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03:39:45

데빌맨(TVA)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2년 아사히 신문이 철완 아톰 이후 50년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TV 애니메이션 104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순서는 연도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철완 아톰 밀림의 왕자 레오 요술공주 샐리 마하 GoGoGo 게게게의 키타로
거인의 별 비밀의 아코짱 타이거 마스크 사자에상 내일의 죠
루팡 3세 데빌맨 과학닌자대 갓챠맨 마징가 Z 에이스를 노려라!
알프스 소녀 하이디 마법소녀 메구짱 우주전함 야마토 만화 일본 옛날이야기 감바의 모험
타임보칸 잇큐씨 엄마찾아 삼만리 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 캔디캔디
얏타맨 미래소년 코난 은하철도 999 보물섬 빨강머리 앤
도라에몽 기동전사 건담 베르사이유의 장미 전설거신 이데온 닥터 슬럼프와 아라레짱
꼬마숙녀 치에 시끌별 녀석들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미래경찰 우라시맨 장갑기병 보톰즈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 캡틴 츠바사 북두의 권 터치 드래곤볼
세인트 세이야 시티헌터 키테레츠 대백과 날아라 호빵맨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마루코는 아홉살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짱구는 못말려
유유백서 닌자보이 란타로 슬램덩크 슬레이어즈 신세기 에반게리온
명탐정 코난 용자왕 가오가이가 포켓몬스터 소녀혁명 우테나 카우보이 비밥
카드캡터 사쿠라 오자루마루 꼬마마법사 레미 ∀건담 원피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방가방가 햄토리 갤럭시 엔젤 테니스의 왕자 오버맨 킹게이너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나루토 기동전사 건담 SEED 강철의 연금술사 플라네테스
빛의 전사 프리큐어 블리치 AIR 허니와 클로버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작안의 샤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은혼 제로의 사역마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천원돌파 그렌라간 전뇌 코일 기동전사 건담 00 트루 티어즈 마크로스 프론티어
스트라이크 위치스 이나즈마 일레븐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케이온!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골판지 전기 TIGER & BUNNY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출처 }}}}}}}}}
데빌맨 (1972~1973)
デビルマン
파일:데빌맨_TV애니.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장르 다크 판타지, 다크 히어로, 배틀, 액션
원작 나가이 고
캐릭터 디자인 코마츠바라 카즈오
음악 미사와 고(三沢 郷)
애니메이션 제작 토에이 동화
제작 NET
토에이 동화
방영 기간 1972. 07. 08. ~ 1973. 03. 3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NET / (토) 20:3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전38화 + 미방영 1화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

1. 개요2. 특징3. 등장인물4. 주제가5. 회차 목록6. 밈7. 기타

[clearfix]

1. 개요

데빌맨의 TV 애니메이션판. 1972년 토에이 동화가 제작해 NET 계열 각 민방에서 방영하였으며 총 39부작이다. TV 애니메이션에 감독을 둔다는 개념이 없던 시절의 작품이라 감독은 없으나 중요한 에피소드는 카츠마타 토모하루가 연출을 하고 다른 연출가들도 카츠마타의 연출을 따라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카츠마타의 작품색이 강하다.

주요 각본가는 츠지 마사키. 대부분의 각본을 츠지 마사키가 썼다. 나가이 고는 자신이 만화판 데빌맨의 주제를 말해주지 않았는데도 츠지 마사키 씨가 전쟁반대라는 데빌맨의 불변의 테마를 파악해서 잘 그려주었다며 인정하고 있다. 후반부에는 만화판에선 안 나오는 여러 입체적인 데몬이 나오는 것도 호평점. 다만 일본 서브 컬쳐 역사에 큰 충격을 던진 만화에 비하면 결말이 보통이라 만화책보단 평이 떨어지는 편. 그래도 이쪽도 충분히 명작의 반열이다. 츠지 마사키는 원작 만화에도 아이디어를 주었다고 한다.

