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padding: 5px 10px 4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010066 0%, #010066 78%, #cc0000 78%, #cc0000 81%, #fff 81%, #fff 84%, #cc0000 84%, #cc0000 87%, #fff 87%, #fff 90%, #cc0000 90%, #cc0000 93%, #fff 93%, #fff 96%, #cc0000 96%, #cc000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cc0000>상징 | 잘루르 그밀랑 · 국가 · 국호 |
역사 | 역사 전반 · 스리위자야 · 마자파힛 제국 · 믈라카 술탄국 · 영국령 말라야( 말레이 연합주 · 말레이 비연합주 · 해협식민지 · 사라왁 왕국 · 북보르네오) · 일본령 말라야 · 말라야 연합 · 말라야 연방 · 말라야 비상사태 · 말레이시아 공산반란 | |
정치 | 정치 전반 · 양 디페르투안 아공 · 말레이시아/이념 · 정당들( 희망동맹 · 국민전선 · 사라왁 정당연합 · 국민연합) · 푸트라자야 · 분리주의( 동말레이시아) · 인종차별 정책( 말레이시아 이민국 · 부미푸트라) · 14번째 주 | |
경제 | 경제 · 말레이시아 링깃 ·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 페트로나스 · 페로두아 · 프로톤 · KL118 | |
국방 | 말레이시아군 ( 말레이시아 해군 · PASKAL · 조호르군) | |
외교 | 외교 전반 · ASEAN · IPEF · 영연방 · 말레이권 · 이슬람 협력기구 · 비자/말레이시아 | |
교통 | 교통 전반 · 말레이시아 항공 · 에어아시아 · 동남아시아의 철도 환경( 말레이 철도 · 쿠알라룸푸르 도시철도)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말레이시아 요리 · 말레이시아 영화 · 말레이시아 스포츠(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 이슬람교 · 세계유산 · 말레이시아인( 말레이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 크리스탕) | |
언어 | 마인어 ( 믈라카 말레이어 · 사라왁 말레이어 · 사바 말레이어 · 수도권 말레이어 · 클란탄 말레이어 · 크다 말레이어 · 트렝가누 말레이어) · 라틴 문자 | |
사회 | 사회 전반 · SPM · ( 말라야 대학교 · 푸트라 대학교 · 사바 대학교 · 헬프 대학교) | |
기타 | 말레이 반도 · 보르네오 섬 · 압둘 라작 · 말라야 ·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
동남아시아의 경제 | ||||
ASEAN-5 | ||||
[[인도네시아/경제| 인도네시아]] |
[[태국/경제| 태국]] |
[[말레이시아/경제| 말레이시아]] |
[[베트남/경제| 베트남]] |
[[필리핀/경제| 필리핀]] |
ASEAN-10 | ||||
[[미얀마/경제| 미얀마]] |
[[캄보디아/경제| 캄보디아]] |
[[라오스/경제| 라오스]] |
[[브루나이/경제| 브루나이]] |
[[싱가포르/경제| 싱가포르]] |
ASEAN 가입 후보 | ||||
[[동티모르/경제| 동티모르]] |
[[파푸아뉴기니/경제| 파푸아뉴기니]] |
말레이시아의 경제 정보[1] | ||
인구 | 32,760,760명[2] | 2020년 |
경제 규모(명목 GDP) | 3,870억 달러 | 2021년 |
경제 규모( PPP) | 1조 70억 달러 | 2019년 |
1인당 명목 GDP | 11,649 달러 | 2021년 |
1인당 PPP | 36,120 달러 | 2019년 |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 52.5%[3] | 2017년 |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 A3 | 2013년, 7등급[4] |
1. 개요
말레이시아의 경제를 다룬 문서이다.전반적으로는 중진국의 경제체급을 가지고 있으나, 주거복지제도가 잘 되어있는데다 생필품과 식료품 가격을 싸게 통제하는 등 생각보다 복지 수준은 괜찮은 편이다. 가처분소득도 꽤 높아서 PPP는 약 $32,000에 달한다. 비교하자면 그리스가 $30,000 정도고 포르투갈이 $33,000 정도다. 지역마다 차이는 다소 있지만 대체로 대한민국의 1990년대~ 2000년대 초반 정도의 생활 수준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2. 역사
