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00:23:08

대한민국 합참주임원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반적인 설명과 타국의 사례에 대한 내용은 합참주임원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65> 파일:원사 계급장.svg 대한민국 국군 각 군 본부
현직 주임원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합참주임원사
이재호
육군주임원사 해군주임원사 공군주임원사
강민수 김요한 박석화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주임원사 지상작전사령부 주임원사 제2작전사령부 주임원사
이용규 임우빈 김기정
해병대주임원사
윤상균
※ 둘러보기: 대장 | 중장 | 사단장 | 함대사령관 | 공군기능사령관 | 전단장 | 비행단장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801a24><tablebgcolor=#801a24>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01a24><tablebgcolor=#801a24>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
{{{#!wiki style="margin: -6px -1px"
초대

정영조
제2대

류승호
제3대

이태희
제4대

곽상원
제5대

김석진
제6대

어윤용
제7대

이재호
}}}}}}}}}
※ 초대~현재: 원사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파일:합참주임원사 휘장.jpg
대한민국 합참주임원사
大韓民國 合參主任元士
Senior Enlisted Advisor of the Joint Chiefs Staff
of the Republic of Korea
파일:합참 주임원사 이재호.jpg
<colbgcolor=#801a24><colcolor=#fff> 육군 원사 이재호 (제7대)
취임일 2023년 6월
임관 장학 319기
관사 용산기지 공관

1. 개요2. 상세3. 역대 합참주임원사4. 관련문서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합참주임원사 대한민국 국군 부사관 및 병의 최선임이며 합동참모의장을 보좌하는 자를 말한다. 또한, 합동참모본부 주임원사이다.

2. 상세

1990년에 미군으로부터 평시작전권을 인수하면서 합동참모본부가 군령권을 수행하게 되었고 군령권 최고사령부로서 합참주임원사라는 직책이 신설된다. 합참주임원사는 국군 부사관 의전서열 중 최선임 부사관이며 중장에 준하는 예우를 받는다. 신설 당시에는 소장에 상응하는 예우를 받았으나 본부장의 계급이 중장이기 때문에 2020년에 합참주임원사는 준장에 상응하는 의전을 받는 것으로 격상되었다. 물론 의전서열만 준장에 준하고 급여나 성과급은 원사의 수준에 맞게 받는다.

합참주임원사는 합동참모의장이 임명한다. 그에 따라 합참의장을 보좌하며 사병에 대한 자문 역할과 대변인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합참의장의 특별지시사항 수행과 외부 방문자에 대한 상담활동을 담당한다. 합참주임원사는 합참 복제규정에 의거 우측 가슴에 합참 휘장과 좌측 가슴에 합참주임원사 휘장을 패용하며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해 휘하에 의전, 행정, 보좌를 담당하는 부사관활동담당관과 행정운전병을 둔다.

3. 역대 합참주임원사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801a24><tablebgcolor=#801a24>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01a24><tablebgcolor=#801a24>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
{{{#!wiki style="margin: -6px -1px"
초대

정영조
제2대

류승호
제3대

이태희
제4대

곽상원
제5대

김석진
제6대

어윤용
제7대

이재호
}}}}}}}}}
※ 초대~현재: 원사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801a24><tablebgcolor=#fff,#1f2023><bgcolor=#801a24><color=#fff> 역대 대한민국 합참주임원사 ||
<rowcolor=#fff> 역대 사진 이름 계급 임관 재임기간 기타
초대 파일:정용조 원사.jpg 정영조 육군 원사 1990. ~ 2000. 10. [1]
2대 파일:합참 제2대 류승호주임원사.jpg 류승호 육군 원사 2000. 10. ~ 2010. 10. [2]
3대 파일:이태희.png 이태희 육군 원사 2010. 10. ~ 2013. 05. [3][4]
4대 파일:곽상원 원사.png 곽상원 육군 원사 2013. 05. ~ 2014. 07. [5]
5대 파일:김석진 원사.jpg 김석진 육군 원사 현임 288기 2014. 07. ~ 2019. 11. [6]
6대 파일:합참 주임원사 어윤용.jpg 어윤용 육군 원사 특전부사관 74기 2019. 11. ~ 2023. 6. [7]
7대 파일:합참 주임원사 이재호.jpg 이재호 육군 원사 장학 319기 2023. 6. ~ 현재