나가이 고가 유년기에 읽었던 단테 신곡을 기반으로 하여 마왕 단테라는 작품을 만들었고, 그것을 더욱 발전시켜 TV 애니메이션으로 만들려던 스토리가 바로 이 데빌맨이다. 그런데 TV판의 방영과 연동해서 주간 소년 매거진에 만화 연재까지 하게 되었고, 그때 TV판에 없었던 "주인공을 악마의 길로 인도하는 자"로서 아스카 료라는 인물을 새로 집어넣었다. 그런데 이 인물로 인해 TV판과 코믹스판의 스토리는 완전히 다른 노선을 타게 된다. 나가이 고도 집필 후에 놀랐다고 한다.

데빌맨 TVA와 데빌맨 코믹스판 똑같이 1972년에 등장한 이 작품들 중 어느쪽이 원작인가 하는 문제가 있는데 정확하게는 TV판 방영이 만화 연재보다 더 먼저 시작되었다. 다만 나가이 고 본인이 만화의 애니화나 애니의 만화화 같은게 아닌 동일 설정을 사용하여 만든 두가지 작품이라고 언급했고 실제로도 두 작품의 내용은 아스카 료의 존재유무로 판이하게 달라지기 때문에 원작의 개념을 적용한다기 보다는 같은 작품의 다른 매체 판본으로 받아들이는게 맞다. 나가이 고는 자신의 작품의 애니메이션은 기획에 자신도 개입하기 때문에 마징가 Z, 겟타로보 같은 다른 작품도 만화와 애니 중 뭐가 원작이냐고 물으면 "둘 다 원작입니다." 라고 답변하곤 한다.

2. 특징

만화 원판의 비참하고 어두운 전개와는 많이 달라서 악마족의 데빌맨이 인간계 침략을 위해 후도 아키라의 몸에 빙의했지만 마키무라 미키와 사랑에 빠져서 인간들을 지키기로 결심하고 악마들과 맞서 싸우게 된다는 거대 히어로물(?)이다. 만화의 데빌맨은 변신한다고 커지지 않았지만 이 작품은 변신하면 인간의 3 ~ 4배 정도 크기로 커진다. 크기는 신축 가능.

만화판은 후도 아키라가 주인공이고 후도의 인간으로서의 인격이 데빌맨을 이겼지만, 이 작품은 후도 아키라는 1화에서 죽었다. 울트라맨처럼 둘의 인격이 섞인 것도 아니고 이 작품의 후도 아키라는 데빌맨 본인이다. 그러니까 아예 만화와 주인공이 다른 작품이며 게임으로 비유하면 IF 루트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츠지 마사키 말로는 애니메이션은 후도 아키라(데빌맨)와 마키무라 미키의 러브 코미디로 썼다고 한다. 미키의 태도가 솔직하지 못하고, 당시 츤데레란 개념이 없어서 미키가 아키라를 싫어한다고 오해하는 시청자도 많았는데 1화부터 서로 좋아하는 거 맞다고 한다. 보면 안다고. 이 애니메이션의 데빌맨은 인류를 지키는 히어로도 아니고 정의를 지키는 히어로도 아니다. 오직 마키무라 미키의 일상을 지켜주려고 싸우는 순정남이다. 초반의 데빌맨은 데몬족이 지구를 정복하고 사람을 막 죽인다고 해도 미키와 주변인들만 안 건드리면 상관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데몬이 미키에게 계속 피해를 주니까 싸운 것이다. 중간부터 인간 생활에 점점 익숙해지며 이러한 생각을 버리게 된다.

다만 그렇다고 완전히 어두운 면이 사라진건 아니라서 액션 연출은 당시 방송 심의가 약한 것도 있어 굉장히 과격하다. 절단, 관통, 출혈 묘사가 수시로 나온다. 잔인한 걸로만 치면 원작 만화에 뒤지지 않는다. 1화부터 데몬들끼리 결투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한 데몬은 눈에 날카로운 고드름이 찔려 비명을 지르고, 다른 데몬은 천장에 메달린 날카로운 코드름 다발에 찔려 사망한다. 빨간색만 아닐 뿐이지, 피도 철철 흐른다. 본작이 다른 애니메이션에 비해 방영 시간대가 늦었고, 괴담 프로그램 다음에 방영하는 작품이라 방송국에서 수위를 높게 잡았다고 한다. 실력있는 연출가와 애니메이터가 많이 참가해서 액션물로선 지금도 즐길 수 있는 작품이다.

