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5 04:38:13

벡사시옹

1. 개요2. 초연3. 재연 사례들4. 이 곡보다 더 긴 곡들

먼저 맨 아래 줄의 주제를 연주하고 1번째 줄의 변주, 다시 주제, 그 다음 2번째 줄의 변주를 연주하면 된다. 이제 이걸 840번만 반복하면 된다.[1]

1. 개요

Vexations

에릭 사티 피아노 독주곡. 제목은 프랑스어로 ' 짜증'이나 ' 고통'이라는 뜻으로... 들어보면 왜 이런지 이해가 갈 것이다.

사티는 굉장한 괴짜 음악인으로 유명했지만, 정작 그가 남긴 작품들은 약간 제목이 괴상하단 점만 빼면[2] 오히려 선법을 비롯한 옛스러운 음악 어법과 특유의 단순성으로 듣기에 그리 어렵지는 않다. 하지만, 이 곡은 아니다. 무슨 이유인지 사티는 이 곡을 살아생전 평생 공개하지 않았는데, 처음으로 발견하고 공표한 이는 사티 음악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연구와 자료 수집에 몰두하고 있던 자이자, 그 전설의 마곡 4분 33초로 악명 높은 존 케이지였다.

케이지가 발견한 자필보는 1949년에 복사판으로 처음 간행되었고, 이후 여러 음악출판사나 음악잡지 등에서 정서한 공식 출판본이 나왔다. 여기까지만 보면 그냥 그저 그런 유작 피아노곡이겠구나 싶겠지만...

곡은 무척 단순하다. 18개의 음들로 이루어진 단선율의 주제와, 그 주제로 만든 두 개의 변주가 전부다. 게다가 빠르기나 박자표 같은 것도 전혀 없다. 변주도 잘 보면 장단이나 선율에 변화를 준 것이 아니라, 오른손 성부의 음높이를 자리바꿈한 것일 뿐이다.

현대적으로 정서된 벡사시옹 악보. 단 한 페이지 분량이다. 정말 허전하지만, 진짜 저게 다다.

여기에 사티는 저 스케치 정도밖에 되지 않아 보이는 악보 위에 다음과 같은 지시어를 써놓았다;
이 곡을 연속해서 840번 반복해 연주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고요함 속에서 진지한 부동성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작곡가가 적어 놓은 메트로놈 지시에 따라 정확하게 연주하면, 대략 13시간 40분 정도가 걸린다고 한다. 참고로 840번 연주하라는 의미는 그의 종교[3]에서 따왔다는 추측도 있지만, 정확한 근거는 없다. 이 때문에 이 곡은 단일 피아노 작품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긴 곡으로 기네스북에까지 올라가는 위업(???)을 달성했다.

이 때문에 사티 피아노곡을 거의 다 녹음한 피아니스트들은 많지만, 엄밀히 따지면 전곡을 녹음한 피아니스트는 한 사람도 없다. 만약 이 곡이 음반에 포함된다 하더라도, 첫 루프 혹은 두세 루프 정도만 녹음되어 있어서 나머지는 청취자가 알아서 840번 반복시켜 들어야 할 뿐이다. 아니 그 전에 이럴 시간이나 있을지... 같은 멜로디를 13시간도 넘게 800번 이상 반복해서 들으라니, 이건 뭐 엽기적이고 폭력적이다 못해 음악이 아니라 고문 수준... 어떤 책에서는 이런 반복에 대해 '무지막지한 반복 테러리즘'이라고 표현하기도 했을 정도니...[4] 사티 살아 생전에는 한번도 완전히 연주된 적이 없는 것도 당연하다.

비록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이건 미친 짓이야 난 여기서 나가겠어 정도의 정줄놓 작품으로 여겨졌지만, 이 곡이 가져다준 충격과 여파는 꽤 대단했다. 케이지를 비롯해 미니멀리즘을 음악에 도입하려고 한 이들은 이 곡이 그 아이디어를 미리 선취한 곡이라고 높이 평가했고, 호사가들은 이 곡에서 사티가 자신의 개인적인 주관이나 일화를 암호화시켜 기록했다는 음모론까지 제기할 정도였다.

실제로 이 곡이 사티와 관계가 깊었던 종교 단체인 ' 장미십자회'의 은유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고, 인도 철학 만트라 개념을 도입했다고 해석하는 이들도 있고, 여성 화가였던 쉬잔 발라동과의 연애 관계가 파토난 것에 대한 절망과 분노를 투영했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그 어느 것도 확실한 팩트는 없고, 사티가 재림해서 이 곡을 왜 썼다고 말하지 않는 이상 진실은 저 너머에.

