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08:48:14

무하지르

1. 사전적 의미2. 구 오스만 제국 영토 출신 무슬림 난민
2.1. 구 오스만 제국 영토 출신 알바니아인 난민
3. 인도 방글라데시 영토 출신 파키스탄 무슬림

1. 사전적 의미

영어: Muhajir
아랍어: مهاجر
튀르키예어: Muhacir
우르두어: مہاجر
알바니아어: Muhaxhir

아랍어 이민자라는 의미다. 예언자 무함마드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할 때 같이 온 초창기 무슬림들을 칭하는 어휘이다. 무하지르랑 반대되는 개념으로 메디나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한 주민들은 "안사르"라고 불리었다. 자세한 사항은 사하바 문서 참고. 근현대 정치적, 역사학적 문맥에선 '난민'이란 뜻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2. 오스만 제국 영토 출신 무슬림 난민

오스만 제국 시절 발칸반도에는 많은 무슬림들이 살고 있었는데 이들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 아래에서 발칸 반도로 이주한 튀르크인들이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이슬람으로 개종한 현지인들의 후손들이었으며 발칸반도의 기독교인 신민들을 견제하는 역할로 오스만 제국의 통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였으나 18세기 말부터 오스만 제국이 쇠퇴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그리스를 시작으로 민족정체성을 자각한 기독교인들이 하나둘 독립에 성공하면서 그 땅에 남겨진 무슬림들은 '침략자 튀르크 놈들의 앞잡이'라는 이유로 보복과 박해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하여 독립한 옛 오스만 제국 영토에 거주하던 수많은 무슬림들이 독립한 기독교인 국가들의 보복을 피해 아직 남아있던 오스만 제국 영토로 도망쳤다. 한편 러시아 제국에 정복당한 크림반도 크림 타타르인이나 체르케스인 대학살을 당한 캅카스 체르케스인 등 러시아 제국의 무슬림들도 러시아의 박해를 피해 오스만 영토로 흘러들어왔다.

오스만 제국이 멸망하고 튀르키예 공화국이 들어선 후에도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무슬림들이 튀르키예로 유입되었으며 그 규모는 1783년부터 2016년까지 발칸반도 출신의 무슬림만 해도 최소 550만 명에서 최대 700만 명에 달했다. 그런 이유로 오늘날 수많은 튀르키예인들이 구 오스만 제국 영토 출신 무슬림 난민 혈통을 가지고 있으며 그 수는 튀르키예인의 최대 33%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2.1. 구 오스만 제국 영토 출신 알바니아인 난민

위의 오스만 제국 영토 출신 무슬림 난민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세르비아, 그리스, 몬테네그로 일대에 거주하던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이 당국에 의해 쫓겨나 알바니아 코소보 일대로 몰려온 경우를 가리킨다. 오늘날 무하지르 혈통을 가지고 있는 알바니아인들은 알바니아와 코소보에 거주하는 알바니아인의 최대 33%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3. 인도 방글라데시 영토 출신 파키스탄 무슬림

인도이란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민족 | 인도이란인
<colbgcolor=#eef6ef,#323433> 이란계 민족 페르시아인( 파르시 | 라르인 | 타지크 | 아이마크인) | 파미르인( 와키인 | 사리콜리인 | 슈그니인) | 쿠르드족( 자자족 | 야지디족) | 페르시아계 유대인 | 발루치인 | 파슈툰인 | 오세트인 | 부하라 유대인 | 산악 유대인 | 타트인 | 탈리시인 | 하자라인 | 소그드인 † ( 야그노비인) | 루르인 | 길란인 | 마잔다란인 | 셈난인 | 스키타이인 † | 메디아인 † | 파르티아인
누리스탄인
인도아리아인 다르드인( 카슈미르인 | 파샤이인) | 신드인 | 펀자브인( 사라이키인) | 벵골인( 로힝야) | 싱할라인 | 칼라쉬인 | 자트인 | 네팔인 | 구자라트인 | 구자르인 | 몰디브인 | 마라티인 | 라자스탄인( 라지푸트) | 힌두스탄인( 무하지르) | 비하르인 | 아삼인 | 오디아인 | 콘칸인( 고안 가톨릭) | 집시 | 미탄니인 † | 오손
언어 | 인도이란어파 지역
독립국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쿠르디스탄( 파일:로자바 상징기.svg 로자바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이라크 쿠르디스탄 | 튀르키예령 쿠르디스탄 | 이란령 쿠르디스탄) | 파일:북오세티야 국기.svg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 파일:1599px-Flag_of_Balochistan.svg.png 발루치스탄( 파키스탄령 발루치스탄 | 시스탄오발루체스탄 | 아프가니스탄령 발루치스탄)
사회문화
언어 인도이란어파
사상 범이란주의 | 범아리아주의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디스탄 독립운동 | 파일:발루치족 깃발.svg 발루치스탄 독립운동
신화 페르시아 신화 | 인도 신화 | 오세트 신화 }}}}}}}}}

남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인도인 파키스탄인 방글라데시인 스리랑카인 네팔인
티베트인 파슈툰인 펀자브인 타밀인 벵골인
로힝야 카슈미르인 브라후이족 발루치인 신드인
펀자브인 누리스탄인 자트인 싱할라인 파샤이인
구자르인 구자라트인 라지푸트 마라티인 몰디브인
사라이키인 아삼인 오디아인 인도 흑인 고안 가톨릭
콘칸인 파르시 셰르파 문파족 문다인
베다족 납파족 칼라쉬인 하자라인 아프가니스탄인
부탄인 아프가니스탄계 인도인 인도 유대인 파미르인 와키인
텔루구인 툴루족 부루쇼인 러시아계 아프가니스탄인 아프간 키질바시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1947년 인도 분단 와중에 오늘날 파키스탄 영토 이외에 인도 아대륙에서 파키스탄으로 피난온 인도계 무슬림을 의미한다. 주로 신드 주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 상당수가 구자라트 지역에서 이주해 왔으나 힌디어 사용 지역에서 온 인구도 적지 않았고 상류층들이 우르두어를 사용하는 영향으로 힌디어와 유사한 이슬람 종교 용어 우르두어를 모어로 사용한다.

구자라트계 무하지르 및 그 후손은 350만여 명, 힌디어 사용 지역 출신은 120만여 명 정도로 추정되지만 신드인, 펀자브인과의 통혼이 흔해서 정확한 추산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