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12:49:0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튀르키예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세르비아·크로아티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원형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튀르키예·이란·아랍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튀르키예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근세2.2. 19세기2.3. 20세기2.4. 21세기
3. 대사관4. 관련 문서

1. 개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튀르키예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오스만 제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역사적 관계

2.1. 근세

오스만 제국 발칸반도를 정복하는 과정에서 1463년 보스니아 왕국이 오스만 제국에게 병합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면서 보슈냐크인들이 되었다.[1] 400여 년간의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거치며 사라예보 모스타르 같은 지방 행정, 무역 중심지들이 건설되었다. 그리고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하지 않은 주민들은 밀레트 제도하에서 제한적인 종교의 자유를 보장받았다.

2.2. 19세기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에 밀리는 형세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 군제 개혁을 실시하나 여기에 자신들이 제대로 군공을 보상받지 못한 상황에서 기득권마저 상실했다고 보슈냐크인 엘리트들이 오스만 제국을 대상으로 1831~1833년 동안에 걸쳐 대대적인 봉기를 일으켰다. 1878년 보스니아 일대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가 되면서 20만여 명에 달하는 보슈냐크인 무슬림들이 오스만 제국 영토로 피난하였다.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치하의 보스니아에서는 한편으로 보수적인 무슬림들이 종교 용어로 오스만어를 사용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 슬라브 민족주의에 영향을 받은 좀 더 세속적인 다른 무슬림들은 아랍 문자 대신에 키릴 문자 보스니아어를 표기하기 시작하였다.

2.3. 20세기

1945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산정권이 수립되자 많은 보슈냐크인들이 튀르키예로 이주하였다.

1990년대초부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해체되면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독립국이 되었다. 독립국이 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터키와 공식수교했다. 튀르키예측도 당시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지원했다.

2.4. 21세기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들이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다보니 보슈냐크인들은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고 있다. 그리고 오스만 제국의 영향으로 보슈냐크인들이 쓰는 보스니아어에는 오스만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이 포함되어 있고 아랍 문자에서 유래된 아레비차를 오랫동안 사용했다.

튀르키예 드라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인기가 높은 편이다. 그리고 튀르키예내에는 수많은 보슈냐크계 튀르키예인들이 거주하고 있고 보슈냐크인의 혈통을 가진 튀르키예인들도 많은 편이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는 소수의 튀르키예어 화자들이 존재한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양국간의 교류와 협력이 많아지고 있다.

3. 대사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앙카라에, 튀르키예는 사라예보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4. 관련 문서


[1] 튀르키예내에는 보슈냐크계 튀르키예인들이 상당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