2. 초연

첫 공연은 에릭 사티 사망 수십 년 후인 1963년 9월 9일 미국 뉴욕의 포켓 시어터라는 극장에서 행해졌는데, 곡을 처음 발견한 존 케이지를 비롯해 그의 동료 4명이 돌아가며 연주했다. 교대로 연주를 한 이유는 당연히 이 긴 음악을 도저히 혼자 연주할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다. 연주자도 사람인데 근육 긴장 푸는 건 당연하고, 몇 시간마다 화장실에 가야지 연주자들 중에는 피아니스트가 아니거나, 아예 음악인이 아닌 이들까지 있었다.[5] 이렇게 벡사시옹이 세상의 빛을 보게 되었으니, 서양음악 사상 전대미문의 연주기록이다.

공연은 그날 밤 6시에 시작했으며 주최자인 케이지는 이 곡의 연주가 얼마나 걸리는지 전혀 공지하지 않았다. 처음에는 사티의 유작이라고 해서 수많은 청중들과 피아니스트, 기타 음악 전문가들이 객석을 메웠지만, 똑같은 부분이 하염없이 반복되는 것에 질려 하나 둘 공연장을 뜨기 시작했다. 어떻게든 인내심을 발휘해 객석에 남아 있던 청중들도 이내 음악을 BGM 삼아 서로 잡담을 나눴고 심지어 음료를 마시거나 과자를 먹는 이들도 있었다.

어찌됐든 공연은 그와 상관없이 계속 진행되었고 청중들의 고충에 못지않게 연주자들의 고충도 대단했는데, 아무리 피아노 연주에 통달한 이라도 삼전음(tritone)과 감화음(diminished chord)으로 가득한 괴이한 곡을 계속 반복한다는 것은 고문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그나마 악보에는 콩나물 대가리 빼면 아무 연주 상의 지시도 없는 탓에, 연주자들은 자기 순서가 될 때마다 곡을 빠르게 치거나 느리게 치거나, 약하게 혹은 세게 치거나, 모든 음을 똑똑 끊어 스타카토로 치거나, 반대로 페달을 왕창 밟아 울림을 마구 섞기도 하는 등 저마다 자신의 해석(?)을 이입시켰다.

사티가 써놓은 대로 정확히 840번째 반복이 끝났을 때는 다음날 오후 12시 40분 무렵이었다. 밤샘 진행된 이 공연을 견딘 청중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었고, 모두 완전히 녹초가 되어 있거나 해탈 혹은 멘붕한 듯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3. 재연 사례들

