대5·6가동 전체 | 노원1·2가동, 노원3가동 | 명칭변경 및 관할 변경 |
산격1동 | 산격1동 | 명칭유지 |
산격2동 | 산격2동 | ″ |
산격3동 | 산격3동 | ″ |
동구 신암3동 | 북구 대현1동 | 명칭변경 및 관할 구 변경 |
동구 신암6동 | 북구 대현2동 | ″ |
서구 노곡동 | 북구 노곡동 | ″ |
서구 조야동 | 북구 조야동 | ″ |
복현동 | 복현동 | 명칭유지 |
검단동 | 검단동 | ″ |
동변동, 서변동 | 동서변동 | 행정동 통합 |
침산1동 | 침산1동 | 명칭유지 |
침산2동 | 침산2동 | ″ |
침산3동 | 침산3동 | ″ |
- 1979년 행정동 2차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노원3가동 |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 | |
대현2동 | 대현2동, 대현3동 |
- 1980년 고성1가동, 고성2·3가동을 고성동으로 통합
- 1981년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편입, 대구직할시 북구로 승격 및 칠곡출장소 설치
- 1982년 칠곡출장소 내에 칠곡1동, 칠곡2동 설치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칠곡출장소 태전동, 구암동, 관음동 | 칠곡1동 | |
칠곡출장소 사수동, 팔달동, 매천동, 금호동 | 칠곡2동 | |
칠곡출장소 동천동, 국우동, 도남동, 학정동, 동호동, 읍내동 | 칠곡출장소 |
- 1983년 위 개편사항 中 칠곡출장소로 존치된 법정동을 관할로 칠곡3동 설치
- 1987년 동구 연경동, 신암동 일부를 동서변동에 편입하고 무태동으로 개칭
- 1990년 복현동을 복현1동, 복현2동으로 분리
- 1992년 산격1동을 산격1동, 산격4동으로 분리
- 1994년 칠곡1동에서 관음동 분리
- 1995년 칠곡1동에서 태전동 분리
- 1997년 칠곡출장소→강북출장소로 개칭
- 1998년 강북출장소를 폐지함과 동시에 행정동 3차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칠성1가동, 칠성2가1동 | 칠성1동 | 명칭변경 및 행정동 통합 |
칠성2가2동 | 칠성2동 | ″ |
노원1·2가동 | 노원1·2동 | ″ |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 | 노원3동 | ″ |
대현2동, 대현3동 | 대현2동 | 행정동 통합 |
무태동, 조야동 | 무태조야동 | ″ |
칠곡1동 | 칠곡1동 | 행정동 유지 |
칠곡2동, 노곡동 | 칠곡2동 | 행정동 통합 |
칠곡3동 | 칠곡3동 | 행정동 유지 |
산격1동 | 산격1동 | ″ |
산격2동 | 산격2동 | ″ |
산격3동 | 산격3동 | ″ |
산격4동 | 산격4동 | ″ |
침산1동 | 침산1동 | ″ |
침산2동 | 침산2동 | ″ |
침산3동 | 침산3동 | ″ |
고성동 | 고성동 | ″ |
태전동 | 태전동 | ″ |
관음동 | 관음동 | ″ |
복현1동 | 복현1동 | ″ |
복현2동 | 복현2동 | ″ |
검단동 | 검단동 | ″ |
- 1999년 칠성1동, 칠성2동을 칠성동으로 통합
- 2003년 행정동 4차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태전동 | 태전1동 | 명칭변경 |
칠곡1동 | 태전2동, 구암동 | 행정동 분리 |
칠곡2동 | 관문동 | 명칭변경 |
칠곡3동 | 읍내동, 동천동 | 행정동 분리 |
- 2009년 노원1·2동, 노원3동을 노원동으로, 동천동을 동천동, 국우동으로 분리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노원1·2동, 노원3동 | 노원동 | |
동천동 | 동천동, 국우동 |
* 2011년 대현1동, 대현2동을 대현동으로 통합
[P]
2024년 9월 주민등록인구통계
[2]
태평로3가는
1964년에 일찌감치
중구로 편입되어 나갔다.
[3]
341/350국번대
[P]
[P]
[P]
[P]
[P]
[P]
[P]
[P]
[P]
[13]
신암초등학교가 학교명과 달리 북구 대현동 소재인 이유다. 신암초등학교 건너편이
동구 신암1동이다.