주인공 데빌맨도 데몬족 특유의 잔인함이 완전히 사라지진 않은 모습도 보여준다. 후도 아키라 상태의 데빌맨이 다른 학생을 폭행하려 한다거나 붙잡은 데몬을 때리면서 고문하는 모습도 나온다. 마지막 에피소드에 나온 최종보스격 데몬은 데빌맨과 함께 데몬족 최강이라 불린 이란 데몬으로[1] 디자인은 데빌맨과 매우 흡사하며 기술까지도 데빌맨과 판박이다.[2] 막상막하로 싸우고 둘 다 부상을 입고 쓰러지지만 미키의 목소리를 듣고 일어선 데빌맨이 갓을 마무리해서 승리. 이후에도 데빌맨은 제논이 보내는 악마들과 계속해서 싸워나간다는 열린 결말로 끝난다. 아무리 수위를 낮아졌다지만 최종 보스가 신이란 이름을 가진 악마란 점에서 데빌맨 특유의 분위기는 어디 안간다는 것을 알수 있다.

만화판 데빌맨은 싸우다 지는 경우는 있어도 고통을 느끼는 부분은 별로 없는데 이 애니메이션은 고통이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각종 통증에 고통받으면서 싸우는 후도 아키라를 보면 왠지 불쌍해진다. 심지어 다른 히어로물이라면 변신하면 상처가 치유되겠지만 이 애니는 데빌맨이 변신하면 상처가 벌어져서 더 아프다. 라는 설정으로 변신하면 골골대던 데빌맨이 변신을 풀면 팔팔해지는 신기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애니메이터로 코마츠바라 카즈오, 나카무라 카즈오, 시라토 타케시, 아라키 신고 등이 참여했으며 이 작품의 스태프들은 이어서 겟타로보를 만들게 된다.

잘 만든 작품이지만 결말이 우리들의 싸움은 이제부터다인데 이건 조기종영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인기가 없어서 종영된 건 아니고 그 시간대에 다른 방송을 편성하게 되어서 잘린 것이라고 한다.
(참고로 나가이고의 다른 작품인 1973년작 큐티하니의 경우는 선정성 문제로 조기종영되어 데빌맨과 마찬가지로 최종 보스와 싸우지 않고 종영되었다)
데빌맨 만화와 애니메이션 제작기를 그린 나가이 고의 만화 '게키만'에서는 "이 애니메이션은 성공작이다." 라고 언급한다. 애초에 이게 성공했으니까 토에이도 나가이 고에게 마징가 Z의 기획을 의뢰하였던 것이다.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빌맨 문서
번 문단을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

오프닝 デビルマンのうた
연출 오이베 야스오(及部保雄) / 작화감독 코마츠바라 카즈오
작곡 미사와 고, 작사 아쿠 유우 /노래 토다 케이조
가사 펼치기 · 접기
あれは誰だ 誰だ 誰だ
아레와 다레다 다레다 다레다
저것은 누구인가 누구인가 누구인가

あれはデビル
아레와 데비루
저건 데빌

デビルマン デビルマン
데비루만 데비루만
데빌맨 데빌맨

裏切り者の 名を受けて
우라기리모노노 나오우케테
배신자의 오명을 쓰고

すべてを捨てて たたかう男
스베테오 스테테 타타카우 오토코
모든것을 버리고 싸우는 남자

デビルアローは 超音波
데비루아로–와 초옴파
데빌 애로우는 초음파

デビルイヤーは 地獄耳
데비루이야–와 지고쿠미미
데빌 이어는 지옥귀

デビルウィングは 空をとび
데비루윙구와 소라오토비
데빌 윙은 하늘을 날고

デビルビームは 熱光線
데비루비–무와 네츠코–센
데빌 빔은 열광선

悪魔の力 身につけた
아쿠마노 치카라 미니 츠케타
악마의 힘을 그 몸에 익힌

正義のヒーロー
세이기노 히–로–
정의의 히어로[3]