4. 관련문서

5.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대한민국 국군 주임원사 파일:원사 계급장.svg
파일: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MI.svg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합참주임원사 육군주임원사 해군주임원사
[[대한민국 해병대주임원사|
해병대주임원사
]]
공군주임원사
※ 둘러보기: 대한민국 참모총장 · 대한민국 참모차장



[1] 1990년에 처음 생긴 합참주임원사에 취임하였다. 1969년 하사로 임관했고 1982년부터 을지부대 주임상사와 제1야전군 주임상사직을 역임했고, 10년 동안 합참주임원사로 근무하였고 2001년에 퇴역하였다. 관련기사 [2] 1975년 임관해 제1야전군사령관실 군기강 담당관, 육군참모총장실 충효예교육 담당관직을 수행하다 2000년 10월에 합참주임원사로 취임하여 2010년 10월에 퇴임했다. 6.25동란시 이등중사로 건봉산지구 전투에서 상이용사가된 부친의 영향을 받아 부사관으로 지원입대하여 37년간 분대장, 부소대장, 중대행보관, 대대/연대 참모부담당관, 사단복지회관장과 군사령부, 육본, 합참 등 전 제대를 근무한 경력이 있으며, 육군/국직부대 부사관종합발전계획을 입안/추진토록 하였고 국직부대 주임원사 휘장을 제작 패용토록 하였고, 합동부대 모범부사관상을 신설 수상케 하였으며, 미국과 싱가폴 부사관 회의에 참석하여 대한민국 부사관의 우수성 홍보와 국위선양에 힘썼으며, 10번에 걸친 해외파병부대 지도(격려)방문을 통한 사기증진과 한미부사관 발전을 위한 교도보 역할을 하여 대한민국 보국훈장(광복장)과 미합중국 공로훈장(MSM)을 받았다. [3] 3대 합참주임원사였던 이태희 원사는 1980년에 임관했다. 22사단 주임원사, 8군단 주임원사, 1야전군사령부 주임원사 등을 역임한 뒤에 2010년에 합참 주임원사로 취임했다.아들인 이용재씨도 육군 장교로 복무 중이다.2013년 5월 23일에 퇴임하였다. 이취임식 방문기 [4] 임석상관으로 합동참모차장 박신규 공군중장이 배석했다. [5] 특전사 출신 80년대 임관이다. 제39보병사단 신병교육대 중대장 제2작전사령부 주임원사를 역임했고 2013년 5월에 4대 합참주임원사로 취임하였다. [6] 1988년 임관해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 행정보급관·주임원사, 3군단 주임원사 등을 역임했고 2014년 7월에 5대 합참주임원사로 취임하였다. 3군단 주임원사 시절에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현임부사관[8] 288기 출신으로 병 시절까지 합치면 1987년부터 근무했다. 야전군 주임원사를 거치지 않고 바로 군단주임원사에서 올라온 케이스. [7] 1989년 임관 7공수 특전여단 특임대, 3보병사단 22연대 주임원사, 5군단 주임원사 등을 역임한 뒤에 2019년 11월에 합참 주임원사로 취임했다. 군인가족 집안이다. 딸은 해군 부사관으로 근무하고 있고, 아들은 공군 장교로 복무했다가 전역했고, 아내는 과거 육군 부사관으로 복무했다가 전역했다. 보통 아버지나 친지의 뒤를 이어 같은 군을 선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병역에 대한 의무가 없는 아내부터 딸까지, 한 가족 모두가 육해공군에서 직업군으로 복무하는 일은 창군이래 최초이다. #1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8] 일병 5호봉 이상에서 지원하는 단기하사이다. 나머지는 민간부사관이 단기하사를 구성하며 현재는 그냥 단기하사 대신에 육군부사관이라고 한다. 병 가운데 병 복무기간 내에만 하사로 임관하는 과정은 일반하사라고 했다. 1996년에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