1인당 국민소득이 넘사벽인 싱가포르 및 산유국 브루나이를 제외하고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11,000달러[5] 가량이다.사실 오래 전부터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에서는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경제부국이었는데, 1960년 기준으로[6] 말레이시아의 1인당 GDP는 244달러로 싱가포르(428달러), 필리핀(264달러)[7]보다는 낮은 편이었지만 태국(104달러), 캄보디아(115달러)보다는 높았다.[8]
여하튼 말레이시아의 1인당 GDP가 세계 평균의 절반을 넘긴 것도 한국보다 빠른 1973년이었고,[9] 1977년까지는 1인당 국민소득도 한국보다 높았다.[10] 다만 유의해야할 점은 이 때 말레이시아가 한국에 비해서 잘 살았다고 해도, 어디까지나 한국에 비해 잘살았다 정도로 알아야지, 이때도 말레이시아는 지금처럼 빈부격차가 굉장히 심한 나라인데다가 종족간 불균형도 심각하다보니 실제론 인구의 상당수가 그렇게 풍족한 생활까지는 못했다는 점이다.[11]
과거 말레이시아가 한국에 대해서 어느정도 우월감을 가졌었는데, 1970년대 말에 한국이 말레이시아의 1인당 GDP를 앞선 것이 말레이시아 정부당국이나 경제계에서 상당한 충격을 주면서 이후로 마하티르 정부가 동방정책을 펴는데 영향을 주었다. 1966년 첫 한국 방문 이후 한국을 방문할 때마다 빠르게 변신하는 모습과 그 원동력인 ‘ 새마을운동’을 접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이는 마하티르의 경제개발 정책인 '동방정책'의 출발 배경이 되었다고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직접 밝힌 내용이다. 마하티르 말레이시아 前총리, 동방정책과 한국을 말하다 이에 따라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에도 유학생을 내보내는 계기가 되었다.
1980년대 중반 선진국들 간의 플라자 합의의 영향으로 경상수지 흑자 효과를 톡톡히 맛본 말레이시아는 태국과 함께 10여년간 평균 경제성장률 8~10%를 기록하는 등 최전성기를 맞았다. 석유와 천연가스값 하락으로 재정수입이 크게 주는 등 여파가 없지는 않았지만 그럼에도 알제리나 베네수엘라, 소련 같은 나라들처럼 국가자체가 막장화되는 기로를 걷지는 않았고, 나름대로 제조업과 금융업 등에 꾸준히 투자한 것이 신흥공업국 진입에 큰 도움이 된 것이다. 이 때는 서구 경제학계에서 아시아의 네 마리 용에 버금가는 '다섯 마리 용'을 별도로 지칭할 정도로 말레이시아는 전국민적으로 커다란 희망에 부풀어 있었다.
그러나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말레이시아는 98년 경제성장률이 -7.4%를 기록하며 휘청거렸다. 그러나 마하티르 총리는 미국과 IMF가 요구하던 신자유주의 처방(고금리, 금융자유화, 기업구조조정, 공기업 해외매각, 규제완화 등)을 단호하게 거부하고, 독자적인 경제정책으로 IMF 금융지원을 받지 않고도 외환위기를 단 1년 만에 극복하였고[12] 2010년대까지도 대체적으로 연 4-5%대 가량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는 등, 아직도 경제위기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 인도네시아나 태국 등에 비해 나름 선방한 편이지만, 중국을 대표한 BRICS 국가들의 급부상에 다소 밀리면서 90년대 시절의 분위기까지 이끌어내지는 못하고 있다. 1인당 GDP가 5000달러를 넘긴 것도 2005년(5536달러)이고 1만 달러를 넘긴 것도 2011년(10209달러)이다. 2021년 현재 말레이시아의 1인당 GDP는 11109달러.
사실 말레이시아가 한국에 1인당 GDP에서 뒤처지게 된 결정적인 요인은 1980년대 중후반 당시에 석유값 하락으로 1980년대 중후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경기침체를 겪었다는 점이 컸었는데, 이때 벌어진 갭이 아직도 좁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13] 1984년부터 1986년까지 말레이시아의 1인당 GDP는 2311달러에서 1783달러로 줄었고, 1984년 수치를 다시 회복한 것도 1990년에 이르러서였다.
덤으로 한국과의 1인당 PPP는 2000년대 중반에 약 9,000불 정도까지 벌어졌고 현재는 2022년 IMF 4월 추정치 기준 PPP는 한국 53,051달러 말레이시아 32,901달러로 약 20,000불 가량 차이가 난다.