デビルマン デビルマン
데비루만 데비루만
데빌맨 데빌맨

はじめて知った人の愛
하지메테 싯타 히토노 아이
처음 알게 된 사람의 사랑

そのやさしさに めざめた男
소노야사시사니 메자메타오토코
그 상냥함을 깨달은 남자

デビルチョップは パンチ力
데비루촙푸와 판치료쿠
데빌 촙은 펀치력

デビルキックは 破壊力
데비루킥쿠와 하카이료쿠
데빌 킥은 파괴력

デビルアイなら 透視力
데비루아이나라 토–시료쿠
데빌 아이라면 투시력

デビルカッターは 岩くだく
데비루캇타–와 이와쿠다쿠
데빌 커터는 바위를 부순다

悪魔の力 身につけた
아쿠마노 치카라 미니 츠케타
악마의 힘을 그 몸에 익힌

正義のヒーロー
세이기노 히–로–
정의의 히어로

デビルマン デビルマン
데비루만 데비루만
데빌맨 데빌맨

(간주)

あれは誰だ 誰だ 誰だ
아레와 다레다 다레다 다레다
저것은 누구인가 누구인가 누구인가

あれはデビル
아레와 데비루
저건 데빌

デビルマン デビルマン
데비루만 데비루만
데빌맨 데빌맨

裏切り者の 名を受けて
우라기리모노노 나오우케테
배신자의 오명을 쓰고

すべてを捨てて たたかう男
스베테오 스테테 타타카우 오토코
모든것을 버리고 싸우는 남자

デビルアローは 超音波
데비루아로–와 초옴파
데빌 애로우는 초음파

デビルイヤーは 地獄耳
데비루이야–와 지고쿠미미
데빌 이어는 지옥귀

デビルウィングは 空をとび
데비루윙구와 소라오토비
데빌 윙은 하늘을 날고

デビルビームは 熱光線
데비루비–무와 네츠코–센
데빌 빔은 열광선

悪魔の力 身につけた
아쿠마노 치카라 미니 츠케타
악마의 힘을 그 몸에 익힌

正義のヒーロー
세이기노 히–로–
정의의 히어로

デビルマン デビルマン
데비루만 데비루만
데빌맨 데빌맨
오프닝 "デビルマンのうた(데빌맨의 노래)". 일본 애니메이션 명곡들 중의 하나로 꼽히며 여기서 그 유명한 지옥귀가 나온다. 그 외에 왠지 '데빌 펀치력' 처럼 얼핏 뜬금없어 보이는 내용[4]이 있어 이 부분을 네타로 써먹기도 한다.

엔딩
작곡 도쿠라 슌이치, 작사 아쿠 유우 / 노래 토다 케이조
엔딩 "오늘도 어딘가에서 데빌맨" (今日もどこかでデビルマン). 오프닝과는 대조적으로 애수가 풍기는 곡과 가사가 특징이다.