  • 이 작품은 (물론 그렇게 자주 행해진 것은 결코 아니었지만) 그 후로도 몇몇 용자들이 진행한 음악회 등의 행사에서 연주되고 있다. 피터 에반스라는 피아니스트는 자기 혼자서 곡을 완주하려고 시도했지만, 595회 째 반복하던 도중 그만 환각 상태에 빠져 연주를 중단해야 했다.
  • 1967년 12월 31일에는 일본에서도 도쿄의 미국 문화 센터에서 이시이 마키, 유아사 조지, 타카하시 유지 등 현대 작곡가들과 피아니스트 열여섯 명이서 그날 낮부터 이듬해 1월 1일 아침까지 완주해냈다.
  • 일본인 피아니스트 다카시 유지는 10시간 걸리는 왕복 야간열차에서 이 곡을 연주했다.
  • 한국에서는 1995년 3월에 서울대학교의 학생 라운지에서 초연됐다. 음대 피아노 전공생부터 취미로 피아노 치는 일반 학생까지 모두 40여 명이 연주자로 동원되었는데, 물론 이 두 공연에서도 끝까지 듣는 근성을 발휘한 이들은 극소수였다.
  • 1999년 2월 1일에는 서울 부암아트홀에서 열린 '쉽게 듣는 현대음악'이라는 기획 연주회에서 재연. 당시 서울대 음대 작곡과에 재학중이던 학생들과 졸업한 선배들이 공연한 바 있다. 연주회 제목이 잘못된 것 같다. 뭐? 쉽게 들어? 이때는 길이를 줄여 5시간 정도 연주했는데, 이것도 인내심의 한계를 넘어서는 길이이긴 하다. 마지막까지 남은 관객은 7명. 그 중 한 사람에게 소감을 묻자 한 말은 "처음에는 지루했는데, 나중에는 거의 도 닦는 기분이었다."고.
  • 워낙 악명높은 곡이다 보니 가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이 곡이 다루어지며 일본에서는 후지 테레비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인 트리비아의 샘 2004년 5월 5일 방영분에서는 세 명의 피아니스트가 번갈아가며 연주를 시도하고 완주해내는 장면을 편집해 방영했다.
  • 한국에서는 스펀지 2006년 8월 19일 방영분(146회)에서 소개되었다. 방송 8일 전 밤 9시부터 10명이 이 곡의 연주를 1인당 30루프씩 4시간 넘게 했는데, 청중들과 연주자의 컨디션이 뒤로 갈수록 점점 악화일로를 걸으며 결국 전체의 4분의 1 부분에서 중단되었다. 반복 횟수를 헤아리던 제작진들과 저명한 음악평론가들의 어이를 상실한 모습이 포인트. 시간이 지난 뒤에는 연주 대기자와 스태프만 남아 있었다. 참여자들은 '지루했지만 그런 게 매력', 에릭 사티의 연민과 우울함을 볼 수 있었다는 소감을 남겼다.
  • 2011년 6월엔 어느 용자가 혼자 이 곡을 완주한 동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왔으며, 동영상 길이가 무려 9시간 40분 가량이다... 영상의 화질이 매우 안 좋은데 만약 HD화질로 올렸더라면 업로드에만 2주가 걸렸을 것이라고 한다.
  • 2018년 4월, 이재현의 희곡 < 제10층>과의 콜라보로 <벡사시옹+제10층>이라는 연극이 공연되었다. 부조리극인 <제10층>을, 그 도입부만을 약 100분간 29번(!) 반복하는 (당연히 이쪽은 <벡사시옹>에서 따온 것) 실험적 공연이었다. 루프를 한 번 할 때마다 배우가 한 걸음씩 위치를 옮기는 약간만 변주되면서 말이다. 커튼콜도 하지 않고 그냥 30여번 한 장면을 반복하고 난 뒤 조명이 꺼지는 거로 연극 끝이었다고... 감상 후기
  • 꽤나 유명한 에피소드가 있다. 이름이 제법 알려진 피아니스트 3명이 이 곡을 연주하기로 했다. 프로그램에는 곡명이나 연주시간을 밝히지 않았는데, 아는 사람이 보고 기겁해서 연주회에 오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서였다.
    연주회 날, 객석은 연주자의 명성을 보고 찾아온 사람들로 가득했다. 첫 번째 연주자가 나와서 곡명을 얘기하는 순간 이 곡의 악명을 알고 있던 관객들의 얼굴은 새파래졌지만, 이 곡을 모르는 대다수의 관객들은 열렬히 박수를 치며 환영했다. 그리고 연주가 시작되고 30분 정도는 청중들은 열심히 음악을 들었지만...같은 멜로디가 계속 나오자 슬슬 객석이 술렁이더니, 인간이 지루함을 느낄 때 나올 수 있는 갖가지 표정과 몸짓들이 속출했다. 팔짱을 꼈다가 다시 푸는 사람, 다리를 비비 꼬는 사람, 괜스레 머릴 긁는 사람, 헛기침을 하는 사람, 하품을 하는 사람, 졸린 눈을 비비는 사람 등. 그리고 2시간이 경과하자 두번째 연주자가 팻말을 든 사회자를 대동하고 나타났다. 졸던 관객들은 끝난 줄 알고 박수 칠 준비를 했지만 팻말에 든 문구는...
    연주자만 휴식 없이 교체됩니다.