2.1. 현황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2019년 5월 7일에 경기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3.25%에서 3.00%로 인하했다. #말레이시아는 전자상거래시장이 점점 커질 전망을 보이고 있다. #
세계경제가 무역전쟁 여파로 침체국면에 있는 동안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이슬람 경제가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이중 말레이시아가 이슬람 금융을 포함한 이슬람 경제의 리더로 우뚝서고 있다. #
말레이시아에서 전자상거래가 활발해지면서 매장들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
코로나-19로 인해 말레이시아 내 기업 1만곳 이상이 파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
3. 노동자 유출/유입 현황
아주 잘산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주변국들보다 훨씬 나은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굳이 한국으로 막노동하러 오는 사람이 드물고[14], 말레이시아인의 대한민국 입국심사는 동남아 타국 국적자에 비해 매우 널널한 편이다.[15]하지만 그렇다고 외국으로 일하러 가는 사람이 없는 것은 아니다. 싱가포르에서 가정부, 청소부 등 일용직으로 일하는 사람들 가운데서 말레이시아인들이 많다. 말레이시아가 아주 못살지는 않지만 싱가포르에서 일하면 말레이시아에서 버는 것보다 돈을 더 많이 벌 수있고 위치도 가깝기도 하니 싱가포르로 가는 것이다.[16]
중계무역의 거점 싱가포르와 석유로 먹고사는 브루나이만큼은 아니겠지만, 1990년대 상당한 고도 경제성장을 이룩한 덕택에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베트남 등지에서 노동자들이 많이 유입되는 상황이다. 물론 시급은 한국에 비하면 크게 짠데다가 대우도 열악한 편이다.[17]
그래도 평균 임금 수준은 동남아에서 싱가포르와 브루나이 다음으로 높은 축이다. 실질적인 봉급수준은 한국보다 낮은 월 80만원 정도이지만 정부차원에서 식료품과 연료비 및 생필품의 가격을 낮게 통제하고 있고 대다수의 말레이시아인들은 주거비 부담이 적은 국공립임대아파트에서 살기 때문에 통계상으로 나오는 1인당 국민소득 수준에 비해서 실질적인 국민생활 수준은 상당히 높은 편이라 브라질과 멕시코 등 비슷한 수준의 1인당 국민소득을 지니고있는 나라에 비해서는 풍요롭게 사는 편이다. [18]
그래서 한국에 오는 무슬림 관광객들 대다수는 말레이시아에서 온다. 물론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식료품이나 생필품 가격은 낮게 유지하지만 그 만큼 공산품을 비싸게 책정해서 메꾸기 때문에 공산품 가격이 굉장히 비싸서[19] 아무래도 얼리어답터나 차덕후들에게 답답한 나라임은 틀림없다. 게다가 2010년대 이후로 부가가치세가 도입되고 정부보조금이 감축되면서 생필품 가격이 이전보다 크게 높아지는 추세이다.
4. 빈부 격차
지니계수는 0.4 초반대를 찍고 있어서 생각보다 빈부격차가 큰 편이다. 지역격차도 큰 편이라서 쿠알라룸푸르를 비롯한 수도권 지역은 1인당 연수입이 121,293 링깃, 29,700달러, 약 3,500만원 정도로 한국 전체 평균과 차이가 꽤나 나지만(한국은 34000달러로 이정도면 꽤 차이 나는것이다. 1인당 gdp가 30000달러가 넘어야 선진국으로 볼 수 있는데 말레이시아는 수도도 넘지 못하기 때문.), 그 외 다른 지역들은 그 절반이 되지 않으며 클란탄 지역은 1/10밖에 안된다.)[20] 물론 아직도 60~70년대 한국 수준의 깡촌지역이 즐비한 태국의 20배 차이보다는 나은 편이고 21세기 이전의 상황에 비하면 많이 좋아지기도 했으나 아직도 고쳐야할 것은 많고 갈 길이 멀다.[21] 말레이시아 정부에서 불평등해소에 주력했다고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말레이계와 중국계 민족간의 불평등 해소지, 상류층과 하류층간의 불평등 해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사실 1980년대까지는 그런대로 제 기능을 수행해와서 빈곤율을 급감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지만 말레이시아가 어느정도 먹고 사는 나라가 된 1990년대 이후로는 성격이 변질되어서 사실상 지지층에게 떡고물 나눠주기 용도가 된거 아니냐는 소리를 듣고 있다. 물론 말레이시아 정계 내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을 모르는것은 아니라서 2000년대 이후로는 부마푸트라 정책을 완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부마푸트라 정책을 완화하려고 할때마다 말레이계 표심이 흔들리기 일쑤이기 때문에 제대로 집행을 하기가 쉽지않은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이 때문에 인터넷의 일면만 보고 판단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특히 그런 사람들이 소개하는 영상 중에 말레이시아의 중산층이라고 소개하는 글이나 사진, 영상을 보고 잘못 판단하면 절대 안된다. 실제 말레이시아에 가보면 그 정도면 부유층의 범주에 해당하는 사람들로 말레이시아에서도 수영장 딸린 저택같은 집은 고급 주택이며 이곳에서 살려면 집값이 굉장히 비싸기 때문에 대다수의 젊은 직장인들은 집이 없거나 정부소유 공공 임대 아파트에서 집세 내고 사는 경우가 많다.