5.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연출 작화감독 미술 방영일
제1화 悪魔族復活
악마족 부활
츠지 마사키 카츠마타 토모하루 코마츠바라 카즈오 후쿠모토 토모오
(福本智雄)
1972.07.08.
제2화 妖獣シレーヌ
요수 시레누
아케히 마사유키
(明比正行)
시라토 타케시 우라타 마타지
(浦田又治)
1972.07.15.
제3화 妖獣ゲルゲ
요수 게르게
야마자키 타다아키
(山崎忠昭)
시라네 토쿠시게
(白根徳重)
모리 토시오
(森 利夫)
후쿠모토 토모오 1972.07.29.
제4화 魔将軍ザンニン
마장군 잔닌
츠지 마사키 니시자와 노부타카 아라키 신고 엔도 시게요시
(遠藤重義)
1972.08.05.
제5화 眠れる美女 ゾルドバ
잠드는 미녀 조르도바
타카쿠 스스무 시다라 히로시
(設楽 博)
시라토 타케시 하타 히데노부
(秦 秀信)
1972.08.12.
제6화 ロクフェルの首
록펠의 머리
츠지 마사키[5] 닛타 요시카타
(新田義方)
모리 토시오 엔도 토쿠시게 1972.08.19.
제7화 恐怖の人形使い ズール
공포의 인형술사 즈루
스즈키 미노루
(鈴木 実)
코마츠바라 카즈오 츠치다 이사무
(土田 勇)
1972.08.26.
제8화 イヤモンとバウウ
이야몬과 바우우
나카무라 카즈오 후쿠모토 토모오 1972.09.02.
제9화 脳波妖獣ゴンドローマ
뇌파요수 곤도로마
시라토 타케시 요코이 사부로
(横井三郎)
1972.09.09.
제10화 妖獣ガンデェ 眼が歩く
요수 간데 눈이 걷다
오치아이 마사무네
(落合正宗)
후쿠모토 토모오 1972.09.16.
제11화 真紅の妖花 ラフレール
진홍의 요화 러프렐
츠노다 하지메
(津乃 一)
요코이 사부로 1972.09.23.
제12화 火焔妖獣ファイアム
화염요수 파이엄
모리 토시오 후쿠모토 토모오 1972.09.30.
제13화 誇り高きマーメイム
긍지높은 머메임
코마츠바라 카즈오 츠지 타다나오
(辻 忠直)
1972.10.07.
제14화 氷の国への挑戦
얼음 나라로의 도전
이쿠하라 마코토
(邦原真琴)
우라타 마타지 1972.10.14.
제15화 妖獣エバイン 千本の腕
요수 에바인 천개의 팔
오치아이 마사무네 아마데라 카즈미
(尼寺一美)
후쿠모토 토모오 1972.10.21.
제16화 闇に住む 妖獣ジェニー
어둠에 사는 요수 제니
야마구치 히데노리
(山口秀憲)
모리 토시오 하타 히데노부 1972.10.28.
제17화 切手妖獣ダゴン
절수요수 다곤
시라토 타케시 1972.11.04.
제18화 銀色の魔矢子
은색의 마야코
사사키 마사히로
(佐々木正広)
코마츠바라 카즈오 1972.11.11.
제19화 妖獣アダル 人形作戦
요수 아달 인형작전
시라토 타케시 1972.11.18.
제20화 さらば妖獣ドランゴ
안녕 요수 드랑고
안도 토요히로 야마구치 히데노리 모리 토시오 카츠마타 게키
(勝又 激)
1972.11.25.
제21화 妖獣ドローは人間が好き
요수 드로는 인간이 좋아
츠지 마사키 사사키 마사히로 코마츠바라 카즈오 하타 히데노부 1972.12.02.
제22화 妖獣ムガール 幻影の魔術師
요수 무갈 환영의 마술사
오치아이 마사무네 아마데라 카즈미 요코이 사부로 1972.12.09.
제23화 妖獣ベラ チベットの怪
요수 베라 티벳의 괴물
시라토 타케시 하타 히데노부 1972.12.16.
제24화 妖獣ジャコン 生きている幽霊
요수 쟈콘 살아있는 유령
야마구치 히데노리 모리 토시오 카츠마타 게키 1972.12.23.
제25화 妖将軍ムザン 学園大襲撃
요장군 무잔 학원대습격
카츠마타 토모하루 코마츠바라 카즈오 하타 히데노부 1972.12.30.
제26화 白銀の妖獣ララ
백은의 요수 라라
타카미 요시오
(高見義雄)
시라토 타케시 1973.01.06.
제27화 妖獣ジュエル 果てなき欲望
요수 쥬얼 끝없는 욕망
시라네 토쿠시게 오치아이 마사무네 1973.01.13.
제28화 妖獣ミニヨン 悪魔のペンダント
요수 미니용 악마의 펜던트
아케히 마사유키 타카쿠라 타케오
(高倉建夫)
시모카와 타다노우미
(下川忠海)
1973.01.20.
제29화 妖獣ケネトス 謎のネックレス
요수 케네토스 의문의 목걸이
코미나토 요이치
(小湊洋市)
시라토 타케시 하타 히데노부 1973.01.27.
제30화 妖獣ファイゼル 影に狂う
요수 파이젤 그림자에 미치다
야마구치 히데노리 모리 토시오 카츠마타 게키 1973.02.03.
제31화 妖獣キルスキイ 真紅の旋風
요수 킬스키 진홍의 선풍
사사키 마사히로 코마츠바라 카즈오 하타 히데노부 1973.02.10.
제32화 妖獣オーロラ 輝く牢獄
요수 오로라 빛나는 감옥
시라토 타케시 1973.02.17.
제33화 妖獣ウエザース 太陽の反乱
요수 웨저스 태양의 반란
오치아이 마사무네 아마데라 카즈미 1973.02.24.
제34화 妖獣アルロン 恐怖のマキシ
요수 알론 공포의 맥시
아케히 마사유키 타카쿠라 타케오 카츠마타 게키 1973.03.03.
제35화 妖元帥レイコック 凍れる学園
요원수 레이코크 얼어붙는 학원
카츠마타 토모하루 시라토 타케시 하타 히데노부 1973.03.10.
제36화 妖獣マグドラー 空飛ぶ熔岩
요수 맥들러 하늘을 나는 용암
야마구치 히데노리 모리 토시오 시모카와 타다노우미 1973.03.17.
제37화 妖獣ウッドドウ 怒れる緑
요수 우드도 두려운 인연
카츠마타 토모하루 코마츠바라 카즈오 1973.03.24.
제38화 妖獣ドリムーン 月は地獄だ
요수 드림문 달은 지옥이다
시라네 토쿠시게 시라토 타케시 1973.03.31.
제39화 妖獣ゴッド 神の奇蹟
요수 갓 신의 기적
코미나토 요이치 미방영[6]