    시간이 더 흐르고 인내심에 한계를 느낀 청중들은 하나둘씩 자리를 떴지만, 연주는 연주자를 바꿔가며 계속되었다. 몇 시간이 지나자 객석은 절반 넘게 비었고, 그나마 남은 관객들은 꾸벅꾸벅 졸았다. 연주자가 바뀔 때 청중 대부분은 곯아떨어진 후였지만 연주회는 계~속~ 진행되었다.
    연주 종반부에 객석에는 비평가와 연주자 및 주최측 지인들, 이 연주회를 통해 인간의 한계에 도전하고 싶었던 평범한 관객들을 다 합쳐서 10여명만 남아있었다.
    정말 마침내 연주가 다 끝나 커튼콜을 하자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관객들은 자신들의 인내심이 자랑스러워서인지 우레와 같은 박수를 보냈고, 이 박수소리에 자느라고 미처 나가지 않았던 관객들도 깨서 얼떨결에 박수를 쳤다. 진한 감동의 순간이었지만...이 감동은 맨 앞자리에 앉은 사람의 외침으로 한순간에 경악으로 바뀌었다. 그는 이렇게 외치고 있었던 것이다.
    앙코르! 앙코르!
  • 2020년 5월 30일부터 5월 31일까지, 이고르 레빗이 이 곡을 유튜브에서 실황으로 공연했다. 총합 11시간이 걸렸으며, 초반에는 조용히 시작하다, 가면 갈수록 미스터치가 잦아지고, 곡의 속도가 빨라지며, 후반부로 가면 거의 두 배의 속도에, 포르티시모, 게다가 피아니스트가 선율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는 등, 광기스러운 모습까지 보인다.
  • 위 연주를 보고 840번을 모두 쳐낸 이고르 레빗을 존경한다고 말한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도 해당 인터뷰에서 이 곡을 연주한 바 있다고 밝혔다. 물론 840번을 다 연주한 건 아니고, 그를 포함한 피아니스트 40명이 각각 21번씩 반복해서 연주하는 거대한 프로젝트였다. 아믈랭은 이 프로젝트의 마지막을 맡았는데, 다 끝나고 고요함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자신이 맡은 부분을 최고로 꼽았다고 한다. 아믈랭의 인터뷰.
  • 2022년 8월 20일 현대음악 위주의 활동을 하는 피아니스트 오의진 https://blog.naver.com/uijinoh_klv이 국내 최초로 1인 연주회를 진행했다. 서울 흑석동 중력장이라는 인디 공연장에서 열린 이 연주회는 무료 공연으로 케이지가 기획한 세계 초연 당시의 스타트 시각인 토요일 저녁 6시에 시작하여 다음 날인 일요일 오후 3시 정각까지 거의 정확히 21시간 동안 휴식시간 단 1초도 없이 이뤄졌는데, 이 긴 연주가 끝난 후 진짜 앙코르까지 준비했다. 당연히 벡사시옹을 더 친 건 아니고 Michael Finnissy의 작품을 연주했다. 객석은 원하는 때 입/퇴장 가능하고 에릭 사티의 음악관에 충실하게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벡사시옹 악보를 840매 직접 제작하여 한 장씩 바닥에 떨어트리며 연주하였다. 처음에는 매우 느린 속도로 연주하다가, 일요일 아침부터 템포가 꽤 많이 올라갔으며 800번째 반복 진입 시부터 다시 조금 템포를 하향 조정하였다. 처음에는 관객이 대략 10~20명 정도가 첫날 저녁까지 방문하여 연주의 시작을 관람하였으며, 밤이 되자 점점 한 명씩 사라졌으나, 스탭 두 명과 공연장 주인, 그리고 단 한명의 중학생 관객만이 밤 새도록 남아서 공연을 함께했다. 800번대에 진입하자 끝을 보기 위해 다시 6명 가량의 관객이 공연장에 돌아오거나 새로 들어왔다. 유튜브와 트위치로 동시 송출되었다. 앙코르가 시작되자 유튜브 채팅창은 놀란 70여 명의 관객들의 채팅으로 붐볐다. 첫 앙코르곡은 Finnissy의 미출판곡으로 매우 짧았고, 두 번째 앙코르는 동일 작곡가의 "ERIK SATIE, Like anyone else"라는 23분 정도의 작품이었다. 이 연주의 특이했던 점은 페달을 전혀 쓰지 않고 840번을 연주했다는 것이다. 유튜브 생중계 트위치 생중계

