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0 00:51:09

김창수(1902)

파일:전라북도 구 휘장(1969–1997).png 전라북도 제3대 민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전주 군산 이리 완주 갑 완주 을
이철승 김판술 김춘호 이존화 손권배
진안 금산 무주 장수 임실
박정근
전임자: 이복성
유진산 김상현 정준모 박세경
남원 순창 정읍 갑 정읍 을 고창 갑
양영주 임차주 김창수 김택술 정세환
고창 을 김제 갑 김제 을 옥구 익산 갑
신용욱 송방용 윤제술 양일동 소선규
익산 을 부안
강세형 신규식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254170><tablebgcolor=#254170>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254170><tablebgcolor=#25417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남송학 황성수 임흥순 김재황 이기붕
함두영 윤재욱 표양문 정존수 이성주
김종규 윤성순 김의준 김병철 신의식
오재영 손도심 최병국 장경근 윤일상
정대천 홍창섭 임우영 함재훈 최용근
박용익 이재학 장석윤 정규상 이형진
김진만 전만중 곽의영 김선우 손준현
안동준 이학림 정상열 송우범 류지원
염우량 김달수 신태권 조남수 나희집
정명선 김지준 나창헌 류순식 인태식
홍순철 한희석 김춘호 이존화 손권배
박정근 정준모 박세경 양영주 임차주
김창수 정세환 신용욱 신규식 강세형
이정휴 박흥규 조순 이갑식 김정호
이형모 손문경 송경섭 김성복 구흥남
손석두 김성호 김병순 최영철 정명섭
변진갑 조병문 이우줄 하태환 박만원
박영교 김익기 윤용구 박종길 김원규
박순석 김익노 이협우 김상도 김보영
김홍식 장택상 김철안 김우동 백남식
윤만석 이정희 정문흠 최병권 정기원
이영언 김종신 서인홍 이영희 조경규
하을춘 김형덕 조만종 지영진 김법린
이종수 김성삼 이용범 정갑주 강봉옥
안준기 김영상 유봉순 최창섭 김두진
강경옥 }}}
}}}}}}

파일:external/rokps.or.kr/425.jpg

金昌洙
1902년[1] 2월 28일 ~ 1981년 7월 28일 (향년 79세)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 광산(光山)[2], 이명은 김일치(金日冶), 호는 소호(小湖)이다.

독립유공자 김철수는 그의 이복 형이다.

2. 생애

1902년 2월 28일 전라북도 태인군 용산면 화호리(현 정읍시 신태인읍 화호리) 522번지에서 아버지 김영구(金永九)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화호리 52-1번지로 이주했다가 곧 상경해 경기도 경성부 숭삼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3가) 139번지, 숭삼동 39번지, 경성부 경운동(현 종로구 경운동) 96-7번지[3] 등지에 거주했다.

아버지 김영구는 소지주로 전라북도 옥구부(현 군산시)에서 쌀 위탁 판매업에 종사했는데 재력이 대단했다고 하며, 가까운 이웃 동네인 고창군 인촌 김성수 집안의 재력과 견줄 정도로 부잣집이었다고 한다.

일찍이 상경해 중동학교에 입학했다가, 재학 중에 3.1 운동에 참여하여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복학해 졸업한 뒤 낙향했다.

1925년 10월 화호(禾湖) 노농친목회 간부로서 부안군 백산면 원천리의 소작동우회와 제휴하여 정읍군의 지주들을 상대로 소작료 인하투쟁을 전개했다. 1926년에는 전라북도민중운동자동맹에 가입했고, 조선민흥회 결성준비위원으로 참가했다.

1927년 중화민국 베이징시에서 조선공산당에 입당한 후 국내연락 임무를 띠고 귀국했다가, 일본 헌병에 체포되었다. 1928년 '제3차 조선공산당( ML당) 사건'으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른 뒤 1929년 1월 만기출옥했다.

출옥 후 그해 2월 정읍군 이평면에서 이평농민조합을 결성했고, 이 무렵 정읍군과 인근 김제군에서 군 단위 농민조합 결성 활동에 열성적으로 참가했다. 그해 7월에는 전라북도공산주의자협의회 결성에 참여했고, 8월에는 문헌 입수 및 동지 획득을 목적으로 일본 도쿄로 건너갔다. 귀국 후에는 전라북도 조산공산당 재건설준비위원회를 결성했다.
파일:김창수(1902).jpg
좌 : 1930년 9월 1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중 : 1932년 3월 24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우 : 1933년 6월 30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그 뒤 1930년 8월 3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미결 구류일수 중 600일 통산)을 선고받고 당일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어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서점을 경영하다가 소위 출판법 위반 혐의로 경성부 동대문경찰서에 검거되었고, 1932년 2월 16일 경성지방법원 검사국에 송치, 구금되었다. 2월 17일에는 경성부 종로경찰서에 의해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가 추가되었고, 1933년 2월 28일 서대문형무소에 구금되었다. 4월 28일 경성지방법원의 예심에서 소위 출판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면소 처분을 받았으나,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회부되었다.

그 뒤 1934년 6월 25일 경성지방법원에서 같은 혐의로 징역 3년형(미결 구류일수 중 500일 본형에 산입)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다. 이에 공소하여 1935년 3월 30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같은 혐의에 대해 원심 판결이 취소되었으나, 이의신청은 기각되었다. 이에 그는 상고까지 했으나 5월 9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옥고를 치렀다. 1935년 12월 24일에는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출판법 위반 혐의에 대해 공소가 기각되었다.

1936년 다시 중국으로 건너가 8.15 광복 때까지 베이징 상하이에 머물렀으며, 이 동안에 상해대학 사회학과에 입학했다. 상해대학 재학 시절 신한청년 주간을 역임했으며, 졸업 후에는 톈진시 삼화산업사(三和産業社) 사장, 단민보사(檀民報社) 사장, 조국 베이징교민보사 사장을 역임했다.

광복 후 귀국했으며, 1945년 9월 한국민주당 발기인으로 참여하면서 우익 정치인으로 전향했다. 이후 한국민주당 지부장을 역임하다가 탈당하고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으로 경기도 고양군 갑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서성달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이후 자유당에 입당해 전라북도당 위원장 및 중앙위원, 산업부장 등을 역임했다. 그 밖에 조선일보 전라북도지사장, 대한농민총연맹 부위원장, 대한농민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전라북도 정읍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3대 국회 기간 동안에 대한농민회 최고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1955년 당시에는 경상남도 부산시 부용동2가(현 부산광역시 서구 부용동2가) 40번지에 거주했고, 이듬해인 1956년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1가 88번지로 주소지를 옮겼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전라북도 정읍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나용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7년 당시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영동아파트에 거주했다.

그 뒤 백제 왕인 박사에 관한 저술을 위해 자료 수집차 일본 도쿄로 건너갔다가 1981년 7월 28일 그곳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종류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 고양군 갑)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04표 (7.35%) 낙선 (7위)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정읍군 갑)

[[자유당(1951년)|]]
11,852표 (28.03%) 당선 (1위)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정읍군 갑) 22,230표 (45.75%) 낙선 (2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1930년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에는 1901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2] 37세 수(洙) 항렬. [3] 현재는 사라진 지번인데,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부근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