또한 말레이시아 화교와 말레이인들과의 빈부격차도 꽤 크다. 사실 지금은 중국계, 인도계가 받는 봉급의 평균이 의외로 말레이계와 비슷하지만, 옛날부터 쌓은 재산이 많다보니 여전히 빈부격차가 큰 편이다.
5. 선진국 진입 가능성 / 중진국 함정
2020년까지 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정부에서 기간산업과 문화산업에 대한 투자에 매우 적극적이라고 한다. # 하지만 링크에서도 언급되었듯이, 2007~2008년에 촉발된 세계 금융위기로 인해 경제성장에 타격이 오자, 사실상 2030년을 목표로 수정하였다.2000년대 이후로 말레이시아의 경제성장률이 반토막나고 2011년에 말레이시아의 1인당 국민소득이 1만 달러를 돌파한 뒤에, 계속 그 수준에 머무르고 급기야 중국이랑 1인당 국민소득이 엇비슷해지면서 말레이시아가 태국과 같은 전형적인 중진국 함정에 빠졌다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개발도상국이던 시절에는 자본과 노동만 투입해도 쉽게 쉽게 경제가 성장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자본과 노동의 한계생산성이 떨어지면서 기술이나 혁신성, 제도, 문화와 같은 요소가 중요해지기 시작하는데 말레이시아는 저임금 직종에 집중하면서 많은 외국인 노동력을 들여보내는 사이에, 정작 자국의 고급인력은 고임금을 노리고 싱가포르로 많이 빠져나갔고, 임금을 억제한 결과로 2010년대 초반까지는 동남아에서 싱가포르와 브루나이 다음가는 최상위권이었지만 이제는 이조차도 위협받기 시작했으며, 앞으로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동북아시아로 빠져나가는것이 아니냐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판이다.
하지만 장기집권으로 인한 부정부패 문제가 심각한데다가 종교 갈등과 인종 갈등도 이전만큼은 아니라지만 여전히 심하고 이래저래 말이 많기 때문에 언제 얼마나 해결될 수 있는지는 미지수다. 또한 지정학적 유리함과 낮은 인건비로 일찍부터 외국 기업을 유치, 발전[22]했던 반대급부로 자국 브랜드의 세계적 수출대기업이 경제규모 대비 무척 희소한 문제점이 있는데, 이게 선진국 진입에 발목을 잡고 있다. 외국 기업은 인건비가 더 저렴한 중국이나 베트남, 필리핀 등 외국으로 탈출하는데 그 공백을 메우기가 힘든 것이다.[23] 2000년대 이후 말레이시아의 경제성장률이 침체된 가장 큰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다만 중진국 함정에 빠지지 않았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성장률이 4~5%대이긴 하지만 이는 말레이시아보다도 못사는 태국, 멕시코, 브라질 등등이 현재 1~3%의 침체기에 빠졌고, 터키 역시 성장률이 오락가락하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상당히 괜찮은 편이다. 무엇보다 그 중국도 1인당 GDP가 이제 겨우 10,000달러 수준에 진입한 상황에서 아시아의 중진국 가운데 그나마 선진국 진입이 가장 유력하다.
결론적으로는 말레이시아의 경제는 아직까지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사실이나,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있다. 앞으로 정치·사회 구조 혁신, 자국 브랜드 구축 여부에 따라 근미래에 선진국 진입이 가능할 수도 있다.
