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8:13:43

뉴트로늄

중성자 물질에서 넘어옴
입자물리학
Particle Phys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3100c> 기반 양자역학 · 상대성 이론 · 통계역학 · 전자기학 · 고전역학
이론 <colbgcolor=#83100c> 체계 양자장론( 비상대론적 양자장론) · 양자 전기역학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게이지 이론 · 양자색역학 · 초끈이론( M이론 · F이론) · 등각장론 · 통일장 이론 · 모든것의 이론
형식 클라인-고든 방정식 · 디랙 방정식 · 1차 양자화 · 이차양자화 · 전파인자 · 산란행렬 · 경로적분( 응용 · 고리 적분) · 고스트 · 파인만 다이어그램 · 재규격화( 조절 · 재규격화군) · 위상 공간( SU(3)) · 대칭성( 초대칭 · CP 대칭 깨짐) · 섭동( 다이슨 급수)
실험 기구 입자가속기( 사이클로트론 · 싱크로트론 · 테바트론 · SLAC · ILC · LHC) · 카미오칸데 · LIGO · 입자검출기( ATLAS · CMS · ALICE · LHCb)
모형 기본 입자{ 페르미온( 쿼크) · 보손 · ( 둘러보기)} · 강입자( 둘러보기) · 프리온 · 색전하 · 맛깔 · 아이소스핀 · 표준 모형 · 반물질 · 기묘체 · 타키온 · 뉴트로늄 · 기묘한 물질 · 암흑물질 · 인플라톤
연관 학문 천체물리학( 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 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 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현상 · 응용 기본 상호작용( 둘러보기) · 양자진공(진공기댓값) · 플랑크 단위계( 플랑크 질량 · 플랑크 길이 · 플랑크 시간 · 플랑크 온도) · 양자요동 · 쌍생성 · 쌍소멸 · 방사선 · 자발 대칭 깨짐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블랙홀 정보 역설
기타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 군론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물질 · ( 반감기) · 대수위상학 · 대수기하학 · 교재 }}}}}}}}}

''' 항성 은하천문학· 우주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항성천문학
측광학 광도 · 별의 등급
항성
( )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속성 변광성 · 색등급도 · 별의 종족
항성계 다중성계( 쌍성) · 성단( 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 청색 낙오성) · 성군
항성 진화 주계열 이전 단계
( 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황소자리 T형 별 · 원시 행성계 원반)
주계열성 주계열성의 단계
주계열성의 종류 M형
K형 · G형
F형 · A형
B형 · O형
주계열 이후
항성 분류 준왜성( 차가운 준왜성 · O형 준왜성 · B형 준왜성) · 탄소별( C형( CR 별 · CN 별 · CH 별) · S형 별) · 특이별( Am 별 · Am/Fm 별 · Ap/Bp 별 · CEMP 별 · HgMn 별 · 헬륨선 별( 강한 헬륨선 별 · 약한 헬륨선 별) · 바륨 별 · 목동자리 람다 별 · 납 별 · 테크네튬 별) · Be 별( 껍질 별 · B[e]별) · 헬륨 별( 극헬륨 별) · 초대질량 항성( 쿼시 별) · 섬광성
밀집성 백색왜성( 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 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 에딩턴 광도)
갈색왜성 갈색왜성의 형성 과정
갈색왜성의 단계
갈색왜성의 종류 Y형 · T형 · L형
갈색왜성의 이후 진화
분류법 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 은하( 분류) · 활동은하핵( 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 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 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 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 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 은하수 · 록맨홀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 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 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국부 시트 · 처녀자리 초은하단( 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성간물질 성운( 전리수소영역 · 행성상성운 · 통합 플럭스 성운) · 패러데이 회전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프리드만 방정식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 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 시뮬레이션 우주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와 미래 우주 달력 · 플랑크 시대 · 우주배경복사( 악의 축) · 재이온화 · 빅 크런치 · 빅 립 · 빅 프리즈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 ||

1. 개요2. SF에서의 뉴트로늄

1. 개요

Neutronium

뉴트로늄(Neutronium, Neutrium 혹은 Neutrite)은 순수한 중성자로 이루어진 물질을 일컫는다.