6.

사족으로 2017년 즈음부터 이 애니메이션 주제가의 가사를 비틀어서 만든 매드 무비 시리즈가 니코니코 동화에서 유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배경음이라면 모를까 노래 자체가 매드 무비 소재로 쓰였던 적이 희귀해서 비교하기 어렵지만, 굳이 국내의 사례와 비교하자면 허무송 유행 후반기에 등장했던 물건들과 비슷하다. 가사를 비틀다 못해 아예 조합해서 오프닝을 부른 가수가 보이스로이드 마냥 말을 하도록 만들 정도. 케모노 프렌즈 애니 1기의 재규어를 소재로 만든 재규어맨 시리즈는 케모노 프렌즈 매드 무비의 한 축이 되었으며, 이후 비슷한 시기에 유행하고 있는 올가 붐과 결합하는 경우도 여러 번 나왔다. 올가 붐의 인기에는 아스트로 강가를 소재로 만들어진 '멈추지 않는 올가 BB( 止まらないオルガBB)'가 한 몫 했으니 어찌 보면 고전 애니 콜라보인 셈.

또한 데빌맨 크라이베이비가 히트하면서 이 주제가에 맞춰서 춤을 추는 영상이나 매드 무비가 유튜브에서 서양인 상대로 붐을 타기도 했다.

7. 기타

2018년 공개된 데빌맨 크라이베이비는 TVA판 데빌맨은 극중극으로서 크라이베이비 세계관에서 존재하며, 아키라를 데빌맨으로 만든다는 아이디어가 이 만화에서 나왔다는 설정이 있다. 그 외에도 마키무라 미키의 성격을 애니와 원작 만화를 섞거나. 크라이베이비의 오프닝 가사 중 본작의 오프닝에서 따온 부분도 존재하는 등, 꽤나 큰 연결고리를 가진다.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의 원작자 타케우치 나오코가 어린 시절 이 애니를 굉장히 좋아했다고 한다.


[1] 성우는 노다 케이이치 [2] 데빌맨이 데빌 애로우를 쓰면 갓은 갓 애로우를 쓰는 식 [3] 데빌맨 크라이베이비의 여파로 싸우는 것이 전혀 히어로 같지 않은 데빌맨의 모습 때문에 이 부분이 네타가 되기도 한다. 당장 크라이베이비 본편에서 시레누를 공중에서 강간하며 싸우다가 분노한 카이무의 공격을 받고 땅바닥으로 추락을 했다. 물론 안티 히어로의 경우도 있는만큼 그렇게까지 이상한 건 아니다. [4] 당연히 펀치가 아니다. 찹 자체가 팔을 휘두르는 기술이라 찹의 위력이 펀치력과 비례하긴 하지만 역시 뜬금없다. [5] 이 중 9화는 명의는 츠지 마사키로 되어 있지만 스태프 코멘트에 따르면 실제로는 타카쿠 스스무가 집필했다고 한다. [6] NET의 재방송 시간에서 본방송을 하였으며 NET의 지방 계열 방송사와 타 방송사의 지방 계열 방송사에서는 정식시간으로 방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