2008년 전후로 말레이시아의 1인당 GDP는 8,800달러로 동시기 3,400달러 정도이던 중국을 2.5배 넘게 앞섰지만, 현재 말레이시아는 11,200달러로 중국(12,500달러)에 2020년부터 추월당했다. 즉 말레이시아의 경제적 발전 기회를 중국에게 상당히 잠식했다고 볼수 있다. 이제는 중국도 말레이와 대등한 경제발전 단계에 진입했는데, 말레이로서는 세계 GDP 2위의 거대한 중국 경제와 직접 경쟁해야한다는 것이 말레이시아가 선진국 경제로 진입하는데 큰 벽이자 장애가 되고 있다. 동시에 말레이시아는 중국 의존도가 높고 자국의 산업이 내수 위주인지라 중국의 경기침체에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여느 나라와 비슷하게 말레이시아 또한 수도권과 나머지 지역의 격차가 상당히 큰 편이다. 수도인 쿠알라룸푸르에 한정하면 1인당 GDP는 약 28,000달러정도로 한국 최하위권인 부산의 생산성을 앞서지만, 나머지 지역의 생산성이 매우 낮다.
6. 수출 구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14px-Malaysia_treemap.png2012년 말레이시아의 수출 품목 구조, 파란색이 제조업, 흑색에 가까운 고동색은 석유 관련 산업, 붉은색이 건설자재, 보라색이 의료-화학-플라스틱산업, 진한 갈색이 철강 등의 제철업, 노랑색이 팜유 등의 농업, 초록색이 의류업, 연갈색은 식품업, 갈색은 광산업, 회색은 기타 미분류이다.[24]
현재 10대 수출품은 IC 등 집적회로 부품 조립가공, 트랜지스터등 반도체 전자부품, 석유가스 제품과 유류가공품 및 원유, 팜오일, 컴퓨터 HDD, 사무기, TV 등으로 석유와 팜오일을 제외하면 전자 부품이나 전자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집적회로나 반도체는 조립산업은 80년대 이후 말레이시아의 급속한 경제성장의 주된 동력이었고 중진국 중 최상위권까지 올려준 1등 공신. 이런 반도체 조립사업은 말레이지아 업체가 직접 실리콘 웨어퍼 등을 생산하는 것은 아니고 70-80년대 미국이나 일본 등에서 생산된 반도체 웨이퍼를 인건비가 싼 말레이지아로 가져와 절단 와이어본딩 조립 검사 시험과 패키징 등 완제품으로 조립하는 임가공으로 출발했다. 미국 반도체 회사의 IC 나 CPU 칩이나 트랜지스터 등 반도체에도 생산지가 말레이지아 라고 찍혀있는 걸 볼 수 있다. 이것이 말레이지아의 지리적 위치나 임금과 기술수준 정치적 안정에 맞아 대박을 친 것. 한국도 한때 마산 등에서 그런 반도체 선진국들의 반도체 임가공업을 했었다. 70년대 페어차일드 반도체가 싱가포르에 있던 반도체 조립 공장을 말레이로 옮긴 것을 시작으로 여러 유수의 미국 반도체 업체들이 옮겨오며 산업 인프라가 갖추어져 오늘날의 발전을 이루었다. 현재는 인텔이나 AMD 등 세계적인 반도체 업체들이 자사의 반도체 조립과 시험을 태국업체들에 외주주고 있다. 특히 이런 반도체 조립사업에 뛰어든 나라로는 필리핀이 있는데 필리핀도 1970년 부터 1990년대 까지는 말레이지아 못지않게 반도체 조립 사업이 흥했지만 인텔이 필리핀에서 사업 철수하는 등 기울기 시작해 지금은 완전히 몰락했다. 그 이유는 필리핀의 고질적인 전력 부족과 불안, 도로 공항 등 수송교통 낙후 등 산업 인프라의 부족과 훈련된 인력 부족 정치적 불안 등이 겹쳐 말레이지아로 사업을 옮겨오게 된 것이다.
현재는 반도체 최종 생산에서 시험이나 패키징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이를 자동화해 인력 의존을 줄이는데도 성공해서 반도체 완성품 같이 그렇게 고부가 가치는 아니지만 중진국 수준에는 적절한 부가가치를 올리며 세계 반도체 수요증가에 맞춰 말레이지아 최대의 수출 산업이 되고 있다. 이런 반도체 조립업으로 성공한 말레이지아 산업계의 고민은 신제품 개발과 핵심부품 생산 등 고부가 가치는 미국 등에서 이루어지고 그런 개발이나 생산 노하우가 말레이지아 업체로 넘어오고 있지 않아서 말레이지아 자체 반도체 업체는 없어서 말레이지아 산업 발전이 정체되고 선진국 진입에 장애가 있다는 것이다.