1926년 과학자 안드레아스 폰 안드로포프에 의해 처음 제창된 당시에는 양성자가 없이 순수 중성자로 이루어진 물질이라는 개념으로 쓰였다. 현대 천문학에서는 주로 중성자별의 축퇴물질을 일컫는다.

화학원소처럼 다뤄질 때, 뉴트로늄은 원자핵 자체가 곧 중성원자이자 원소이며,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 전자와 전자기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1] 따라서 화학에서는 거의 다뤄지지 않으며, 천문학 입자물리학의 일부 분야에서만 다뤄진다.

핵반응식에서 원자핵처럼 취급될 때에는 주로 [math(^A_0\mathrm{Nu})], 또는 원자번호를 생략하고 [math(^A\mathrm{Nu})]로 나타낸다. ([math(A)]는 질량수를 의미한다.) 양성자가 없기 때문에 원자번호는 항상 0이며, 질량수는 중성자의 수와 같다. [math(A=1)]일 때에는 [math(^1\mathrm{Nu}={}^1_0\mathrm{n}=\mathrm{n})], 즉 자유중성자(free neutron)를 나타낸다.

2022년 일본 이화학연구소의 중이온 가속기에서 뉴트로늄 원자가 관측되었다. # 이 뉴트로늄은 중성자가 4개인 [math(^4\mathrm{Nu})]이다.

2. SF에서의 뉴트로늄

SF계 창작물에서 종종 등장하며, 극도로 압축된 초경도 물질 정도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특징 때문에 실제 뉴트로늄은 장갑재나 건축자재로 쓰기 어렵다.
  • 뉴트로늄은 순수 중성자 물질로, 양성자가 없고 따라서 전자가 없기 때문에 뉴트로늄 덩어리는 전자기력이 아닌 핵자 간의 핵력으로 서로 붙어있다.
    • 핵반응 : 양성자가 없어 다른 물질(공기 포함)과 접촉 시, 물질 표면에서 양성자 간 전자기력을 통한 반발 없이 곧바로 핵반응이 일어난다.[2]
    • 자발적 축퇴 : 뉴트로늄은 원자핵과 전자를 강제로 융합시킬만한 매우 큰 힘 (보통은 중력) 에 의해서 발생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그 힘이 사라지면 원자핵과 전자가 도로 분리되면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방사성 붕괴를 하게 된다.
    • 지나치게 높은 밀도 : 순수한 뉴트로늄의 이론적인 밀도 원자핵 또는 중성자별보다도 높은 2.898×1014 g/cm3(약 300조 g/cm3) 정도로 추정된다.[3] 지구상에서 볼 수 있는 고체 물질의 밀도가 25 g/cm3을 넘지 못한다는 것을 생각하면[4] 실로 엄청난 밀도다.
      이 때문에 핵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가정하더라도 매우 무거워 실제로 사용하기 어렵다. 이런 막대한 질량을 가진 물체에 동력을 제공하려면 천문학적인 에너지가 소모되어 비효율적이며, 일반적인 물질로 구성된 땅에 놓으면 행성의 기반이 무게를 버티지 못하고 무너진다. 따라서 뉴트로늄은 기계 부품으로도, 건축자재로도 사용되기 곤란하다.


[1] 핵 자체가 중성이므로 전기 퍼텐셜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를 붙잡아두지 않는다. [2] 일반적인 물질의 경우, 물질 표면의 전자끼리 서로 반발해 핵끼리 충돌하지 않고 거리를 유지한다. [3] 전자기력으로 핵간 거리를 유지하는 일반 물질과 달리, 뉴트로늄을 구성하는 중성자는 가까운 거리에서 작용하는 핵력으로만 그 구조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4] 자연에서 발견되는 가장 밀도가 높은 물질인 오스뮴이 약 22.6 g/cm3이고, 인공 방사성 원소까지 생각하더라도 27 g/cm3 하슘이 가장 밀도가 높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