[14]
경북대학교 기숙사 중에서 긍지관, 성실관, 협동관, 진리관, 화목관, 봉사관을 말한다. 또한 BTL 기숙사(첨성관, 향토관)은 복현1동에 있다. 건축물대장상에는 실 소재지와 관계 없이 학교의 대표 지번인 북구
산격동 1370번지 1호 소재로 표시된다.
[15]
그래서인지 신암동 국번인 95X국번이 대현동으로 바뀌고 북구 행정구역에 남아있음에도 KT동대구지사에서 현재까지 관할중이다.
[P]
[P]
[P]
[19]
경부고속도로 금호2교가 있지만 말 그대로
고속도로라서 일반도로 전용 다리가 아니다. 다행히 검단교(가칭)를 만들기 위해 기획재정부 예타를 통과했다.
[20]
동부정류장과 남부정류장 통합 터미널, 동부정류장과 북부정류장 통합 터미널, 동부·서부·남부·북부 4방면 통합 터미널
#,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
이전지 등으로 거론됐다.
[21]
성보교통.
영진교통은 북구 동호동으로 이전했다.
[22]
기존 건축물의 재축, 개축, 증축, 표시변경은 제외
[23]
6차선 도로로 총 길이는 3.4km이고 예타만 통과되면 2015년 착공에 들어가 2019년 완공한다고 하였으나 결국 2030년 완공 예정이다.
[P]
[P]
[26]
조야동, 서변동, 동변동과 달리 연경동은
동구 동촌 지역의 국번(980국)을 공용한다. 연경동 바로 뒷편이
동구 지묘동(파계사 방향)이다.
[27]
본래는 매천동에 있었다가 1991년 조야동으로 이전했다.
[28]
주로 남동풍이 부는 여름철에 이 방향으로 착륙한다. 참고로 이 착륙코스(13R)는 그 유명한
김해국제공항의 18R 서클링이나
제주국제공항 25번 착륙만큼은 아니지만,
칠곡지구의 함지산과 망일봉,
검단동 뒷산 같은 장애물들도 착륙항로 곳곳에 산재하고 있어 항공기 조종사들이나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어려운 착륙코스들 중 하나로 손꼽힌다.
[29]
남구 대명동과 봉덕동, 이천동과
수성구 수성1가, 중동, 그리고
중구 대봉동은 미군기지
캠프워커 비행장과 인접한 지역이다 보니 헬리콥터가 빌딩이나 아파트 옥상과 매우 가깝게 날아다닌다.
[30]
당시 서구 조야동
[P]
[32]
강원도 및
칠곡IC 이북에서
대구북부정류장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타고 내려오면 관음동의 칠곡TG를 찍고 칠곡대백맨션 건너편에서 중간 하차한 후 이 고가차도를 통해 농수산물도매시장 뒷편을 거쳐 매천대교/팔금교 쪽으로 간다. 올라가는 방향은 시외버스가 이용하지 않고(
서대구IC 이용), 그 대신 춘천행 고속버스가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이용한다.
[33]
여담으로 노곡동에는 아직도 일본인 소유 토지가 남아있기도 하다. 하지만 광복 이후 일존인 소유 토지들을 몰수한 것을 생각해 보면 사실상 국유지일 가능성이 높다.
[P]
[P]
[36]
소방서는 여러 여건상 신설이 어려워 없이
서부소방서가 대신하고 있었다. 하지만 서부소방서 역시 거리가 꽤 되기 때문에 동천동에 위치한 동천119안전센터에 서부소방서의 제2구조대 역할을 맡겨 동시에 운영했고, 때문에 다른 119안전센터보다 규모가 제법 컸었다. 2024년 현재는 소방서가 설치된 상황.
[P]
[P]
[39]
칠곡중학교 바로 옆에 있다.
[40]
교동은 보통 향교가 있었거나 있는 지역에 많이 붙는 지명이다. 가령 대구 시내에 있던 교동도
대구향교가 남산동으로 이전하기 전 원래 있었던 곳이라는 것에서 유래된 곳이다.
[P]
[P]
[43]
칠곡중앙대로 129길에 있는 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