농업에서는 팜유와 LNG 가스, 목재, 쌀, 주석 등도 생산하고 있다. 팜유를 생산하는 기름야자 재배가 가장 농업 비중이 높다. 팜유 생산량에서 10여년 전까지는 세계 1위였지만 지금은 연간 생산량이 말레이의 2배나 되는 인도네시아에 밀려 2위가 되었지만 두 나라가 전세계 생산량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팜유의 세계 수요도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어서 계속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고 기름야자 재배면적이 늘어 열대우림 파괴가 늘어 이에 대한 우려가 높다.
고무 생산은 20세기 중반에는 독보적 1위 였지만 태국 인도네시아에 밀려나 3위로 밀려나더니 팜유의 생산이 늘어나며 고무가 밀려나 현재는 세계 6위 정도로 떨어졌다. 합금재료로 널리 쓰이는 주석도 과거에는 압도적 세계 1위 생산국이었으나 현재는 중국, 인도네시아 등에 밀려 10위 정도로 존재감이 없다. 20세기 중반까지는 말레이지아가 주석과 고무의 세계 생산및 수출 비중에서 압도적 비율을 차지해 세계지리 교과서에도 말레이지아를 주석과 고무의 주요산지로 소개할 정도였지만 지금은 거의 존재감이 없을 정도로 떨어졌다.
근래 들어서는 제조업 투자 및 고층빌딩 증축과 관광업의 활성화로 외국자본 투자유치에도 힘쓰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말레이시아 정부로부터 고층빌딩 증축 수주를 받기도 하였다. 심각한 인종간 빈부격차를 겪었던 연유로 부미푸트라 정책을 펼치고 있음에도 화교 기업의 영향력은 여전히 상당하고 화교 기업이 여러모로 견제를 받았지만 말레이시아가 경제발전하면서 같이 발전하다보니까 말레이시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비교적 높은 편이다.[25]
저가용 과자를 많이 수출한다. 싼 봉투 쿠키와 짝퉁 프링글스 등 맛도 괜찮고 가격도 좋다. 슈퍼에서 싼 가격의 과자를 보면 말레이시아산이 많으며 하청으로 중급 과자도 만든다.
공산품의 경우 동남아 기준으로 친다면 공업이 잘 발달되어있다고는 하나 질이 여러모로 떨어지는데다가,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한 높은 보호관세[26]로 인하여 대부분의 공산품이 한국보다 비싸다. 같은 물건일 경우 한국보다 평균적으로 15% 이상 비싸다고 보면 된다. 예를 들면, 2013년 기준으로 쏘나타 한 대를 사려면 한화로 5,500만원 정도가 든다든가[27], 한국에서 25~30만원정도 하는 르쿠르제 냄비가 이 나라에서 70만원쯤 한다든가... 하여간 수도 없이 많다. 그래서 말레이시아인들이 한국에 올 경우 식품과 교통비를 제외하면 되려 물가가 싸다고 느낄 정도라고 한다.[28]
석유도 나온다. 그러나 다른 기름 나오는 개도국들과 마찬가지로 정제기술이 떨어져 싱가포르같은 나라에 원유를 수출한 후 정제한 석유를 다시 수입해 오는 경우가 많다. 특이한 것은 한국의 세종시에 해당하는 행정수도(administration centre) 푸트라자야(Putrajaya)를 건설하면서 조경용[29]으로 인공호수를 파기 위해 지질 조사를 했는데... 석유가 나왔다! 다만 미래를 위해 당장은 안 파고 그냥 묻어뒀다고.
7. 식생활
동남아답게 먹을 것이 풍족한데다가 정부 차원에서 식료품 가격을 낮게 유지하도록 보조금을 투입하기 때문에 외식비는 한국의 50~7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현지인 상대 음식점에서는 그 이하다. 다만 현지인 상대 음식점은 본 요리는 700원~1,500원인데 식수 값이 1,000~3,000원씩 하는 경우가 많다. 외국인이나 관광객 대상 음식점도 식수 값은 꼭 받는다. 대체적으로 식수값은 한국 음식점이 아니라면 거의 받는다. 이는 동남아 지역 현지의 물 상태가 좋지 않고 정수 시설과 정수기 보급률이 낮기 때문에 수돗물을 그냥 먹을 경우 그대로 병원 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생수를 구입해 마시는데 일일이 끓여서 차를 마시는 것 아니라면 물은 모두 별도로 구입해야 한다.[30] 판매하는 물도 3단계로, 뚜껑이 흰색(마시는 물)은 표시와 달리 마시면 안 되는 것이고 파란색이 그 다음, 초록색이 제일 깨끗하다고 한다. 당연히 얼음 품질 역시 좋다는 장담은 못한다.인구의 절반 이상이 무슬림인 특성상 주로 닭고기와 양고기의 소비가 많은 편이며 돼지고기는 이슬람 율법상 말레이인들은 먹지 않는다. 그래도 중국계가 운영하는 중국 식당 가면 돼지고기 요리 다 팔고, 마트에도 non-halal 코너에서 돼지고기를 합법적으로 판매한다. 돼지고기 값도 싸서 삼겹살 1kg에 로컬정육점은 7,000원 정도하며 마트에 가면 9,000원 정도 한다.