4. 이 곡보다 더 긴 곡들

이 곡의 아성에 도전한 후배 작곡가들이 등장하면서, 가장 긴 음악 작품이라는 기록도 갈아치워졌다. 경쟁작들을 몇 곡 소개하자면...
문서 참조. 작곡자가 잡은 연주 시간이 28시간.
  • 라 몽트 영: 전자음악 '12일 동안의 블루스'
제목 그대로 12일 걸린다.
역사 상 가장 긴 녹음된 곡으로 432시간(18일)이 걸린다. 라디오헤드 앨범 커버 디자이너인 스탠리 돈우드의 전시회를 위한 음악이며 딱 전시회 기간 동안 재생된다. 꼭 432시간 동안 들을 필요는 없다는 점에서 벡사시옹보다는 오히려 나을지도 모른다.
  • 아르네 노르헤임: 전자음악 'Poly-Poly'
1970년 개최된 오사카 엑스포의 스칸디나비아관 테마 음악. 여섯 개의 오픈릴 테이프에 담긴 음악을 반복 재생하도록 작곡되었으며 작곡자 지시에 따르면 연주시간은 102년.
  • 존 케이지: 오르간2 / ASLSP
원곡은 1985년에 작곡된 피아노 독주곡 'I' 였는데, 2년 뒤에 파이프오르간 독주용으로 편곡한 것이 이 곡이다. 연주에 따라 1분 미만에서 80분까지 다양한 소요 시간을 보이고 있지만, 곡에는 아무런 빠르기 지시 없이 그저 '가능한한 매우 느리게'(ASLSP=As SLow aS Possible)라고만 되어 있어서 절대적 기준은 없다.[6] 2001년 9월 5일에 독일 작센-안할트의 할버슈타트에 있는 부르하르디 가톨릭 수도원 유적에 설치한 소형 자동 오르간으로 시작한 연주가 2020년 기준 이 곡을 가장 느리게 연주하고 있는 사례로, 총 639년이 소요될 예정이다. 연주라고는 해도 몇 년에 한 번씩 관을 갈아끼우거나 빼서 음을 1~4개 바꾸는 정도고, 이 찰나를 보려고 청중들이 몰려들고 있다. 2020년 기준으로 가장 최근의 음 변화는 2022년 2월 5일이며, 연주가 끝나는 해는 2639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할버슈타트의 존 케이지 오르간 프로젝트 홈페이지 (독어)
  • 젬 파이너: 롱플레이어
2020년 기준 세계에서 가장 긴 음악. 젬 파이너는 영국 록밴드 '더 포그스(The Pogues)' 의 밴조 주자 겸 작곡가다. 2000년 1월 1일에 런던의 클럽 'O2' 에서 이 작품의 연주가 시작되었고, 끝나려면 2999년 12월 31일이 돼야 한다. 즉, 전체 연주 시간 1000년. 롱플레이어 프로젝트 홈페이지 심지어 2999년 12월 31일 연주가 종료된 이후 다른 곡을 1000년 동안 틀기 때문에 총 연주시간은 2000년이다.
  • 코스기 타케히사: 혁명을 위한 음악
작곡자가 잡은 연주시간이 10년. 그 악보는 이러하다: "지금부터 5년간 한쪽 눈을 파내라. 5년이 지나면, 다른 한쪽 눈도 똑같이 하라."[7] 이것이 악보의 전부이며, 당연하게도 이 곡을 연주하겠다고 나서는 이는 아직 없다. 일종의 위험 음악.[8]
다만 해당 곡의 경우 음악적 기법만 빌려왔을 뿐 문학적 의미가 더 강하므로 음악이 아닌 문학으로 보는 의견이 강하다.


[1] 비디오에선 2번만 반복 연주하고 주제를 한 번 연주하는 것으로 끝난다. [2] '개를 위한 정말로 엉성한 전주곡' 이라든가 ' 관료적인 소나티네', 심지어는 '바싹 마른 배아' 같은 것들. [3] 사티 자신이 창시한 1인 종교로 사티 자신만 믿었다. [4] 출처: <모나리자, 모차르트를 만나다> [5] 뉴욕 타임스의 평론가인 하워드 클라인도 연주자로 참가했다. [6] 엄밀히 말하자면 이 곡이 오래 연주되는 곡의 리스트에 포함된 이유는 그만큼 느리게 연주되기 때문이다. 다만 어느 정도 이상으로 느려질 경우 인간의 뇌가 그것을 음악으로 '즐기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론상, 박자가 33bpm 이하로 떨어질 경우 각 비트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어져서 우리의 뇌가 그걸 서로 연결해서 받아들이지 못하게 된다고. 유튜브에서는 1주에 한 비트씩 연주하는 영상 시리즈가 업로드되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7] 今から五年間、片方の目を抉り出しておきなさい。 五年経ったら、もう一つの目も同様にしなさい。 [8]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도 '딕 히긴스를 위한 위험 음악'이라는 작품에서 연주자에게 "살아있는 고래의 질 속에 들어가시오."라고 지시하고 있다. 당연히 이 곡도 아직껏 연주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