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마약류·임시마약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문서가 있는 마약류 및 임시마약류 목록 | |||
<colbgcolor=#bdbdbd,#111>
마 약 류 |
<colbgcolor=#bdbdbd,#111> 마약[1] |
가목
양귀비 나목
아편 다목 미처리
코카 잎 라목 코카인, 데소모르핀, 헤로인, 히드로코돈, 히드로모르피놀, 모르핀, 옥시코돈, 코데인 마목 펜타닐, 메타돈 및 메타돈 제조중간체, 카르펜타닐 |
||
향정신성 의약품[2] |
<colbgcolor=#d5d5d5,#222> 비의료용 | 가목 부포테닌, 디메틸트립타민, LSD, 사일로시빈, 사일로신, 펜사이클리딘 유사체, 메스케치논 및 유사체(α-PVP 등), 크라톰 및 미트라지닌, 고메오, 브로모-드래곤에프엘와이, 벤조디아제핀 계열 4종 | ||
의료용 |
나목
암페타민(
애더럴),
메스암페타민,
메틸페니데이트,
펜메트라진,
펜사이클리딘,
MDMA,
살비아 디비노럼,
케타민 다목 바르비투르산 계열( 바르비탈, 펜토바르비탈 등), 알릴이소프로필아세틸우레아, 플루니트라제팜 라목 벤조디아제핀 계열( 로라제팜 등), BZRA 계열( 조피클론, 졸피뎀), 카틴, 클로랄히드레이트, 마진돌, 페몰린, 펜터민, 날부핀, 지에이치비, 덱스트로메토르판, 프로포폴 |
|||
대마[3] | 가목 대마초와 그 수지(樹脂) 나목 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모든 제품 다목 동일한 화학적 합성품( CBN, THC, CBD) | |||
임시마약류[4] | 리세르가미드( LSD 유사체) 일부, 합성칸나비노이드( HHCH 등) 일부, 암페타민 유사체 일부, 벤조디아제핀 유사체 일부, 랏슈, 감마부티로락톤 | |||
기타[5] | 환각버섯류, 데이트 강간 약물, 야바, 환각물질 | |||
[1] 법 제2조 제2호, 각 목별로 구분. 제2호의 성분을 포함한 혼합물질/제재는 바목에 의해 마약으로 분류되나, 한외마약은 제외됨. | }}}}}}}}} |
Vicodin
바이코딘 혹은 비코딘이라고 읽는다.
마약성 진통제 중 하나. 바이코딘이라는 명칭은 약품제조회사의 이름이며 정식 명칭은 아세트아미노펜 앤드 하이드로코돈(Acetaminophen and Hydrocodone), 즉 하이드로코돈과 아세트아미노펜의 복합제재이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우리가 흔히 먹는 타이레놀이라고 불리는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약품이며 오피오이드 계열의 성분인 하이드로코돈이 함께 사용되었다.
2016년 미국에서는 13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품으로써 4300만 건 이상을 기록했을 정도로 비교적 안전한 진통제에 속한다.
함량성분에 따라서 바이코딘, 바이코딘 ES, 바이코든 HP로 분류되며 큰 기준은 하이드로코돈이 5mg에서 2.5mg씩 늘어나며 HP의 경우 10mg 함유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 공명음, 기도 팽창, 환각, 호흡곤란, 위통 등의 부작용을 일으킨다. 또한 미국 식품의약청(FDA)이 운전이나 기계를 다룰 때 필요한 정신적ㆍ육체적 능력을 훼손할 수 있다며 사용 주의를 경고한 약물이다.
미국 드라마 House M.D.로 한국에 많이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는 하우스처럼 사탕 까먹듯 덥썩덥썩 집어먹으면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하다. 실제로 하우스 역시 바이코딘의 부작용 중 하나인 환각으로 고생한다.[1] 하이드로코돈의 부작용도 무섭지만 아세트아미노펜의 간 독성 때문에 간이 맛이 갈지도 모른다. 하지만 실제로 바이코딘 과용으로 간에 손상이 가려면 하루에 4000mg씩 먹어야 하는데, 그 조그만 알약을 일부러 이렇게 많이 먹기도 쉽지 않다. 바이코딘이 체내에서 제거되는 반감기도 불과 4시간 정도로 약물 가운데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안전한 약물로 꼽히는데, 사실 간 손상이 올 만큼 먹으려면 사용자 본인의 고의가 아니고서야 사실 불가능하긴 하다.[2]
미국 시트콤 프렌즈의 챈들러 빙이 극중 체격이 많이 오락가락했던 것이 해당 배우인 매튜 페리의 바이코딘 남용 문제 때문. 매튜 페리는 하루에 바이코딘을 55정씩 먹었다고 한다.
소설 및 영화 마션에서 주인공 와트니가 케첩이 떨어지고 나서 조미료로 이 약을 곁들여 감자를 먹고 있다.
에미넴이 한때 처방전 약품의 중독으로 고생했는데, 그 약품 중 하나가 바이코딘이다.[3] 그는 무려 하루에 발륨 40정, 바이코딘 30정씩 섭취한 결과, 체중이 100kg까지 늘고 정기적으로 패스트푸드를 먹게 되었다고 한다. 나중에는 약물 중독에서 벗어나게 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메타돈 과용으로 병원에 실려갔는데, 무려 헤로인 4봉지 분량이 뱃속에 들어있는 것과 맞먹는다는 얘기를 듣고 2시간 내 사망에 이를 것이라는 의사의 진단을 받았고, 홀로 남게 될 딸을 바라보면서 약물을 끊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약물을 끊고 나니 처음 몇 주간은 일상생활이 불가능하고 티비만 바라보고 있었고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다시 배워야 할 정도였다고. 에미넴의 6집 Relapse의 16번 트랙 Deja Vu에서 관련 이야기가 잘 쓰여 있다.
프로레슬러 에디 게레로의 사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 중 하나가 바로 이 바이코딘이라고 그의 주변 사람들이 이야기 하곤 했다. 특히 그의 조카이자 파트너인 차보 게레로는 크리스 제리코와의 대담에서 "(평소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음주 문제에 대해)마지막 4년 동안 에디 게레로는 술에 취한 적이 없다."고 이야기한 뒤 "바이코딘과 소마(카리소프로돌) 등 마약성 진통제로 인해 심장에 좋지 않은 영향이 있었고, 이것이 심부전증의 원인이 됐다"고 주장했다.
[1]
시즌5 에피소드 23화.
[2]
극중에서도 "하우스 박사의 머리 속에 들어가보고 싶지?(You really want to get into his head?)"라며 호기심에 바이코딘을 집어먹은
에릭 포어맨과
크리스 타웁이
정신줄을 놓는
에피소드가 있었다.(시즌6 17화) 어떤 마약중독자가 외진에 왔었는데,
에릭 포어맨이 바이코딘을 발견하고 압수한 채, 병원 측에 반납하지 않고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해당 에피에서 두 의사는 바이코딘을 2알씩 먹는다. 서류창고에서 히히덕거리면서 서로 쫓아다니는게 킬포(…)
[3]
발륨, 암비엔 등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