원칙적으로 무슬림은 음주 금지다. 또한, 술값은 한국보다 2배 가량 비싸고, 담배값도 한국보다 약간 비싼 수준이다. 그래서 필리핀인들이 본국에서 빼돌린 저렴한 담배를 몰래 팔기도 한다. 특히 지리적으로 가까운 동부 보르네오의 버스 정류장이 주요 불법 밀수 담배의 판매루트라고 한다.
미얀마,태국,인도 등에서 노동자들이 일하러 많이 오는탓인지 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한 음식점에서 미얀마 음식과 태국 음식, 인도 음식을 같이 판매하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세속적인 분위기 때문인지 무슬림 국가이지만 돼지고기 요리도 많다.
8. 관광
관광면에서는 동남아시아 관광천국이자 주변국인 태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과 경쟁관계를 형성하며 내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총력을 쏟기도 한다. 동북부 해안은 몰디브가 부럽지 않은 맑은 물의 해변이다.[31]성수기에는 쿠알라룸푸르에서 해변가의 페리로 직접 가는 버스도 있다. 동부, 특히 북동부쪽은 상당히 보수적인 이슬람 문화가 남아 있으나 그래도 아프간처럼 꼴통 탈레반 수준은 아니니 걱정말자. 한국의 시골을 생각하면 된다. 한여름 강남 길거리에서 훌러덩 벗고 나이트에서 부킹하면서 불금을 불태워도 빤한 동네의 시골에서는 자연히 남의 시선 생각해서 조신해지는 수준. 그래도 태국의 퇴폐 문화나 싱가포르의 물가가 부담스러운 관광객이 적당히 경건하되 너무 답답하지 않은 곳을 찾는다면 말레이시아로 눈을 돌리는 것도 괜찮다. 보르네오 섬은 정말 웃음가득 친절한 서비스가 무엇인지 알게 해준다. 그러나 지역별로 건기, 우기가 다르고 우기에는 진짜 폭우의 힘[32]을 알게 될 터이니 배낭여행이라면 미리 날씨 잘 알아보고 떠나자.
9. 관련 문서
[1]
http://en.wikipedia.org/wiki/Malaysia
[2]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opulation
[3]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ublic_debt
[4]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30223081505309
[5]
PPP로는 무려 32,000달러나 된다.
[6]
이하 세계은행 통계 기준
[7]
사실 이것도 실제에 비해 고평가된 수치일 가능성이 높다. 필리핀의 1인당 GDP는 1962년 164달러로 토막났는데, 1962년 필리핀 경제성장률이 4.8%였던 것을 보면 환율 변동으로 인한 변화일 가능성이 높다.
[8]
동시기 한국은 158달러. 다만 공식환율이 실질환율의 2배 가량이었기에 실질적으로는 71달러 수준이라 봐도 무방하다.
[9]
정확히는 1973년 말레이시아의 1인당 GDP는 692달러였고, 세계 평균은 1188달러였다.
[10]
다만 한국이
오일쇼크 직격탄을 맞은 1980년 한정 말레이시아가 한국보다 높았다.
[11]
사실 이 때문에 경제력에 비해서 문맹률이 높게 측정되기도 한다. 1960년대까지는 말레이인들이 경제적으로 가난했다 보니 그 영향이 현재까지도 남은 것이다.
[12]
다만 1인당 GDP로 따지면 4706달러(1997)에서 3308달러(1998)로 떨어진 게 2004년에야 겨우 회복될 수 있었다.
[13]
사실 1981~1984년 말레이시아와 한국의 1인당 GDP는 100달러 안팎 수준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14]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싱가포르, 브루나이 다음 3번째로 경제규모가 크고, 국민소득도 비교적 높은 편이라 잘 사는 나라에 속한다.
