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10:20:49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리오타르에서 넘어옴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 <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현상학 후설 · 셸러 · 슈타인 · 레비나스 · 앙리
하이데거
실존주의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야스퍼스 · 마르셀 · 카뮈
해석학 가다머 · 리쾨르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쩌둥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바디우 · 지젝 · 네그리
비판 이론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프레이저 · 호네트
구조주의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데리다 · 들뢰즈 · 가타리 · 리오타르 · 보드리야르 · 아감벤 · 버틀러
21세기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실용주의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굿맨 · 로티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비트겐슈타인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언어철학 콰인 · 촘스키 · 크립키 · 루이스 · 데이비드슨 · 더밋 / 피츠버그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심리철학 · 퍼트넘 · 포더 · 차머스 · 김재권 · 데닛 · 처칠랜드
20세기 과학철학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핸슨 · · 파이어아벤트 · 라카토슈 · 해킹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기술철학
엘륄 · 라투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미디어 철학
매클루언
정치철학 자유주의: 벌린 · 롤스 · 슈클라 · 노직 · 라즈 · 누스바움 · 레비 · 호페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푀겔린 · 랜드 · 아롱 · 커크 · 크리스톨 · 후쿠야마
윤리학 슈바이처 ·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레건 · 파핏 · 블랙번 · 싱어
인식론 게티어
법철학 라드브루흐 · 풀러 · 하트 · 드워킨
종교철학 부버 · 니부어 · 하츠혼 · 지라르 ·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바티모 · 크레이그
탈식민주의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페미니즘 이리가레 · 나딩스 · 길리건 · 해러웨이 · 오킨
생태주의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북친
관련문서 대륙철학 · 분석철학 }}}}}}}}}
<colbgcolor=#000><colcolor=#fff>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Jean-François Lyotard
파일:장프랑수아리오타르.jpg
본명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Jean-François Lyotard
출생 1924년 8월 10일
프랑스 베르사유
사망 1998년 4월 21일 (향년 74세)
프랑스 파리
국적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모교 파리 대학교
파리 제10대학교
경력 콘스탄틴 고등학교
라플라슈 앙리4세 대학
파리 대학교
파리 제10대학교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파리 제8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캠퍼스
에모리 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캠퍼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캠퍼스
위스콘신 대학교/밀워키 캠퍼스
국제철학학교
유럽대학원
직업 사회학자, 철학자
학파 트로츠키주의, 현상학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마르크스주의[1](후기)
배우자 돌로레스 지제크

1. 개요2. 생애3. 사상
3.1. 포스트 모더니즘3.2. 미적 숭고의 대상
4. 주요 저서5. 여담

[clearfix]

1. 개요

프랑스 철학자, 사회학자이자 문학 이론가. 포스트모더니즘과 인간의 관계, 숭고에 대한 개념, 미학과 정치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 생애

3. 사상

3.1. 포스트 모더니즘

포스트모던 철학자인 리오타르는 이제까지의 역사와 철학이 진행해온 통합서사(metanarrative), 곧 근대 이후의 이성주의적 방식에 기반한 '총체성을 지향하는 획일적인 가치체계'를 거부한다. 다원주의를 옹호하는 그는 '전체는 진리'라 주장하는 헤겔의 논의와 형식논리적 동일율을 거부하고, 모든 것을 하나의 이론 틀로 설명하려는 거시적, 전체적, 통합적 담론의 체계를 비판한다.

그는 근대철학부터 '진리'와 '정의'를 결합시키는 불가능한 작업을 진행해왔다고 주장하면서, 그것은 통합될 수 없는 것을 총체화한 거대한 신화체계라 지적하였다. 또한 과학, 도덕, 예술 영역간의 합의를 통해 보편자나 진리에 도달하는 하버마스의 철학을 비판하였으며, '합의'가 특정한 목적을 지닌 행위 중 하나로 억압과 폭력을 함축한다고 보았다.

그에 의하면 다양한 영역과 이론들은 서로 별개의 차원에 속한 언어놀이이기 때문에 그들간의 화해나 의사소통은 불가능하며, 이에 진행되어야 할 과정은 이론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다원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그는 다양한 담론 사이에 본성적으로 존재하는 차이를 '디퍼런드(differend)'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면서 담론들의 다원적 해방을 지지하였다. 왜냐하면 갈등 상황이 해결될 수 없는 논쟁에는 상호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판단의 규율이 부재하기에 제3의 판단이라는 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합의는 필연적으로 상대방의 희생을 전제하게 된다.

3.2. 미적 숭고의 대상

리오타르에 따르면 현대인의 대도시적 삶에서 위대한 아방가르드 예술작품이 숭고의 자연적 대상들을 대신하게 되었다. 아방가르드 예술작품은 경험의 주체로 하여금 인식능력의 한계를 느끼게 함으로 불쾌를 느끼게 하지만, 이 불쾌가 해소됨으로 인해 쾌를 느끼게 되어 숭고의 대상이 된다. 숭고를 공간 범주와 관련시킨 칸트와 달리, 그는 숭고를 시간 개념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예술로 규정되었던 규범을 벗어난 아방가르드 작품을 예술로 결정할 것인지 말 것인지에 대한 비결정성의 시간이 바로 '숭고의 시간성'의 의미가 된다.

4. 주요 저서

  • 현상학 La Phénoménologie, 1954.
  • 담론, 형상 Discourse, Figure, 1971.
  • 마르크스와 프로이트로부터의 표류 Dérive à partir de Marx et de Freud, 1973.
  • 리비도 경제 Économie libidinale, 1974.
  • 포스트모던의 조건 La Condition postmoderne, 1979.
  • 쟁론 Le Différend, 1983.
  • 지식인의 종언 Tombeau de l'intellectuel et autres papiers, 1984.
  • 포스트모더니즘 해명 Le Postmoderne expliqué aux enfants, 1986.
  • 비인간 L'Inhumain Causeries sur le temps, 1988.
  • 칸트의 숭고미에 대하여 Leçons sur l'analytique du sublime, 1991.
  • 왜 철학을 하는가? Pourquoi philosopher?, 2012.

5. 여담

  • 『포스트모던의 조건』이라는 책에서, 68혁명 이후에 벌어진 탈구조주의적 흐름을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정의를 내린 철학자로 유명하다. 물론 말로 표현되지 않았었지만 이미 1970년대 이후로 이런 사상적 흐름이 있어 왔다. 푸코, 라캉, 바르트 등의 후기 작품에서 구조주의를 벗어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으며, 데리다, 들뢰즈, 가타리 등의 철학에서는 완전한 탈구조주의적 철학이 보여진다. 이 사상적 흐름을 뒤늦게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단어로 콕 집어낸 사람이 바로 리오타르인 것.[2]

[1] Stephen Baker, The Fiction of Postmodernity, Rowman & Littlefield, 2000, p. 64. [2] 따라서 리오타르를 두코 포스트모더니즘의 첫번째 주자라고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