[15]
동남아에서 말레이시아 다음으로 나름 잘사는 편인 태국인들도 높은 불법체류율 때문에 무비자 입국은 가능하지만 매우 까다롭게 진행하는데 비해 말레이시아인의 불법체류율은 매우 낮은 편이라 빠르게 진행하는편이다.
[16]
또 일할 기회가 있으면 구태여 안 오려고 하는 건 아닌데, 충청도의 모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말레이 박사 출신 연구직 직원이 있었다. 숙식제공에 월300정도면 말레이 기준으로 그 정도의 고급 인재가 일하기에 썩 나쁜 봉급이 아니라는 모양이다.
[17]
사실 말레이시아보다 잘 산다는 싱가포르나 브루나이, 홍콩, 및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등을 비롯한 중동 산유국들도 외국인 노동자를 많이 쓰지만 일용직 외국인 노동자의 임금이나 대우는 형편없기 매한가지인지라 딱히 말레이시아만 상황이 열악한 것은 아니기는 하다.
[18]
사실 저 둘은 치안도 막장이고 빈부격차는 매우 쩔어줄 정도로 심해서 말레이시아와 비교하긴 애매하다. 오히려 동유럽 선진국이나 그리스 같은 하위 선진국 보단 조금 낮은 수준으로 보는 게 더 낫다.
[19]
예를 들자면 말레이시아에서 판매하는 2017년형 갤럭시 A5-A7이 43~50만원이고, 소나타 8세대가 5,000만원(한국은 2,200~3000만원대)이 훌쩍 넘는다. 하지만 말레이시아 국민들의 1년소득 평균치는 한국보다 1/3~1/4 정도 낮은 1,000만원 남짓에 불과하며 게다가 더 소득이 낮은 지역도 군데군데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말레이시아에서는 어지간한 상류층이 아닌 이상 외제 공산품 구매가 매우 어렵다.
[20]
참고로 한국(2018)의 지역별 평균 연소득은
울산광역시가 5,200만원으로 1위이며,
서울특별시(4,800만원)이 그 다음이고, 전북(2,700만원), 강원(2,800만)이 가장 낮다. 전국 평균은 약 3,700만원이다.
[21]
한국(2배), 중국(5배)도 지역격차 때문에 이런저런 말이 많은데, 10~20배나 차이나는 정도면 아주 심각한 것이다.
[22]
첨단산업인 반도체 산업도 초창기에는 인건비 비중이 제법 높았고 그 시절(1970년대) 반도체 제조산업을 말레이시아가 많이 유치했다. 한국이 아직 LSI조차 생산하지 못했던 80년대 초, 말레이시아는 비록 외국기업의 팹이지만 LSI를 생산했었다. 2018년 지금도
인텔,
AMD CPU가 made in Malaysia인 이유다. 의류, 신발산업 등 정말로 노동집약적인 산업이 아닌, 어느정도 첨단이미지가 있는 산업조차 유치했다는 것이다.
[23]
1990년대
샤프,
카시오 공학용 계산기는 Made in Malaysia였다. 당연 지금은
Made in China.
[24]
http://en.wikipedia.org/wiki/Economy_of_Malaysia
[25]
이런 점은 인도네시아, 필리핀도 비슷하다.
[26]
품목별로 2%~300% 수준.
[27]
참고로 당시 쏘나타는 한국에서 2,500만원~3,000만원대에 판매되었다.
[28]
다만, 원화강세의 영향으로 2021년 4월 현재
애플제품은 한국보다 훨씬 싸다.
아이패드 미니 64G 기준으로 대략 10만 원 정도가 싸다.
[29]
실제로 가 보면 전체적인 도시 조경이 매우 아름답다. 자연과 도시의 조화라는 말이 딱 어울릴 정도. 도시 전체가 드라이브 코스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30]
애초에 식수값을 안 받는 나라가 많지 않다. 사실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할 수 있는 국가에서만 식수값을 받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
[31]
반대로 말하면 서부 해안 물은 좀 탁하다. 이점은 개인 취향인 것이 랑카위같은 서부 해변은 물이 짙은 남색에 파도도 강렬한 것이 강인함을 느끼게 한다. 동부 해변은 건기의 경우 물이 맑고 차분하다. 선택은 개인 취향.
[32]
한국의 집중호우가 가랑비로 보일 정도로 세차게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